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side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31초

도시하천의 횡단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 연구 -서울시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을 사례로-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ubsequent to Cross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eams - Centering on the Cases of Dorimcheon, Banghakcheon, Seongnaecheon and Yangjaecheon in Seoul -)

  • 배정희;이경재;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8-279
    • /
    • 2008
  • 본 연구는 서울시내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 일부구간을 대상으로 도시하천의 식생회복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통해 횡단구조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도시하천 횡단구조는 제방형태(수직형, 사면형)와 둔치 유무, 호안구조의 3가지 항목을 조합하여 사면형 56개 유형, 수직형 31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대상지내에서는 SB1(저수호안-자연형 식생호안, 고수호안-자연하안), SG5(저수호안-콘크리트, 고수호안-사석공) 유형을 비롯한 사면형 9개 유형, VH4(제방호안-찰쌓기), VH7(제방호안-콘크리트) 유형 등 수직형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중 저수호안과 고수호안이 모두 콘크리트로 정비된 SG7 유형과, VG7 유형이 가장 긴 구간에서 분포하였다. 주요 8개 유형에 대한 미지형구조 및 식생구조를 조사 분석결과 유형화 항목별 특성에 따라 횡단구조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나 횡단구조 유형별 식생분포 특성은 뚜렷치 않았다.

연약지반에 설치된 배수통문을 포함하는 하천 보축제체의 수문 위치에 따른 침투 거동 (Seepage Behaviors of Enlargement Levee Containing Box Culvert Constructed on Soft Ground)

  • 양학영;김영묵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9-41
    • /
    • 2018
  • 연약지반에 설치된 하천보축제체에서 기존제체와 보축제체 연결부는 부등침하와 같은 이질적인 지반침하에 의해 제체를 관통하는 배수통문 연결부에서 파손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금강하류 지역을 선정하여 2차원 침투해석을 수행하고 배수통문 수문의 위치에 따른 침투 경향을 분석하여 파이핑 발생 가능성 등이 제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상부 파손부가 하부 파손부보다 침투 유출 속도 및 동수경사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상부측의 누수가 하부측의 누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파이핑 발생에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제외지측에 수문이 위치한 경우 누수가 발생하면 수위 상승시 및 고수위 유지시 파이핑 발생 우려가 증가하였으며, 제내지측에 수문이 위치하는 경우 누수로 인해 제체내 수압을 증가시켜 제체의 안정성을 훼손시킬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배수통문 구조물 임의의 위치에 누수가 발생하면 이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지 않을 때 보다 간극수압을 증감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정상적인 경우에 비해 간극수압의 급격한 감소 또는 증가가 관측된다면 누수 발생을 우려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본 연구 결과 분석은 2차원 침투해석을 바탕으로 수행된 것으로서 실제의 경우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3차원 해석을 통한 보다 상세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의 유형구분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Scenery in Landscape Painting during Joseon Dynasty)

  • 박찬우;이연희;김재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87-695
    • /
    • 2014
  •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성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방편으로 선조들이 남긴 산수화에 주목하였다. 자연풍경(수산(山水))을 그림의 주대상으로 하고 있는 조선시대 산수화 629매를 수집, 그림에 그려진 주대상에 의해 유형을 분류하였다. 산수화는 그림이 그려진 장소에 의해 산, 강, 바다, 도시로 구분되었다. 산에서 그려진 그림은 연봉형(蓮峯型), 다봉형(多峯型), 독립봉형(獨立峯型), 산기암형(山奇巖型), 산계곡형(山溪谷型), 산수변형(山水邊型)으로 구분되었다. 강에서 그려진 그림은 강산형(江山型), 강수형(江水型), 강변형(江邊型), 강기암형(江奇巖型)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바다에서 그려진 그림은 해변형(海邊型), 해기암형(海奇巖型)으로 구분되었고 도시에서 그려진 그림은 시가지(市街地)파노라마型으로 한 개의 유형이 되었다. 한편 그림이 그려진 장소, 시점(視點)을 통합하여 보면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은 산봉우리의 모습, 산 강 바다 어디에 있던지 기암의 모습, 산 강 바다 모두 물과 뭍이 만나는 곳(강변(江邊) 해변(海邊) 산(山)의 수변(水邊)/계곡 폭포 담)의 모습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각 유형과 유사한 자연풍경을 갖는 장소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곳이거나 또는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창출이 가능한 곳으로 자연풍경지의 가치에 주목하여 보존과 관리에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929년 경성부(京城府)에서 소비(消費)된 임산연료(林産燃料)의 구성별(構成別) 특성(特性)과 유통(流通) 경로(經路)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Channels for Forest Products Consumed as a Fuel in Kyeongseong City (Seoul) in 1929)

  • 이기봉;배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35-145
    • /
    • 2005
  • 본 논문의 목적은 1929년 일제시대 경성부에서 소비된 임산연료의 구성별 특성과 유통경로를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1929년 경성부에서 소비된 1호 평균 임산연료의 중량은 경기도의 일반 군에 비해 약 1/3 수준에 불과했으나 열량이 높은 장작과 숯의 소비량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둘째, 임산연료의 최대 공급지는 한강 수운을 이용할 수 있는 강원도와 경기도의 한강변(42.6%)이었고, 그 다음으로 철도를 이용한 경기도 북부와 기타 지역(29.5%), 도로를 이용한 경성부 인근 지역(27.9%)의 순이었다. 셋째, 한강을 이용한 임산연료의 운송지역은 뚝섬(43.0%)과 구용산 마포(45.6%)로 이원화되어 있었고, 철도에 의한 운송은 경성역이 전체의 72.2%라는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경성부의 소비지에 도착한 임산연료의 대부분은 상설시장이 아닌 임시로 형성된 땔감 시장에서 거래되었다.

섬진강 유역 일 지역의 간흡충 관리 효과 (Clonorchis Sinensis Control Intervention at a Sumjin Riverside Area)

  • 박명도;신준호;손석준;박종;김석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135-142
    • /
    • 2009
  • 섬진강 유역 일개 군지역에서 1999년부터 2005년까지 간흡충 관리사업 결과 간흡충 감염률과 감염관련요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확률표본추출한 8개 마을주민 699명 중 416명에 대해 간흡충 충란검사를 위해 대변검사와 관련요인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1999년의 선행 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간흡충 감염률은 1999년의 19.0%에서 2005년 11.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Z)=0.000). 2. 간흡충 감염과 관련된 요인별 감염률은 남자와, 44세 이상자, 강변지역 거주자, 음주자 및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그 결과로써 1999년에 성별, 연령별, 지역별, 생식습관, 음주여부와 같은 요인에 따라 감염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그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이전 간흡충 검사여부와 검사결과, 치료후 재섭취 여부에 관계없이 감염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간흡충에 대한 인식 항목에서 간흡충증을 ‘잘안다’거나 ‘들어본적 있음’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건강행위 실천여부에 에서는 안 한다고 하는 군에서 감염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흡충 감염률은 5년 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그 원인으로서는 지속적인 보건사업과 민물고기 생식률이 감소하고, 민물고기의 수나 종류가 감소하는 등 환경적인 변화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도 전국평균에 비하면 많이 높아서 간흡충 관리사업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속적인 간흡층관리사업의 결과, 감염 관련 요인으로 파악되었던 성별, 연령, 지역, 생식습관, 음주여부와 상관 없이 감염률이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져 이와 같은 특성에 관계없이 전체 주민을 대상으로 간흡충 관리 사업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남지방에 있어서의 수도백엽고병 발생실태조사 (Disease survey on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in Chun Nam province)

  • 이경휘;정하원;이응권;이시종;김영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33-38
    • /
    • 1965
  • 1) 본 보고는 1965년 10월초 수도백엽고병이 격발한 전라남도내 담양읍, 대전면을 위시하여 천변인 영산포, 해안지대인 수포등 현재에서 피해상황과 그 원인 등을 조사해석하여 방제의 자료로 하고자 한 것이다. (2) 이앙기의 한발과 7월의 호우 등으로 인한 일부답의 침수는 본병이 조기다발하기에 알맞는 기상조건이었다. (3) 담양지방에서는 7월초순 호우가 있은 후, 일부 침수답에서 7월중순에 초발을 보게 되었으며, 농민들이 새로운 큰 병해라고 인식이 높아졌다. (4) 이앙기가 빠른 답일수록 피해가 많았다. (5) 침수지구의 피해가 심하였다. (6) 품종간의 차이가 확연하였으며, 특히, 전남풍, 천본욱이 약하고 농림 6호는 강한 편이었다. (7) 평야부가 고지대보다 피해가 많았다. (8) 휴한답이 이모작답에 비하여 피해가 심하였다. (9) 습답, 반습답에 피해가 심한 편이며 건답이 적은 편이었다. (10) 물고부근의 피해가 내부보다 많은 편이다. (11) 점형발생답을 많이 볼 수 있었다. (12) 발병하였을 때의 낙수가 병세를 조장시켰다는 농민이 다수였다.

  • PDF

High Prevalence of Opisthorchis viverrini Infection in a Riparian Population in Takeo Province, Cambodia

  • Yong, Tai-Soon;Shin, Eun-Hee;Chai, Jong-Yil;Sohn, Woon-Mok;Eom, Keeseon S.;Lee, Dong-Min;Park, Keun-Hee;Jeoung, Hoo-Gn;Hoang, Eui-Hyug;Lee, Yoon-Hee;Woo, Hyun-Ju;Lee, Ji-Hwa;Kang, Sin-Il;Cha, Jae-Ku;Lee, Keon-Hoon;Yoon, Cheong-Ha;Sinuon, Muth;Socheat, Du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73-176
    • /
    • 2012
  • Opisthorchis viverrini infection was found to be highly prevalent in 3 riverside villages (Ang Svay Chek A, B, and C) of the Prey Kabas District, Takeo Province. This area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Cambodia, where the recovery of adult O. viverrini worms was recently reported. From May 2006 until May 2010, fe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1,799 villagers using the Kato-Katz thick smear technique. In the 3 villages, the overall positive rate for helminth eggs ranged from 51.7 to 59.0% (av. 57.4%), and the percentage positive for O. viverrini was 46.4-50.6% (47.5%). Other helminths detected included hookworms (13.2%), echinostomes (2.9%), Trichuris trichiura (1.3%), Ascaris lumbricoides (0.6%), and Taenia spp. (0.06%). The prevalence of O. viverrini eggs appeared to reflect a lower infection in younger individuals (<20 years) than in the adult population (>20 years). Men (50.4%)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P=0.02) prevalence than women (44.3%). The Ang Svay Chek villages of the Prey Kabas District, Takeo Province, Cambodia have been confirmed to be a highly endemic area for human O. viverrini infection.

High prevalence of liver and intestinal fluke infections among residents of Savannakhet Province in Laos

  • Chai, Jong-Yil;Han, Eun-Taek;Guk, Sang-Mee;Shin, Eun-Hee;Sohn, Woon-Mok;Yong, Tai-Soon;Eom, Keeseon S.;Eee, Keon-Hoon;Jeong, Hoo-Gn;Ryang, Yong-Sang;Hoang, Eui-Hyug;Phommasack, Bounlay;Insisiengmay, Bounnaloth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213-218
    • /
    • 2007
  • The prevalence of liver and intestinal fluke infections was surveyed on residents of Savannakhet Province, Laos. Fecal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981 residents in 4 Mekong riverside villages and examined by the Kato-Katz thick smear techniqu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verall helminth egg positive rate was 84.2%, and the positive rate for small trematode eggs, including Opisthorchis viverrini, heterophyids, or lecithodendriids, was 67.1 %. To obtain adult flukes, 38 small trematode egg positive cases were treated with a 20-30 mg/kg single dose of praziquantel and purged. Diarrheic stools were then collected from 29 people and searched for helminth parasites using stereomicroscopes. Mixed infections with O. viverrini and 6 kinds of intestinal flukes were found, namely, Haplorchis taichui, Haplorchis pumilio, Haplorchis yokogawai, Prosthodendrium molenkampi, Phaneropsolus bonnei, and echinostomes. The total number of flukes collected was 7,693 specimens (av. no. per treated person; 265.3). The most common species was O. viverrini, followed by H. taichui, P. molenkampi, echinostomes, H. pumilio, P. bonnei, and H. yokogawai. The results indicate that foodborne liver and intestinal fluke infections are prevalent among residents of Savannakhet Province, Laos.

바이오폴리머 신소재가 하천 자생 식물 발아 및 생장에 주는 영향 (Effects of the β-Glucan- and Xanthan gum-based Biopolymer on the Performance of Plants Inhabiting in the Riverbank)

  • 안주희;정형순;김은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3호
    • /
    • pp.180-188
    • /
    • 2018
  • 하천 제방의 토양 안정화 물질의 하나로, 미생물 유래 베타글루칸과 잔탄검 계열 바이오폴리머를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현재 진행중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폴리머 신소재의 생태성 평가의 일환으로, 바이오폴리머가 국내 하천에 자생하는 식물의 씨앗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낙동강과 영산강에 자생하는 총 9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발아율, 총 건중량, 지상부 건중량, specific leaf area 등 지상부 형질에서는 식물종 별로 다양한 바이오폴리머에 대한 반응을 나타냈다. 애기똥풀의 총 건중량과 지상부 건중량은 감소한 반면 타 식물종들은 건중량을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시켰다. 반면 대상 식물종들의 뿌리 생장 (뿌리 길이, 지상부 대비 지하부 건중량)은 바이오폴리머가 처리된 토양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시험된 바이오폴리머는 토양 강화 효과와 함께 자생 식물의 뿌리 생장을 촉진시켜, 제방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화학물질들에 대한 식물 반응의 종 특이성을 고려할 때, 보다 광범위한 식물종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중국 내몽고 동부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사막화 -커얼친 사지의 사례 - (The Land Use Change and the Desertification in the East Inner Mongolia, China - A Case Study on Horqin Desert -)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94-715
    • /
    • 2005
  • 이 논문은 중국의 반건조지대에 위치하는 네이멍구 동부의 커얼친 사지를 사례로 토지이용의 변화와 사막화의 전개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이 지역의 토지이용의 변화는 경지와 목축두수의 증가로 요약되며, 그에 따른 물과 식생의 이용 및 관리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이 사막화를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사막화의 전개 유형은 이동사구 확대 유형, 하안 유사 확대 유형, 촌락 주변 반점상 유사 확대 유형, 초지와 경지 중의 반점상 유사 확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토지이용 변화의 배경에는 1949년이래 사회주의 건설과 개혁개방으로 요약되는 사회적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이라는 두 가지 정치적 운동과 개혁개방으로 인한 농민과 목축민들의 수익추구가 이 지역의 토지이용에 미친 영향이 컸다. 1990년대를 전후하여 사막화에 대한 각성과 더불어 여러 가지 사막화 예방 및 퇴치 정책들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개방화 및 시장화라는 추세, 이 지역 농민들과 목축민들의 생존권과 수익, 그리고 무엇보다도 1949년 이후 이 지역에 고착된 교란된 인구구조와 그에 따른 토지이용체계에 의해 제약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