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weight loss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6초

왕겨의 혼합비율에 따른 톱밥⋅왕겨 혼합세라믹의 성질 (Properties of Sawdust-Rice Husk Mixed Ceramic According to The Rice Husk Mixing Ratios)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20-427
    • /
    • 2014
  • 제재과정에서 발생되는 톱밥과 농업부산물인 왕겨의 활용방안을 찾고자 왕겨의 혼합비율에 따라 혼합보드를 제조하고 수지함침 및 탄화과정을 거쳐 혼합세라믹을 제조하여 왕겨의 혼합비율에 따라 물성을 조사하였다. 같은 수지함침율에서 왕겨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탄화 후 밀도 및 휨강도는 증가하였으나 중량감소율은 감소하였다. 또한 같은 탄화온도에서 밀도와 휨강도는 왕겨혼합비율이 40%일 때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복합재료 제조 공정시 제조온도 및 시간에 의한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Impact on Manufacturing Temperature and Time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Bio-composites)

  • 박상용;한규성;김희수;양한승;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29-37
    • /
    • 2005
  • 본 연구는 바이오복합재(bio-composites) 제조시 제조온도와 시간이 기질인 열가소성 고분자와 충전제인 왕겨분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조온도가 왕겨분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왕겨분말을 $220^{\circ}C$에서 10분부터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열가소성 고분자인 polypropylene (PP)과 low-density polyethylene (LDPE)에 충전제로 첨가하여 바이오복합재를 제조한 후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220^{\circ}C$에서 왕겨분말의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왕겨분말의 주요 구성성분이 열분해로 인하여 인장강도와 충격강도값이 감소하였다. 실제적인 제조온도에 의한 중량감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이용하여 $220^{\circ}C$의 등온상태에서 2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열가소성고분자에서는 중량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충전제인 왕겨분말과 바이오복합재의 경우 시간이 증가할수록 열분해에 의한 중량감소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바이오복합재 제조시 높은 제조온도로 인한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와 제조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미강(米糠)과 야채첨가식이(野菜添加食餌)가 흰쥐의 체내대사(體內代謝)에 미치는 영향(影響)( II ) -열량소의 소화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he Metabolic Effects of Rice Bran and Vegetable Cellulose Supplemented Diets on Albino Rats -Especially on Apparent Digestibility of Intake Nutrients-)

  • 유춘희;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3호
    • /
    • pp.10-24
    • /
    • 1977
  • The effects of dietary cellulose to utilize the intake nutrients in the albino rats were investigated by the two consecutive experiments in this study. The author wan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age of animals and different level of dietary cellulose, high and low in the first experiment and the effects of dietary cellulose from three different sources, rice bran, vegetable and pure-cellulose at high level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bvious effect of dietary cellulose caused to increase feces weight. Consequently apparent digestibilities of intake nutrients in the diet decreased. It was noteworthy that fecal glucose excre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ellulose intake. Since three nutrients, protein, fat and carbohydrate serve as energy sources in the body,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o be lowered in the efficiency of energy utilization out of intake from the diet. (2) The nutrients loss due to dietary cellulose resulted in reduction of skeletal muscle and bone weights which lead eventually to affect in reduction of body weight. (3) The effects of dietary cellulose show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ellulose ingested, dietary nutrients composition, the kinds of dietary cellulose supplemented and the age of experimental animals. When the intake diet was proportionately imbalanced in three different energy sources,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the cellulose intake was adversely affected in the utilization of the nutrients in the body. Cellulose from rice bran decreased body weight gain, cellulose from vegetable maintained medium level in body weight and pure-cellulose increased body weight. Growing rats showed more sensitive effects of cellulose tolerance in the body than grown rats in every concerns of this experiment.

  • PDF

병 이삭도열병의 발병시기에 따른 수량감소 비교 (Assessments of Rice Yield Loss According to Infection Time of Neck Blast)

  • 심홍식;김용기;한성숙;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68-71
    • /
    • 2003
  • 이삭도열병 발병시기가 빠를수록 벼 수량은 비례하여 감소되는데 조생종인 진미벼의 경우 출수 초기에 발병된 벼는 2년간의 조사결과 83.9%와 81.6%가 각각 감수되었으며, 출수 30일과 42일 후에 발병될 경우에도 44.3%와 33.1%가 감수되었다. 이삭도열병 발생식기가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을 한 결과, 1999년은 y =-1.9729x + 71.878($R^2$ = 0.9764), 2000년은 y = ?1.6421x + 97.212($R^2$ = 0.8569)로 발병시기와 수량감소와는 매우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만생종인 추청벼의 경우에도 2년간의 조사결과 출수 초기에 발병된 벼는 64.9%와 47.8%가 감수되었으며, 출수 40일 후 발병된 경우 29.1%와 8.9%가 감수되었으며, 1999년은 y =-1-.2717x + 79.523($R^2$ = 0.9487), 2000년은 y = ?1.6872x + 74.545($R^2$ = 0.7993)로 발병시기와 수량감소와는 매우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천립중 조사결과도 출수초기에 발별된 경우 백수가 많았으며, 건전구 대비 진미벼는 38.3%, 추청벼는 57.3% 정도였으며, 출수 40일 후 발병된 경우 건전구 대비 진미벼는 87.9%, 추청벼는 92.9%로 천립중이 가벼워 벼가 충실하게 성숙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흑미 쌀가루를 연질미와 배합한 Gluten-Free 쌀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Rice Bread Formulated with Soft-Type Rice Flour Mixed with Black-Rice Flour)

  • 최옥자;정희남;신서호;김용두;심재한;심기훈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47-456
    • /
    • 2015
  • To develop functional bread and improve the quality of gluten-free brea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rice bread made from soft-type rice (Bodeurami) flour mixed with black rice at different levels (0%, 10%, 20%, 30%, and 40%, w/w). An increase in the mix level of black-rice flour increased the weight of rice bread but reduced its volume, baking loss, volume expansion, and specific volume. The results for Hunter's color value and texture measurements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the content of black-rice flour reduced the L-value, the b-valu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but increased the a-value,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According to the sensory analysis, rice bread formulated with a mixture of soft-type rice flour (80%) and black-rice flour (20%)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col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s. With respect to flavor and appearance, bread samples with 20% and 30% black-rice flour were preferred to those with 0%, 10%, and 40% black-rice flour. These results suggest that gluten-free rice bread mixed with wet-milling rice flour and black-rice flour can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and gluten-free bread.

냉동 비빔밥 제조 공정 중 콩나물, 무채 및 돈육의 품질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an Sprout, Radish, and Pork During the Unit Processing in Frozen Bibimbab Production)

  • 김이슬;선민지;홍근표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4호
    • /
    • pp.332-34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냉동비빔밥 제조 공정 중 주요 식재료인 콩나물, 무채 및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평가하였다. 콩나물의 품질은 원료의 데치기 공정, 해동 공정 및 최종조리 단계에서 변화가 야기되었으며, 특히 데치기 공정이 이후 단위 공정에 따른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공정 단계로 평가되었다. 무채는 해동 및 최종 조리 단계에서 높은 중량 감소를 보였지만, 다른 식재료에 비하여 감소 폭이 현저하지 않았다. 반면 취반미 혼합 공정에서 조직이 물러지는 현상이 야기되었다. 돈육은 취반미 혼합 및 최종조리 등 열처리에 의하여 중량 감소 및 연도 저하가 현저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원료 단계에서 콩나물의 데치기 온도 및 시간에 대한 최적화 공정이 요구되며, 특히 모든 식재료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취반미 혼합 공정에서의 품질 변화 억제를 위하여 냉동밥과 식재료를 분리하여 개별 냉동 후 포장할 수 있는 공정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백미밥과 잡곡밥의 당지수 차이가 열량 섭취량 및 포만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ycemic Index for Boiled White Rice and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on Food Consumption and Satiety Rate)

  • 정은영;서형주;홍양희;이인이;김동건;김미옥;장은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2호
    • /
    • pp.179-187
    • /
    • 2009
  •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glycemic index (GI) values of boiled white rice (GI=86) and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GI=58) could influence the total energy intake and satiety rate of a rice-based diet. Thirty adult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which they ate boiled white rice, or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along with side dishes for lunch, and then ate the same white rice diet for dinner in the lab once a week for 2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sual analogue scales for taste between the two diet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energy intakes for side dishes, the total energy consumed from the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diet (520.5 kcal) was significantly (p<0.001) lower than that consumed from the boiled white rice diet (560.2 kcal). For dinner, the subjects consumed significantly (p<0.001) lower calories when they had eaten the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diet for lunch as compared to the boiled white rice diet. In addition, the subjects reported significantly (p<0.01, p<0.001) higher satiety rates after consuming the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diet compared to the boiled white rice diet, despite consuming lower calori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ing low GI rice such as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substituted for boiled white rice, may be a useful strategy for weight loss and weight management since individuals will consume less energy without experiencing a reduction in satiety.

  • PDF

벼멸구 피해해석에 관한 연구 I. 벼멸구 가해시기 및 고사시기가 수도수량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f Damage on Rice by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I. Effects of Infested Stages of Rice and Appearance Days of Hopper-Burn on Yield Loss)

  • 김재덕;김호중;노승표;배성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53-157
    • /
    • 1984
  • 포장조건하에서 수잉기와 출수기에 벼멸구를 인위적으로 가해시킨 후 출수후 고사시기별로 수량수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출수후 23일경에 고사된 벼는 무접종구에 비하여 등숙율은 $32.2\~37.5\%$ 현미천립중은$ 3.2\~3.5g$ 감소되었다. 2. 고사시기가 같아도 수잉기부터 가해구는 출수기부터 가해구보다 등숙율 현미천립중, 현미수량이 낮았다. 3. 고사된 벼의 감수율은 무접종에 비하여 고사시기에 따라 $24\~62\%$였으며 출수후 고사일수(X)와 수량(Y)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었다. o 수잉기이후가해 : $\hat{Y}=10.145X-16.374(r=0.9726^{**})$ o 출수기이후가해 : $\hat{Y}=9.792X+26.936(r=0.8850^{**})$.

  • PDF

수리불안전답에서의 벼 품종별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 특성 변이 분석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Components According to Rice Varieties Between on Irrigated and Partially Irrigated Rice Paddy Field)

  • 김태헌;허연재;오성환;이지윤;조준현;한상익;이종희;백동원;송유천;최원영;남민희;박동수;권영업;신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7-24
    • /
    • 2016
  • 국내 가뭄 조건에서의 벼 품종별 재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인위적인 가뭄 처리 조건(수리불안전답 조건)에서 생육 특성과 쌀수량 조사하고 쌀수량 감소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리불안전답 조건에 의한 경수 및 이삭수 감소율은 품종에 따라 각각 10.7%에서 33.1%와 10.5%에서 30.1%였으며, 공시품종 중 '새일미', '일미'가 경수 및 이삭수 변화가 적었으며, '오대'와 '운광', '추청' 품종에서 경수와 이삭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2. 수리불안전답 조건에서의 쌀수량은 품종에 따라 수리안전답 조건보다 9.9%에서 33.3% 감소하였으며, 쌀수량 감소가 적은 품종은 '새일미'와 '주남', '일미'였으며, 감소율이 큰 것으로 조사된 품종은 '오대'와 '칠보', '호품' 등 이였다. 3. 수리불안전답 조건에 의한 생육초기 경수 발달 부진과 이의 영향에 의한 이삭수 감소가 쌀수량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본 연구에서 수리불안전답 조건에서의 쌀수량 감소를 분석한 결과, 국내 기상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뭄은 생육후기보다 생육초기의 경수 발달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농업용수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수리불안전답의 경우 가뭄에 대비하기 위하여 '새일미'와 '일미', '일품' 품종 같은 가뭄에 대한 재배안정성이 우수한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Effectiveness of a mobile health intervention on weight loss and dietary behavior changes among employees with overweight and obesity: a 12-week intervention study investigating the role of engagement

  • Imhuei Son;Jiyoun Hong;Young-Hee Han;Bo Jeong Gong;Meng Yuan Zhang;Woori Na;Cheongmin Sohn;Taisun Hyun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1-159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a mobile health (mhealth)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weight and changing dietary behavior among employees with overweight and obesity. The study also investigated whether engagement with the intervention affected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intervention involved the use of a dietary coaching app, a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physical activity and body composition, and a messenger app for communicating with participants and an intervention manager. A total of 235 employees were recruited for a 12-week intervention from eight workplaces in Korea. Questionnaire survey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24-h dietary recalls were conducted at baselin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mea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percentage,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 consumption frequencies of multigrain rice and legume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those of pork belly, instant noodles, processed meat, carbonated beverages, and fast food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at baseline. The mean dietary intake of energy and most nutrients also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When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ngagement leve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data, dietary behaviors, and energy intake were observed following the intervention,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at baseline, indicating that higher engagement level led to greater improvements in weight loss and dietary behavior. Conclusions: The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weight loss and dietary behavior changes, particularly among employees with higher engagement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increasing the level of engagement in the intervention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The mhealth intervention is a promising model for health promotion for busy workers with limited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