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ht-turn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6초

신호교차로에서 우회전교통류 운영방안 (Right-Turn Traffic Oper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김영찬;권민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9-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신호교차로에서의 우회전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적절한 우회전 운영 방안을 정립 및 제시하는데 있다. 현장 조사 결과 국내 우회전 전용 신호등은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관련 규정이나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또한 우회전 신호등에서 사용하는 적색신호의 의미가 도로교통법 상에 명시된 적색 원형 등화의 의미에 위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른 사고 발생의 위험도 존재한다. 국내는 기존에 적신호시 우회전을 허용함으로서 우회전 운영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최근 우회전 교통류에 대한 제어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관한 제도 및 운영 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회전 운영과 관련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해외 여러 국가의 우회전 운영 관련 지침을 검토하여 국내 우회전 운영방안을 정립하고 제시한다. 우회전 비보호 운영시에는 적색 신호의 의미를 우회전 차량에 대하여 일단 정지 후 진행할 수 있도록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회전 보호 운영을 위한 우회전 신호등 설치 시 우회전 전용차로가 하나 이상 확보된 경우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정해야 한다. 기존 신호등과 우회전 신호등의 차별성을 위하여 삼색 화살표 신호등을 우회전 전용 신호등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우회전 운영방안을 비보호, 보호, 보호 비보호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확률기반 비신호교차로의 우회전 전용차로 설치 기준 정립 (Establishing Probability-Based Warrants for Right-Turn Lanes at Unsignalized Intersections)

  • 문재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83-190
    • /
    • 2017
  •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raffic volume-based warrants of right-turn lanes at unsignalized intersections and to introduce a risk probability methodology based on the warrants. METHODS : In this study, a risk probability of a potential rear-end collision is applied between a right-turn vehicle and the immediately following through vehicle. Using the shifted negative exponential model and the compound probability theorem, the risk probability can be expressed as the function of directional volumes and the percentage of right-turns for a two-lane and four-lane highway, respectively. RESULTS : Based on the risk probablity, guidelines for installing right-turn lanes on two-lane and four-lane highways were developed. The risk probability also showed rationality by comparing with right-turn same-direction conflicts observed in-situ. CONCLUSIONS : The results of our study define the total approaching volumes to encourage a right-turn lane as a function of operating speed, percentage of right-turn, and number of lanes.

우회전 보정계수 산정기법 (The Technique of Estimating the Right-Turn Adjustment Factor)

  • 김경환;김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3-84
    • /
    • 2001
  • 현재 우리나라의 도로용량편람은 신호교차로에서의 한 차로군의 포화유율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7개의 보정요소가 적용된다. 이들 보정계수 중에서 우회전보정계수는 타보정계수에 비하여 복잡한 계산과정과 이해하기도 매우 어려운 수식의 사용을 요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정의 정밀도를 가지면서 이해하기 쉬우며 계산이 단순한 신호교차로에서의 우회전보전계수 산정기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장 자료에 기초한 우회전 포화유율 및 적색신호 동안의 우회전교통량(RTOR교통량) 추정식이 제안되었다. 우회전 포화유율은 우회전차로를 도류화와 비도류화로 양분한 다음 곡선반경과 교차도로 편도 차로수에 따라 포화유율을 추정하였다. RTOR교통량은 접근로의 차로당 직진교통량에 따른 'RTOR이 가능한 시간의 적색시간에 대한 비'를 이용하여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우회전보정계수 산정기법은, 전반적인 기법은 USHCM 2000의 기법을 수용하되 '한국 도로용량편람 개선 연구'의 결과를 일부 수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RTOR계수와 판별식에 의해 공용 우회전차로의 실질적 우회전차로로의 전용성을 판단하고 공용 우회전차로는 다시 단차로 접근로 여부에 따라 양분하여 총 3가지 경우로 구분하여 제시되었다.

  • PDF

회전교차로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효과 검토 (Effectiveness Analysis on the Installation of Right-Turn Bypass Lane in Roundabout)

  • 임진강;김경환;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9-37
    • /
    • 2010
  • 이 논문은 회전교차로 우회전 별도차로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 기하구조의 설계요소 중 우회전 별도차로의 설치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VISSIM을 이용하여 우회전 별도차로의 설치 전 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방식인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와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의 운영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후에는 우회전 교통량비의 증가에 따라 지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최대 평균 약 2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와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 모두 우회전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지체가 감소하였다. 또한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가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보다 최대 평균 약 18% 지체감소 효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로폭에 따른 우회전 공용차로의 통과교통량분석 (Throughput Analysis of Right Turn Shared Lane with Lane Width Change)

  • 김동녕;김경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31
    • /
    • 2003
  • 신호교차로에서 우회전 공용차로의 통과교통량은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복잡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용량분석에서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공용차로의 폭이 우회전 공용차로 통과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우회전 전용차로가 있는 경우와 순수하게 공용차로로 운영되는 경우의 중간단계에 있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공용차로의 폭원별로 이동류별 교통량, 차두시간. 손실시간, 여유폭 이용율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공용차로의 폭이 갓길을 포함하여 4.1m이상일 때 통과교통량 증가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4.6m일 때 한국도로용량편람 방법에 의한 통과교통량보다 2배 이상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차로 우회전 차량 보조등 개선 (Right-Turn Vehicle Supplementary Signal Improvement at Intersections)

  • 이남수;김유찬;임준범;김영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41-44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회전 교통처리를 위한 합리적인 신호운영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우회전 차량 보조등은 현재 일정한 규정이나 기준없이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회전 차량 보조등을 일관성 없이 사용하고 있고, 전방차량 신호등과 불일치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다. 우회전 차량 보조등이 적색일 때 우회전이 금지된다는 근거가 부족하며, 법과 다른 의미로 적색점멸신호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회전 차량보조등 설치가 신호위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현장 조사를 하였다. 우회전 차량 보조등이 설치된 접근로의 신호위반 비율이 높게 나타나서 우회전 차량 보조등이 우회전시 신호위반 비율을 낮추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회전 보조신호등의 유무에 따라 운전자가 신호등 해석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결과, 우회전 보조신호등의 유무나 우회전 보조신호등의 형태에 따라 신호등 해석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호체계변경에 따른 운전자의 혼란을 방지하고, 적신호시 우회전 허용에 따른 교통사고가 심각하지 않음을 고려하여 적신호시 우회전을 전면 금지시키는 것은 신중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신호시 일시정지후에 다른 차마나 보행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다면 우회전이 가능하도록 도로교통법에 반드시 일시정지할 것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우회전 보조신호등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운전자에게 명확한 신호전달을 위해 화살표 삼색등을 우회전 차량보조등으로 사용하기를 제안하였다.

우회전 차량 사고 예방을 위한 객체 탐지 및 경고 모델 연구 (A Study on Object Detection and Warning Model for the Prevention of Right Turn Car Accidents)

  • 조상준;신성욱;노명재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3-39
    • /
    • 2023
  • 교차로에서의 우회전 교통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우회전 교통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이에 우회전 지역의 CCTV 영상에서의 객체 탐지를 통해 보행자의 유무를 탐지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 경고 문구를 출력해 운전자에게 알리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객체 탐지 모델 중 하나인 YOLO(You Only Look Once) 모델을 이용하여 객체 탐지의 성능평가를 확인하고, 추가적인 후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인식 문제 해결 및 보행자 확인 시 경고 문구를 출력하는 알고리즘을 개발 하였다. 보행자 혹은 객체를 인식하여 경고 문구를 출력하는 정확도는 82%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를 통해 우회전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특수유형 회전교차로의 운영 효율성 분석 (Simulated Operational Efficiency Analysis of Special Roundabouts)

  • 임진강;박나영;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81-90
    • /
    • 2017
  • PURPOSES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special roundabouts using simulated programs. METHODS :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comparing the delays and traffic flow disturbances occurring at special roundabouts.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450 scenarios (5 roundabout types ${\times}$ traffic volumes ${\times}$ directional ratios ${\times}$ measur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elays and traffic flow disturbances using VISSIM and SSAM.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amburger roundabouts are determined to yield the least common-type delays, 2) the amount of delays at Turbo and Flower roundabouts with respect to relatively increased right-turn-type delays,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delays at the Left-turn slip-lane roundabout with respect to relatively increased left-turn-type delays, are found to be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mmon-type delays. Lastly, common- and increased right-turn-type traffic flow disturbances at the Turbo roundabout and increased left-turn-type traffic flow disturbances at the Left-turn slip-lane roundabout are determined to be the most infrequent. CONCLUSIONS :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five roundabout types: standard, Flower, Turbo, Hamburger, and Left-turn slip-lane. The effectiveness of roundabouts can increase according to given traffic volume, directional ratio, and measure of effectiveness.

교차로 공용차로 운영 효율성 분석 (A Study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Intersection Shared Lanes)

  • 박근영;이시복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2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공용차로 운영 효율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직진 우회전 공용차로의 경우 인접한 직진차로에 비해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로 인해 신호운영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차로별 교통량 수집을 통한 보다 정교한 신호최적화가 필요하다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운전자 교육, 홍보를 통해 공용차로의 이용률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좌회전 유턴 공용차로에서는 유턴 교통량에 대한 대향 우회전 교통량 비율에 따라 포화교통류율이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유턴, 우회전 차량간 간섭에 따른 현실적인 포화교통류율 보정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차량간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한 확률모형의 정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inematic Comparative Analysis of Long Turns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Ski Instructors

  • Jo, Hyun Dai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long turn mechanism by describing long turns after kinematic analysis and provide skiers and winter sports instructors with data through which they are able to analyze right postures for turns in skiing in a systematic, rational and scientific manner. Method: For this, a mean difference of kinematic variables (the center of gravity (CG) displacement of distance, trajectory, velocity, angle) was verified against a total of 12 skiers (skilled and unskilled, 6 persons each), regarding motions from the up-start to down-end points for long turns. Results: First, concerning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CG during a turn in skiing, skilled skiers were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at the upstart and edge-change points at a long tur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displacements. Second, in terms of CG-trajectory differences, skilled skier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a long turn. Third, regarding skiing velocity, skilled skiers were fast at the edge-change and maximum inclination points in long turns.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a hip joint in terms of a lower limb joint angle. In a knee joint, a large angle was found at the up-start point among skilled skiers when they made a long turn. Conclusion: In overall, when skilled and unskilled skiers were compared, to make a good turn, it is required to turn according to the radius of turn by reducing weight, concerning the CG displacement. Regarding the CG-trajectory differences, the edge angle should be adjusted via proper inclination angulation. In addition, a skier should be more leaned toward the inside of a turn when they make a long turn. In terms of skiing velocity, it is needed to reduce friction on snow through the edging and pivoting of the radius or turn according to curvature and controlling ski pressure. Regarding a lower limb joint angle, it is important to make an up move by increasing ankle and knee angles instead of keeping the upper body straight during an up 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