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w Spacing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1초

재식밀도 차이가 단수수(Sorghum vulgare Pers)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w Width and Plant Spacing Within Row on Yield and its Components in Sweet Sorghum (Sorghum vulgare Pers))

  • 손세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3-160
    • /
    • 1969
  • 본 시험은 단수수(Sweet sorghum, Sorgo)에 대한 휴건4수준(40, 50, 60, 70cm)과 주간 4수준 (15, 20, 30, 40 cm) 등을 상호 조합하여 재식밀도 차이가 수량, 당분축적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바를 알고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3개년간 실시한 바 1. 단위면적당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개체당 생체중, 간중, 수중 및 간식경 등이 적어지는 경향으로서 부상관관계를 볼 수 있으나 초장, 열기, 도복 등에는 별다른 차이를 인정할수 없었다. 따라서 재식밀도 차이가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휴건보다도 주간이 더욱 지배적이었다. 2. 재식밀도에 비교적 예민한 작물로서 년차, 휴건, 주간 등 단요인은 각각 1%, 이들은 조합한 2,3요인의 상호작용에도 각각 5~1%의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3. 간중, 하제당량, 종자중 등의 10a당 수량은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하나 이와는 반대로 이들의 개체당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당분함량과 품질을 결정하는 Brix도, 당도, 순당율등은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낮아지는 경향이다. 5. 당분함량을 높게 재배하려면 소식하여 간직경을 굵게 하므로서 Brix 도, 당도, 간중당분, 순당율 등이 각각 높아진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당수량을 최고로 높이는 데는 여러 가지 정, 부상관관계에 있는 모든 형질을 합리적으로 조합하여 10a당 16,700~22,200본(휴건 60cm${\times}$주간 15-20cm에 주당 2본)이 적당하리라 본다.

  • PDF

핀-관 열교환기에서 개별 열의 열전달 효과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Individual Rows in Fin-Tube Heat Exchangers)

  • 정지환;장근선;이현우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3년도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238-244
    • /
    • 2003
  •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individual rows of fin-tube heat exchangers.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air-enthalpy type calorimeter. The examined heat exchangers consists of $7{\Phi}$ tube and fin patterns of them are slit and louver types. Equivalent fin spacing are 18 FPI for all samples, and the number of tube rows were 2. In order to confirm that thermal boundary condition on fins of each row are the same, physically separated between two rows as well as connected heat exchangers were used. The frontal air velocity varied from 0.7 to 2.5 m/s. Heat transfer performance for each row are measured. It was observed that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2nd row were smaller than that of the 1st row at low Reynolds number while larger at high Reynolds number.

  • PDF

모래지반에서 측방변형을 받는 무리말뚝의 실험적 연구 (The Study of Group Piles under Lateral Soil Movement in Sand by Model test)

  • 배종순;김성호;권민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165-17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합천사에 매설되어 측방변형을 받는 무리말뚝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무리말뚝의 위치, 말뚝의 간격과 말뚝배열이 미치는 무리말뚝의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리말뚝에서는 모멘트 형상은 단독말뚝과 유사하나 최대 휨모멘트의 발생깊이가 깊어지고, 그 크기는 감소하였다. 말뚝의 중심간격이 증가할수록 최대휨모멘트비$(R_M)$와 수평력분담비$(R_F)$는 증가하였다. 지반변형에 따른 $R_M$은 열방향에서는 후열, 전열, 중간열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고 줄방향에서는 내측보다 외측이보다 크게 나타났다.

벨트 파지식 1조 콩 예취기 개발 (Development of a Belt Pick-up One-row Soybean Cutter)

  • 전현종;강태경;이충근;최용;이채식;홍종태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6호
    • /
    • pp.373-379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belt pick-up type one-row soybean cutter, using physical properties and production conditions of soybeans. The prototype soybean cutter consisted of 4 parts: cutting part, conveying part, collecting part, and travelling part. The prototype soybean cutter was designed to cut soybeans planted with a row spacing of 600 mm, and at a height of 30 mm from the bed bottom using a disk saw. Through various trials with different peripheral velocities of the disk saw and forward speed of the cutter, determined ranges of the peripheral velocity of the disk saw cutting soybeans stems were greater than 18.3 m/s. Spacing between pick-up belts (clearance) was in a range of 60~90 mm so that soybeans could be picked at heights greater than 25 cm,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pick-up belt were determined the conventional manual harvesting method. The optimal ratio between the forward speed of cutter and the peripheral speed of pick-up belts were from 1 to 1.2 by theoretical analysis. the pick-up belts had a $35^{\circ}$ of tilted angle and $90^{\circ}$ of twisted angle to pick up soybeans safely from the plant input to the lower end of the belts and convey soybeans to the upper end of belts nearby a container. The soybeans at the rear container were dropped down on the soybean row with an interval. The effective field capacity of the prototype soybean cutter was 0.136 ha/h, reducing the working hour by 92% when compared with the manual cutting.

Effect of In-row Plant Spacing on Growth and Yield of Korean Native Allium wakegi Araki

  • Jo, Man-Hyun;Ham, In-Ki;Park, Sang-Kyu;Seo, Gwan-Seok;Han, Gyu-Heung;Woo, In-Shik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140-143
    • /
    • 2003
  • Allium wakegi Araki was grown at plant spacings of 5, 10, 15, and 20 cm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Allium wakegi Araki plants grown at the 5 cm plant spacing had the lowest bulb diameter and bulb weight, while plants at the lowest density (20 cm spacing) had the highest bulb diameter, bulb number, bulb weight and fresh weight. In general, plants grown at narrower spacings produced significantly smaller bulb diameter and bulb weight, but resulted in the highest yields and plants per hectare and lower fresh weights per plant.

  • PDF

사질토 지반에서 군말뚝의 수평거동에 관한 연구 (Lateral Behavior of Group Pile in Sand)

  • 김영수;김병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7-129
    • /
    • 2000
  • 본 논문은 균질 및 비균질 지반에서의 군말뚝수평거동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군말뚝수평거동에 대한 말뚝중심간격, 말뚝 배열, 말뚝 중심 간격비, 말뚝 선단 구속조건, 편심하중 그리고 지반조건의 영향들에 관하여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동말뚝에서의 군말뚝 효율과 수평변위는 말뚝중심간격과 말뚝수에 상당히 의존함을 알 수 있다. 말뚝중심간격이 6D이고 $3\times3$배열 말뚝인 경우, 선단고정말뚝의 수평 지지력은 선단자유말뚝의 경우보다 40-100%크게 나타났다. 모형실험의 결과들에 근거하여, 군말뚝의 개개 말뚝이 단일말뚝과 동일하게 거동하는 말뚝 중심간격은 상대밀도 61.8%와 32.8%의 경우 6D 로 나타났으나, 상대밀도 90%의 조밀한 지반에서는 8D 간격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말뚝 효율에 대하여 말뚝 중심간격, 말뚝 수, 그리고 지반상대밀도의 변수로 표현되는 실험식을 제안하였다. 3$\times$3 배열의 군말뚝에서 앞행(lead row) 말뚝의 하중 분담율은 말뚝 중심간격 3D인 경우에 41.6%-52.4% 정도 그리고 6D인 경우에 34%-40%정도로 나타났다. 군말뚝에서 중첩효과(shadowing effect)는 하중 직각방향보다는 하중 재하방향에서 더 크게 발생하였다.

  • PDF

원심모형 실험을 이용한 건조토 지반에서의 군말뚝 효과 분석 (Evaluation of Dynamic Group Pile Effect in Dry Sand by Centrifuge Model Tests)

  • 유민택;차세환;최정인;한진태;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67-7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조밀한 건조 사질토 지반에서 단말뚝 및 $3{\times}3$ 군말뚝에 대해 정현파를 이용하여 동적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군말뚝의 경우 말뚝 중심간격을 지름의 3배, 5배, 7배로 변화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로 얻은 단말뚝과 군말뚝의 동적 p-y 곡선들을 비교하여, 말뚝 중심 간격 및 군말뚝 말뚝 위치에 따른 말뚝의 동적 군말뚝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열과 세 번째 열의 말뚝인 측면 말뚝에서 유사한 동적 p-y 거동이 나타났으며, 두 번째 열 말뚝들은 측면 말뚝들에 비해 지반반력 감소 효과가 작게 나타났다. 또한, 두 번째 열 내에서 말뚝 위치에 따른 동적 p-y 거동을 비교한 결과, 두 번째 열의 바깥 말뚝에서 중앙 말뚝보다 지반반력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말뚝 중심 간격에 따른 p-승수 값은 측면 말뚝에서 0.28 ~ 0.77, 중앙 말뚝에서 0.55 ~ 1.0, 바깥 말뚝에서 0.39 ~ 0.87로 나타났다.

기호보강을 위한 그물식 뿌리말뚝의 효과적인 배치 (Efficient Arrangement of Root Piles in Reinforcing the Strip Footing on a Sand Ground)

  • 이원택;박영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2호
    • /
    • pp.57-68
    • /
    • 1994
  • 뿌리말뚝을 이용하여 기초 지반을 보강할 때 효과적인 배치 방법을 알기 위하여, 사질토 지반에서 R.H. Bassets와 N.C. Last가 제안한 보강패턴에 대하여, 말뚝 길이, 기초 길이 방향의 말뚝 간격과 말뚝 열의 수를 변화시키며 물리 모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 실험 결과에 의하면, 뿌리말뚝 길이와 기초 폭의 비($L_p/B_f$)가 5이상일 때 지지력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초 길이 방향의 말뚝 간격이 작을수록 지반 보강 효과는 크지만, 기초 길이,방향의 말뚝 간격이 말뚝 직경의 약 6배일 때 말뚝 1개당 보강효과가 가장 좋았다. R.H. Bassett와 N.C.Last가 제안한 보강패턴에서 둘째열 말뚝의 보강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가장 바깥 열의 말뚝은 보강 효과가 거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