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m fire

검색결과 528건 처리시간 0.025초

아트륨 빌딩에서의 사무실과 아트륨간의 화재확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pread between Office Room and Atrium in the Atrium Building)

  • 이수경;김종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8-83
    • /
    • 2000
  •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아트륨과 사무실 공간 사이를 내화구조로 하거나 방화셔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외국에서는 이미 아트륨과 사무실 공간 사이에 유리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단, 유리벽면을 따라 방호용 스프링클러를 설치한다는 조건에서 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각 시나리오에 대하여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ASTLite와 BREAK1을 사용하여 화재 전파 및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아트륨과 사무실간에는 아트륨의 규모가 크고 상부가 충분한 연기와 열기의 조정이 가능하고, 창문을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으로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여 충분히 화재로부터 유리를 보호할 수 있는 경우 방화구획으로 인정 해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충분한 연기와 열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 공학적인 화재분석방법을 통해 인정받은 경우에는 아트륨과 주변 사무실간의 완전개방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소형선박 기관실의 개구부 유동 및 온도에 대한 화재시뮬레이션: 천장 통풍통 위치 및 측면 개구부 크기 영향 (Fire Simulation for Vent Flow and Temperature in Engine Room of Small Ship: Effects of Ceiling Duct Location and Side Vent Size)

  • 정이규;이치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4-465
    • /
    • 2020
  • 소형선박 기관실 내 화재 시 개구부 유동 및 온도에 대해 FDS(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하여 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열방출률이 10 kW 급인 경유(Diesel) 화재를 대상으로 하였고, 천장 통풍통의 위치, 측면 개구부 유·무 및 크기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측면 개구부의 유·무 및 크기는 연기 거동 뿐 아니라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 및 온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측면 개구부가 미설치되거나 크기가 작은 경우 연기층이 기관실 내 바닥까지 도달하였고, 측면 개구부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이 증가하고 온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천장 통풍통의 위치가 연기 거동,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 및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측면 개구부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소형선박의 기관실 내 화재 시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천장 통풍통 위치보다 측면 개구부의 크기가 더 중요한 설계 인자인 것으로 판단된다.

환기부족 화재의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Under-Ventilated Fires)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2-16
    • /
    • 2016
  • FDS를 사용한 환기부족 화재 시뮬레이션의 문제점을 재확인하고 FDS의 환기부족 화재 판단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ISO 9705 화재실 내 1000~3000 kW의 프로판 화재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화재규모가 2000 kW 이상일 때 1500 kW의 경우보다 온도가 낮게 예측됨을 확인하였다. FDS를 사용할 때 환기부족 화재에서는 화재규모가 증가해도 산소부족으로 열방출률은 증가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화재 시뮬레이션에 있어서의 환기부족 화재 판단기준으로 열방출률이 사용될 수 있으며, ISO 9705 화재실에서는 화재규모가 1700 kW 이상일 때 환기부족 화재가 예측됨을 알 수 있었다.

ANALYSIS OF FIRE CHARACTERISTICS IN APARTMENT BUILDING THROUGH FULL SCALE EXPERIMENT AND ZONE MODEL SIMULATION

  • Yoon, Myong-O;Park, Jin-Kook;Kim, Choong-Ik;Ryou, Hong-Sun;Kim, Jin-Gon;Kim, Myung-Bae;Choi, Jun-Seok;Kim, Kwang-Il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413-422
    • /
    • 1997
  • Fir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apartment building in Korea was studied through full scale experiment and zone model simulation. The fire was ignited at the living room and allowed to spread to other parts of a single unit in a five storied apartment building. Various data including temperatures, species concentrations, and images were collected in the experiment. A zone model(CFAST) was used to analyze the same apartment building that represents the average households in Korea.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a full scale experiments. While CFAST allows one compartment involved with fire, the experiment allowed the fire to spread to other compartments. Therefore,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Zone-Model data is valid until the living-room fire spread to other parts of the apartment. Flashover occurred at approximately 380 seconds in a fire experiment, and at approximately 420 seconds in Zone-Model. Based on all of data between experimental data and Zone-Model data, it is concluded that the safe escape time is about 250 seconds.

  • PDF

급기가압 댐퍼의 설정 기준압에 따른 부속실 차압 특성 연구 (Pressure Differentials in the Elevator Lobby Depending on the Reference Pressures of the Pressurizing Dampers)

  • 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2-17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고층아파트에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승강장 부속실의 급기가압 시스템에 있어서 댐퍼 적정차압의 기준 압력에 대한 문제를 FDS 화재모델링을 이용하여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화재 초기 누설틈새만 있는 밀폐된 화재실의 온도와 압력은 연소에너지와 고온 연소가스의 발생으로 온도와 압력이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동차압조절 급기댐퍼의 기준압을 옥내 대기압으로 설정 시에는 화재 시 실제 차압의 감소와 방연풍속 부족으로 상황에 따라 피난안전 공간인 부속실로의 연기 유입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SO 9708 룸 설비를 이용한 구형 지하철 내장재 화재시험 (Fire Test of Old Type Interiors of Subway Vehicle in ISO 9705 Room)

  • 이덕희;박원희;정우성;황정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81-487
    • /
    • 2010
  • 구형 지하철 전동차의 내장재에 대하여 ISO 9705 시험 설비를 이용하여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점화용 버너는 CEN/TS 45545-1 규정에 따라 출력을 조정하였다. 이 내장재 화재시험의 목적은 화원의 규모에 따라서 철도차량에서의 화재거동과 화염의 전파 경로를 평가함과 동시에 객실 내장재의 화재가 플래시오버로 진행하는 경로의 화재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험으로부터 시간에 따른 위치 별 온도 값과 열류량 및 열방출률을 측정하였고 열방출률은 수정된 화염면적기반 합량법으로 계산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CFD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철도차량 화재해석의 검증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내화재에서 연기거동에 미치는 복사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f Radiation Effect under Smoke Movement in Room Fire)

  • 정진용;유홍선;홍기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12
    • /
    • 2000
  • 본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3차원 실내 공간 내에서 화재 발생시 연기거동에 미치는 복사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체개발한 SMEP(Smoke Movement Estimating Program) Seld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하였다. PISO 알고리즘과 부력항을 포함한 수정 k - e 난류모델을 사용한 SMEP은 연속, 운동, 에너지, 농도 그리고 복사 열 전달 방정식을 풀었으며, 복사 열 전달 방정식의 해석을 위하여 S-N 구분종좌표법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연기의 온도분포는 복사를 고려하지 않고 대류만을 고려했을 경우 실험치와 많은 오차를 보였으나 복사를 함께 고려했을 경우는 실험치와 작은 오차범위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연기속에 포함되어 있는 연소생성물 중 H2O와 CO2 가스의 복사 영향 때문이며, 따라서 좀더 실제적인 화재해석에 있어서 복사는 반드시 고려되어야만 한다.

  • PDF

변압기실 화재에 대한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의 적용 - 소화특성을 중심으로(Part 1) (Application of Water Mist System for a Power Transformer Room - Fire Extinguishment(Part 1))

  • 한용식;최병일;김명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2-36
    • /
    • 2005
  • 고전력 변압기에 설치되어있는 가스계 소화설비는 초기 화재에는 대응할 수 있지만 소화후 다시 발화되는 화재에 대하여는 아무런 대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초기 소화와 재발화된 화재의 소화 또는 재발화 방지가 가능한 소화 및 냉각시스템이 변압기에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미분무수 설비가 선택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로 소화특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시험 대상으로 특정한 고압과 저압시스템을 선정하여 그 소화능력을 비교하였다. 변압기실은 약 $10m\times10m\times$의 공간이며 변압기의 크기는 이 공간의 $7\%$정도이다. 실물규모의 소화실험이 6개의 화재시나리오 (2개의 분무화재, 3개의 풀 화재, 1개의 흐름화재)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고압시스템이 저압시스템에 비하여 산소희석 및 냉각효과 측면에서 우수한 소화특성을 나타내었다.

건축물 구획공간에 따른 화재성상 및 열방출율 측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실물규모 침대 매트리스 화재시험 중심으로 - (Experimental Study on the Measurement of Fire Behavior and Heat Release Rate in Building Compartment Space - Focus on Full Scale Fire Test of the Bed Mattress -)

  • 서보열;장우빈;박계원;홍원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28-33
    • /
    • 2018
  • 건축물 구획공간에 따른 화재성상 및 열방출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물규모 침대 매트리스의 표준화재시험방법(KS F ISO 12949 : 2011)으로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개방형공간과 구획공간 모두 버너착화 후 초기 약 3분까지는 유사한 화재성장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분후 구획공간에서의 열방출율이 개방형 공간보다 증가되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대 매트리스(SS)의 경우, 개방형 공간에서의 최대열방출율은 735 kW이며, 구획공간에서의 최대열방출율은 992 kW 로 측정되었다. 침대 매트리스(Q)의 경우 3분후 구획공간에서의 열방출율이 개방형 공간보다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방형 공간에서의 최대열방출율은 1,087 kW, 이 때의 측정시간은 346s 이며, 구획공간에서의 최대열방출율은 2,127 kW, 이때의 측정시간은 287 s 측정되어 구획공간에 따른 최대열방출율 및 측정시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