• 제목/요약/키워드: SGP4(SGP4)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8초

증숙마늘 분말 첨가 조청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Steamed Garlic Powder)

  • 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65-870
    • /
    • 2012
  • 마늘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전통식품과의 접목 방안을 모색하고자 증숙마늘 분말을 5~30% 첨가하여 전통적인 감미제인 조청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탁도 및 착색도는 증숙마늘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증숙마늘 분말 30% 첨가시 착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3배 더 높았다. 조청의 점도도 동일한 경향으로 증숙마늘 분말을 30% 첨가하였을 때 점도는 $(272{\pm}2){\times}10^3$ cps로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조청의 pH는 $4.31{\pm}0.11{\sim}4.58{\pm}0.02$의 범위로 대조군($5.35{\pm}0.12$)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 환원당은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30% 첨가시에는 $44.66{\pm}0.26$ mg/100 g이었다. HMF 함량은 대조군과 증숙마늘 분말 5% 첨가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상 첨가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3.55{\pm}0.10{\sim}4.87{\pm}0.08$ mg/kg의 범위였다. 유리당은 maltose, glucose, raffinose 및 fructose 순으로 높게 정량되었고, 증숙마늘 분말 첨가 조청은 대조군에 비해 maltose 및 raffinose의 함량은 낮고 fructose의 함량은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증숙마늘 분말 20% 미만 첨가시는 색, 감미, 전반적인 선호도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조청 제조시 증숙마늘 분말은 20% 미만으로 첨가함으로써 관능적 특성 및 이화학적 품질특성이 우수한 조청을 제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굴과 새우를 이용한 새싹삼 페이스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 Ginseng Paste added Dry Oyster and Dry Shrimp)

  • 정희범;성태종;김정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206-215
    • /
    • 2017
  • Sprout ginseng paste were prepared with pine nut, dry oyster and dry shrimp to examine the antioxidant properties(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sensory test(attribute difference and acceptance). Sprout ginseng paste were measured based on color value, pH, viscosity, total bacteria cell numbers for 0 and 20 days at $4^{\circ}C$. The higher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sprout ginseng paste added with pine nuts, dry oyster, and dry shrimp were higher antioxidant capac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from 52.2% (SGP0) to 79.5.0 % with SGP5. The attribute test results reveal that the color intensity, bitter taste, and oily taste were decreased in SGP3 to SGP6. Taste, flavor, and coarse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GP0 to SGP6. Thickness and After taste were increased in SGP4 to SGP6. The preference test results reveal that the appearance, flavor, and texture level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GP0 to SGP6.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increased in SGP4 to SGP6. L value, pH, decrease while a value and b value show no change in sprout ginseng paste with pine nut, dry oyster and dry shrimp. Total cell number was not detected during storage.

ESTIMATION OF THE SGP4 DRAG TERM FROM TWO OSCULATING ORBIT STATES

  • Lee, Byoung-Sun;Park, Jae-Wo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11-20
    • /
    • 2003
  • A method for estimating the NORAD SGP4 atmospheric drag term from minimum osculating orbit states, i.e., two osculating orbits, is developed. The first osculating orbit state is converted into the NORAD TLE-type mean orbit state by iterative procedure. Then the converted TLE is propagated to the second orbit state using the SGP4 model with the incremental SGP4 drag term. The iterative orbit propagation procedure is finished when the difference of the two osculating semi-major axes between the propagated orbit and the given second orbit is minimized.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short-term variations of the osculating semi-major axis, the osculating argument of latitude of the second orbit is propagated to the same argument of latitude of the first orbit.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the NORAD-type TLE for the KOMPSAT-1 spacecraft. The SGP4 drag terms are estimated from both NORAD SGP4 orbit propagation and the numerical orbit propagation results. Variations of the estimated drag terms are analyzed for the KOMPSAT-1 satellite orbit determination results.

그라운드를 전환하여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광대역 메타물질 흡수체 (Wideband Frequency Tunable Metamaterial Absorber Using Switchable Ground Plane)

  • 정희준;임성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241-24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그라운드를 전환하여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광대역 메타물질 흡수체를 제안하였다. 그라운드 전환을 위해 두 개의 FR4 기판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중간 기판의 다이오드 ON/OFF에 따라 입사되는 신호의 반사, 투과를 조절하여 기판 두께에 따른 주파수 가변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통해 중간층이 ON 상태일 경우, 3.5~11 GHz에서 90 % 이상의 흡수율을 가졌고, 중간층이 OFF 상태일 경우, 1.7~5.2 GHz에서 90 % 이상의 흡수율을 가졌다.

Derivation of the SGP4 Drag Term from the Two Osculating Orbit State for the Low Earth Orbit Satellite

  • Lee, Byoung-Sun;Park, Jae-Wo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33.5-33
    • /
    • 2002
  • $\textbullet$ NORAD SGP4 Model $\textbullet$ Conversion of the Osculating Orbit State into the NORAD TLE $\textbullet$ Derivation of the SGP4 Drag Term $\textbullet$ Conversion of the KOMPSAT-1 Orbit $\textbullet$ Effect of the SGP4 Drag Term $\textbullet$ Derivation of the KOMPSAT-1 B* Value $\textbullet$ Figure. Derived B* Values from KOMPSAT-1 MAPS Orbit state with considering the argument of latitude.

  • PDF

과거 TLE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TLE정보 생성기법 (New TLE generation method based on the past TLEs)

  • 조동현;한상혁;김해동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881-89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인공위성의 궤도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미국 합동우주관제센터(JSpOC, Joint Space Operation Center)의 TLE(Two Line Element) 정보에 대한 SGP4(Simplified General Perturbations 4) 모델의 장기 궤도예측 오차를 줄이기 위해 과거의 TLE 정보들을 이용한 보상기법을 적용하여 새로운 TLE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과거 특정 시점에서의 TLE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궤도전파를 한 데이터와 동일기간 동안 미국 합동우주관제센터에서 공개된 모든 TLE를 이용해서 궤도전파를 수행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계산한 궤도잔차를 이용하였다. 이러한 궤도잔차 성분은 SGP4 궤도전파 모델에 의한 궤도오차 증가 경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궤도오차 보정을 위해 해당 궤도잔차 성분들을 적절한 함수로 표현하였다. 이후, 현재 시점에서 공개된 TLE 정보를 이용한 SGP4 궤도전파 데이터에 해당 잔차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장기 궤도전파에 따른 SGP4 모델의 궤도오차를 줄일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TLE 정보를 생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일주일의 궤도전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TLE를 이용한 궤도전파 오차가 4km 정도인 반면 새로운 TLE 생성기법에 의한 궤도전파 오차가 약 2km 수준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DAR 시스템과 SGP4 모델을 이용한 저궤도 위성의 실시간 궤도결정 (REAL - TIME ORBIT DETERMINATION OF LOW EARTH ORBIT SATELLITES USING RADAR SYSTEM AND SGP4 MODEL)

  • 이재광;이성섭;윤재철;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21-28
    • /
    • 2003
  • 다른 나라의 저궤도 위성에 대한 궤도 정보를 레이더 시스템을 이용하여 독자적으로 획득할 경우, 이에 필요한 궤도결정 알고리즘을 해석적 모델인 SGP4 모델과 실시간 처리방식인 확장 칼만필터를 이용하여 수치적 방법으로 개발하였다. 궤도결정 알고리즘의 상태벡터를 Kepler 6궤도 요소로 지정할 경우, 상태천이 행렬 계산시 궤도 경사각과 이심률에 대해 특이점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평균 궤도 요소를 평균 위치 및 속도 요소로 변환하여 상태벡터로 지정하였다. 필터 구성시 상태천이 행렬(State Transition Matrix)과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은 SGP4모델과 수치적 방법인 finite difference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관측 자료는 방위 각, 고도각, 그리고 시선거리 형태로 각각 입력되며 각 관측 형태에 따라 일괄적으로 처리하도록 필터를 구성하였다. TOPEX/POSEIDON POE를 이용 시뮬레이션 생성한 관측간을 사용하여 개발한 궤도결정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개발한 알고리즘은 약 1km의 위치 오차를 가지며 7일 동안 약 3km의 위치 오차를 가지는 NORAD시스템과 동일한 성능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레이더 시스템의 최소 성능 요구조건은 방위각과 고도각은 0.1도 이내이고 시선거리는 50m이 내여야 한다.

Sero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heep and goat pox virus in selected districts of Wolaita Zone, Southern Ethiopia

  • Fentaye Kassa;Haben Fesseha;Mesfin Mathewos;Selenat Getachew;Nato Hundessa;Saliman Aliye;Isayas Asefa Kebede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4호
    • /
    • pp.57.1-57.12
    • /
    • 2024
  • Importance: Sheep and goat pox (SGP) virus infection is a highly fatal viral infection of small ruminants that causes major production losses in sheep and goats in Ethiopia while also limiting international trade.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seroprevalence of SGP infection and assess related risk variable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August 2023 on 384 serum samples taken from sheep and goats. A serum neutralization test was conducted to detect the presence of antibodies against the SGP virus in Wolaita Sodo Regional Laboratory. Results: The overall seroprevalence rate of SGP was 4.95%. Factors such as sheep (8.26%), female sheep and goats (7.45%), older sheep and goats (8.33%), larger flock size of sheep and goats (10.47%), poorly conditioned sheep and goats (31.58%), sheep and goats with a tick on their skin (10.38%), and animals that had not been vaccinated (5.17%) were found to have higher seroprevalence. Furthermore, the seropositivity in sheep was five times greater than in goats (adjusted odds ratio [AOR], 4.73; 95% confidence interval [CI], 1.39-15.99). Additionally, large-sized flocks of sheep and goats were more likely to be seropositive to pox disease than small-sized flocks (AOR, 6.73; 95% CI, 1.58-28.67). Conclusions and Relevance: Thus, the study revealed the prevalence of SGP in the Wolaita zon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stimate the extent of the disease at the regional level, and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economic losses associated with this condition.

NORAD TLE CONVERSION FROM OSCULATING ORBITAL ELEMENT

  • Lee, Byoung-Su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395-402
    • /
    • 2002
  • The NORAD type Two Line Element (TLE) was obtained from the osculating orbital elements by an iterative approximation procedure. The mathematical model was presented and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conversion. The osculating orbital elements of the KOMPSAT-1 were converted into the NORAD TLE. Then the effect of the SGP4 atmospheric drag coefficient ($B^*$) was analyzed by comparison of the orbit propagation results with different $B^*$ values.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Fresh and Steamed Garlic Powders)

  • 이수정;신정혜;최덕주;권오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48-1054
    • /
    • 2007
  • 생마늘 및 증숙마늘 동결건조분말을 밀가루에 대해 0, 0.5, 1, 2, 4 및 6%(w/w)로 첨가하여 제조한 마늘 쿠키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퍼짐성은 생마늘 분말 6% 첨가시 $8.48{\pm}0.31$, 증숙마늘 분말 0.5% 첨가시 $8.62{\pm}0.21$로 가장 높았다. 쿠키 표면색 중 L값은 대조군에 비해 마늘 분말의 첨가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나, 마늘 분말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a값은 마늘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마늘 분말을 1, 2 및 4% 첨가했을 때 실험군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b값은 증숙마늘 분말 첨가군에서 마늘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도는 마늘 분말을 첨가함으로 높아졌는데 증숙마늘 분말 2% 첨가시 가장 높았다. 관능적 특성으로 표면의 색깔은 생마늘 분말에서 2% 이상 첨가시 다소 갈색을 띄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균열정도는 증숙마늘 첨가군에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쿠키의 마늘맛과 향은 마늘 분말을 6% 첨가시 증숙마늘 분말 첨가군에서 다소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0.5{\sim}4%$의 마늘 분말을 첨가시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마늘 분말을 1% 첨가한 쿠키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 0.5% 첨가군 순이었다. 관능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 분말 첨가 쿠키 제조시 적정 마늘 분말 첨가량은 1%이며, 생마늘 분말에 비해 증숙마늘 분말 첨가시 쿠키의 기호도가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