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binia pseudoacacia L.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acacia L.)의 callus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Callus Cultures of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 우종호;최명석;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45-150
    • /
    • 1995
  • 기내배양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의 줄기기부에서 발생된 callus로부터 기관발생을 통하여 식물체재분화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Callus는 줄기를 BA 또는 NAA가 함유된 MS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유도되었으며, BA처리구가 NAA처리구보다 유도율이 높았다. BA가 첨가된 배지에 줄기를 배양하였을 때 기부 callus의 생장은 광조건 및 암조건에서도 잘 증식되었다. 줄기기부에서 발생된 callus는 녹색과 희면서 노란색을 띠는 callus로 분리되어 2.0mg/l BA와 0.5mg/l NAA가 함유된 mMS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녹색의 callus로부터 줄기가 재분화되었다. 재분화된 줄기는 생장조절제가 함유되지 않은 ${\frac{1}{2}}MS$배지에서 발근되었다.

  • PDF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 from Robinia pseudoacacia L. flower

  • Han, Myeong Gyu;Park, Yu Jin;In, Man-Jin;Kim, Dong Ch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2호
    • /
    • pp.107-111
    • /
    • 2022
  •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ticoagul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40% (v/v) ethanolic extract from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flower were investigated. The polyphenol content of the black locust flower extract was 39.8±0.5 mg gallic acid equivalents/g. The flower extract represented antioxidant effects such as free radical, cationic radical,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as well as reducing power. Also the flower extract inhibited α-glucosidase activity and common pathway in plasma coagulation system.

아까시나무외 몇 수종(樹種)에 대(對)한 X-Ray와 Thermal Neutron의 조사효과(照射効果) (Radiation Effect of X-Ray and Thermal Neutron on Robinia pseudoacacia L. and Some Other Species)

  • 김정석;이석구;현신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5
    • /
    • 1973
  • 돌연변이수발(突然變異誘發)에 의(依)한 방법(方法)으로 중요조림수종(重要造林樹種)의 품종(品種)을 개량(改良)코자 Robinia pseudoacacia,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Pinus thunbergii 및 Larix leptolepis의 종자(種子)를 미국(美國)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에 송부(送付)하여 X-ray와 thermal neutron를 조사처리(照射處理)하고 상기종자(上記種子)들의 발아율(發芽率)을 조사(調査)하는 한편 조사처리(照射處理)된 종자(種子)에서 얻어진 아까시나무 유묘(幼苗)의 몇몇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1. Thermal neutron 3시간(時間)~9시간(時間) 조사처리(照射處理) 범위(範圍)에 있어서 조사처리시간(照射處理時間)의 증가(增加)에 따라 Robinia pseudoacacia,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및 Pinus rigida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이 감소(減少) 되었으며 특(特)히 Larix leptolepis의 종자(種子)는 이와 같은 선량범위내(線量範圍內)에서 완전(完全) 치사(致死)하였다. 2. X-ray 10,000r~30,000r 범위(範圍)의 조사처리(照射處理)는 Pinus densiflora, Robinia pseudoacacia, Pinus rigida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을 대단조해(大端阻害) 저하(低下)시켰고 특(特)히 Pinus thunbergii와 Larix leptolepis의 종자(種子)는 거의 치사(致死)케하였다. 3. 조사처리(照射處理)된 아까시나무의 생장상황(生長狀況)은 X-ray 및 thermal neutron 조사처리(照射處理)에 있어 선량(線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모두 생육(生育)이 저하(低下)되었으나 thermal neutron으로 3시간(時間) 조사처리(照射處理)된 개체(個體)들은 비교목(比較木)에 비(比)하여 14.9% 생육증가(生育增加)를 보였으며 또한 가시없는 개체(個體)가 상당(相當)히 출현(出現)되었다. 4. 조사처리(照射處理)된 아까시나무의 형태적(形態的) 변이(變異)에 있어서는 X-ray 및 thermal neutron 조사처리(照射處理)에 있어서 엽반입개체(葉搬入個體), 엽부정형개체(葉不整形個體), 백자개체(白子個體), 등(等)이 출현(出現)되었다. 5. Thermal neutron으로 조사처리(照射處理)된 아까시나무는 정상적(正常的)인 체세포분열(體細胞分裂)이 대부분(大部分)이나 비정상적(非正常的)인 세포분열(細胞分裂), 이핵세포(二核細胞), 이인세포(二仁細胞) 및 염색체괴(染色體塊) 등(等)을 관찰(觀察)할 수 있었다. 6. X-ray 및 thermal neutron 조사처리(照射處理)된 아까시나무의 pawdery mildew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은 선량증가(線量增加)에 따라 감소(減少)되었다. 7. Thermal neutron 조사처리(照射處理)된 아까시나무의 기공장(氣孔長)은 비교목(比較木)과 대차(大差)가 없었고 단위면적당기공수(單位面積當氣孔數)는 처리목(處理木)이 감소(減少)되었다. 또한 엽전체(葉全體)의 후(厚) 및 엽표층(葉 表層)의 후(厚)는 thermal neutron 조사처리목(照射處理木)이 비교목(比較木)에 비(比)하여 증가(增加)되었으며 붕상조직(棚狀組織)의 폭(幅)은 비교목(比較木)보다 감소(減少)되었다.

  • PDF

인위적(人爲的)인 결체(結締)에 의해 형성(形成)된 아까시나무 수간(樹幹)의 종양재(腫瘍材)에 관한 조직특성(組織特性)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morous Wood Formed in a Stem of Robinia pseudoacacia L. by Artificial Fastening)

  • 엄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08-415
    • /
    • 1991
  • 수간(樹幹) 둘레를 철사(鐵絲)로 결체(結締)함에 따라 인위적(人爲的)인 피해(被害)를 받으므로써 형성(形成)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종양재(腫瘍材)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을 고찰(考察)하고 아울러 정상재(正常材)와의 그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실시(實施)하였다. 종양재(腫瘍材)는 일부(一部) 관공(管孔) 및 대부분(大部分)의 목섬유(木纖維)와 방사조직(放射組織)이 정상배열(正常配列)에서 이탈(離脫)된 불규칙적(不規則的)인 배열(配列)을 이루고 있는 점, 횡단면상(橫斷面上)의 관공(管孔)이 다소 방사방향(放射方向)으로 신당(伸張)되어 있는 점, 선단(先端)이 굴곡(屈曲)된 목섬유(木纖維)가 방사단면상(放射斷面上)의 방사조직(放射組織) 사이에서 가끔 관찰(觀察)되는 점, 방사조직(放射組織)의 폭(幅)과 높이가 더 큰 점, 방사단면상(放射斷面上)의 목섬유(木纖維)가 서로 교착배열(交錯配列)을 이루고 있는 점, 추재부(秋材部)의 복합관공(複合管孔) 출현(出現) 빈도(頻度)가 더 큰 점, 젤라틴목섬유(木纖維)의 발달(發達)이 더 일반적(一般的)인 점 및 농색(濃色)의 검(gum)상물질(狀物質)이 국부적(局部的)으로 목섬유(木纖維), 방사조직(放射組織), 축방향유세포(軸方向柔細胞)의 내강(內腔)에 발달(發達)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정상재(正常材)와의 조직(組織)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 PDF

아까시 나무 고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Robinia pseudoacacia L. High Temperature Extract)

  • 노종현;강병만;정원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4-302
    • /
    • 2018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의 물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고온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대해 염증억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RP1(아까시 나무 물 추출물), RP2(아까시 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RP3(아까시 나무 고온 추출물)은 세포생존율 분석에서 $200{\mu}g/m{\ell}$의 농도까지 Raw 264.7 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NO 생성 억제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RP3는 약 87%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 RP1과 RP2에 비해 NO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다. 뿐만 아니라 RP3는 RP1과 RP2와 비교하여 염증매개인자의 억제율이 각각 $PGE_2$ (86.3%), $TNF-{\alpha}$ (64.1%), IL-6 (65.1%) 및 $IL-1{\beta}$ (63.3%)로 가장 높았다. 이는 RP3의 처리가 LPS에 의해 증가된 염증매개인자의 분비를 억제함을 통해 항염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염증관련 신호전달경로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Raw 264.7 세포주는 염증조절복합체를 구성하는 ASC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아 다른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염증매개인자를 분비하기 때문에, 설치류의 대식세포를 직접 일차배양(primary culture)하여 이에 관련된 신호전달경로를 확인하는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in Bulgaria

  • Iliev, Nasko;Iliev, Ivan;Park, Young-G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291-301
    • /
    • 2005
  • Robinia pseudoacacia is one of most widely cultivated exotic species in Bulgaria. The total area of black locust plantations amounts to 2.9% of the total forest area of the country. 15.34% of the plantations are of management afforestations category, where the priority is given to timber production. They have been created on rich and moisture soils, which ar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species in order to achieve its biological potentials of high productivity. The rest of the available plantations in the country are planted on poorer and drier soils up to 600~800 m altitude. The high adaptive ability of the species to un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s well as the high sprout potential was used for their creation. These stands are mainly done with the aim to protect and ameliorate damaged environments and production of small-size timber and fire woods. They are cultivated until 15-20 years and are revived by sprouts. Therefore the management goals searched, 45.69% of those forests are low productive and 38.97% with average productiveness. The present report deals with growth and productivity capacity of black locust plantations; production of sowing materials; production of reproductive and vegetative saplings for afforestation; the technological aspects of afforestation works; the management and use of black locust plantations as well as some more important diseases and pests affecting the species. The report is entirely based on Bulgarian scientific research works and experience with the Robinia preudoacacia. Recommendations for optimizing the use of species are given.

조직배양에 의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의 개량 I. 대량증식과 체세포배 발생 (Improvement of Black Locust(Robinia pseudoacacia L.) Through Tissue Culture. I. Micropropaga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 우종호;최명석;정은이;정원일;조진기;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41-47
    • /
    • 1995
  • 기내발아된 치묘를 사용하여 아까시나무의 기내대량증식 시스템을 확립하고, 미성숙 접합배로부터 체세포배발생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기내줄기 대량증식에는 MS기본배지에 1.0mg/l BAP와 0.01mg/l NAA를 첨가해 주었을 때 평균 10.5개의 줄기가 발생되었다. 같은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된 MS배지에 침으로 자극한 잎을윤 치상하였을 때 13.5개의 줄기가 탄생하였다.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있는 $AgNO_3$을 50mg/l 첨가해 주었을 때 줄기기부에 callus발생을 줄여 정상적인 줄기생장을 유도할 수 있었다. 이들 줄기는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1/2MS 기본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완전한 식물체로 자랐다 LS배지에 2, 4-D와 BAP를 단용 또는 혼용한 배지에 발육단계가 다른 여러 가지 접합배를 이식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수정 4주된 접합배를 1.0mg/l 2, 4-D를 첨가한 LS 배지에 배양했을 때 14.3%의 체세포배를 얻었다. 이들 체세포배는 매우 낮은 빈도로 완전한 식물체로 발전하였다.

  • PDF

국내 활엽수종의 탄소배출계수 개발 및 적용 - 아까시나무, 자작나무, 백합나무를 대상으로 -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Carbon Emissions Factors for Deciduous Species in Republic of Korea - Robinia pseudoacacia, Betula platyphylla, and Liriodendron tulipifera -)

  • 이선정;임종수;강진택;김래현;손요환;박관수;손영모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93-399
    • /
    • 2017
  •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all parties have to submit the national GHG inventory report. Estimating carbon stocks and changes in Land Use, Land-Use Changes and Forestry (LULUCF) needs an activity data and emission factors.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carbon emission factor for Robinia pseudoacacia L.,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nd Liriodendron tulipifera. As a result, the basic wood density ($g/cm_3$) was 0.64 for R. pseudoacacia, 0.55 for B. platyphylla, and 0.46 for L. tulipifera. Biomass expansion factor was 1.47 for R. pseudoacacia, 1.30 for B. platyphylla, and 1.24 for L. tulipifera. Root to shoot ratio was 0.48 for R. pseudoacacia, 0.29 for B. platyphylla, and 0.23 for L. tulipifera. Uncertainty of estimated emission factors on three species ranged from 3.39% to 27.43% within recommended value (30%) by IPCC. We calculated carbon stock and change using these emission factors. Three species stored carbon in forest and net $CO_2$ removal was $1,255,398\;t\;CO_2/yr$ during 5 years. So we concluded that our result could be used as emission factors for national GHG inventory report on forest sector.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와 분홍아까시나무(R. margarettae 'Pink Cascade') 향기성분 조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Floral Volatile Components in the Different Species of Robinia spp.)

  • 이수진;김영기;노광래;이현숙;김문섭;김세현;권형욱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9-195
    • /
    • 2019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 꽃으로부터 발산되는 휘발성 성분을 SPME법으로 추출하여 GC/MS를 통해 분석을 시도하여, 서로 다른 수종 별로 발산하는 FVCs의 성분과 그 구성비율이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까시나무, 4배체 아까시나무, 분홍아까시나무에서 FVCs 분석결과를 비교해 볼 때 차이를 보이는 주요 FVCs는 각각 Linalool (35.47%), α-Farnesene (33.94%), (E)-4,8-Dimethylnona-1,3,7-triene (37.23%)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Z)-β-ocimene이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수종 간 FVCs 조성비의 차이가 꿀벌의 방화 행동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되며, 아까시나무의 FVCs에 대한 꿀벌의 선호도 및 방화 행동의 연관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까시나무 뿌리껍질의 항염증활성물질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of Robinia pseudoacacia Root Bark)

  • 강동민;박우성;김혜진;정우진;강권규;안미정
    • 생약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15
    • /
    • 2022
  • Robinia pseudoacacia L. (Leguminosae) is widely distributed in Asia, North America and Europe. The root bark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hemostasis, arthritis and hypertens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iological activity and the bioactive constituents of the root bark. We found that the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the root bark of R. pseudoacacia reduced the level of ROS and NO production in LPS-induced inflammation of RAW 264.7 cell line. Among the fractions, methylene chlorid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inflammation. Seven constituents (1-7) were isolated from this fraction, and the chemical structures were determined to be medicarpin (1), (-)-vestitol (2), indole 3-carboxaldehyde (3), 3-acetylindole (4), liquiritigenin (5), 4(1H)-quinolone (6) and 8-methoxyononin (7). Among the isolates, medicarpin (1), (-)-vestitol (2), 3-acetylindole (4) and liquiritigenin (5) inhibited ROS and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is is the first study to show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root bark of R. pseudoacacia,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four constituents (1, 2, 4, and 5) could play a role in the biological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