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ches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독나방에 의한 피부질환의 집단 발생에 관한 역학 조사 (An Epidemiologic Study on an Outbreak of Dermatosis Associated with Moths at a Factory)

  • 임현술;정철;김두희;성열오;김정란;신유항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2호
    • /
    • pp.359-370
    • /
    • 1996
  • An outbreak of dermatosis occurred at a machine manufacture factory in Kyongju on Aug 1995. Author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92 workers in the factory and a dermatologist examined their skin lesions. Authors also collected moths and identified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ty-two cases of dermatosis were identified with attack rate of 45.7%. Attack rate was not different by company,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duration of employment. Attack rate was 47.8% among productive workers, 25.0% among clerical workers and 100.0 % among patrolmen. 2. Two cases among 42 dermatosis cases and three subjects among 50 non-cases had a history of same dermatosis last year. Four of dermatosis cases had a history of dermatosis among their family members. 3. Skin lesions of the cases were scattered or grouped rice-sized erythematous papules or vesicles. Duration of dermatosis from the onset to the time of survey was from one day to more than 30 days. The most frequent site of skin lesion was the arms(81.0 %), and it was also observed at the neck(47.6 %), abdomen(45.2 %), chest(42.9 %), legs(38.1 %) and back(35.7 %). Skin lesion was aggravated with sweating(31.0 %), after shower(16.7 %) and with scratching(11.9 %). 4. Moth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s Euproctis subflava (Bremer). Many poisonous stings were observed on their wngs which is harmful to human. 5. Contact with moths' wing droppings to two authors on thier forearms for provocation resulted in severe immediate pain followed by prolonged pruritus. Erythematous macules quickly appeared and succeeded by firm wheal-like red papules. Authors thought that the outbreak of dermatosis was brought about by Euproctis subflava (Bremer). Further studies on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osperity of the moths in this area are needed.

  • PDF

좀진드기 교상에 의한 피부 질환의 집단 발생에 관한 역학 조사 (An Epidemiologic Study on Occupational Dermatosis Associated with Mites)

  • 임현술;김지용;정해관;성열오;이한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13-26
    • /
    • 1995
  • An outbreak of dermatosis occurred in a livestock fodder factory at Kyongju in May 1994. Author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60 workers in the factory and a dermatologist examined their skin lesion. Authors also collected mites and identified them. The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wenty-eight cases of dermatosis were identified with attack rate of 46.7%. Attack rate was not different by department,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duration. Attack rate was 67.5% in productive worker and 5.0% in clerical workers (p<0.01)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epartments among productive workers (p>0.05). 2. Three cases among 28 dermatosis cases and one subject among 32 non-cases had a history of same dermatosis last year. Only one of dermatosis cases had a history of dermatosis among family members. History of other skin lesion and allergy was very rare in both cases and non-cases. 3. Skin lesions of the cases were rice-sized erythematous rapules or vesicles with a central biting point. Onset date of dermatosis was between May 1 and June 10. Duration was from one day to more than 30 days. Skin lesion was most frequent at the back(75.0%), and also observed at the arms(64.3%), abdomen(60.7%), legs(57.1%), chest(32.1%) and neck (25.0%). Skin lesion was aggravated while workers are sweeping the floor(35.7%), working at the workplace(21.4%) and in bed at night(28.6%). 4. Total 1,637 mit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into 3 suborder, 7 families and 17 species. Dermatophagoides farinae was most frequent md most of the species identified were blood sucking mites. Authors concluded that the. outbreak of dermatosis was brought about by mite-bites and grain beetle parasitizing Acarophenax tribolii was the most suspected species. Further studies to identify the specific species causing dermatosis and route of import are needed.

  • PDF

왕침개미에 의한 피부질환 집단 발생에 관한 역학 조사 (Epidemiologic Survey on Outbreak of Dermatosis Associated with Ants, Pachycondyla chinensis)

  • 임현술;김병진;배근량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3호
    • /
    • pp.421-426
    • /
    • 1999
  • 도시 가스 제조 공장에서 집단적으로 피부질환이 발생하여 1998년 8월 14일과 9월 11일 2차례에 걸쳐 한번이라도 설문조사가 가능하였던 사무직 49명, 생산직 15명, 탱크로리 운전기사 6명 및 경비 3명 총 73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역학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방법은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피부질환이 있는 근로자의 피부병변을 피부과 전문의가 관찰하였다. 집단 피부질환의 발생 원인이 개미일 것이라는 가설 하에 원인으로 생각하는 개미를 채집하여 종명을 확인하였다. 조사 대상자 73명 중에서 이번 유행과 관련된 피부질환 발생자는 12례로 피부 질환 발병률은 16.4%이었다. 연령별, 교육수준별 및 근무기간별 발병률의 차이는 없었다. 직종별 피부질환의 발병률은 생산직 근로자에서 타직종 근로자보다 유의하게 발병률이 높았다. 피부질환 발생 장소는 10례가 생산동의 조종실이었고, 9례가 개미에게 물린 것을 확인하였다. 원인으로 생각되는 개미를 채집 동정한 결과 왕침개미(Pachycondyla chinensis) 임을 확인하였다. 피부질환 환자군 12명과 비환자군 61명을 비교한 결과 1997년에 동일한 피부질환은 없었다. 가족 중 피부질환자는 환자군에서 1명이 있었으나 유행과는 무관하였고, 피부질환과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도 차이가 없었다. 피부병변은 개미 교상후 홍반이 발생하였고, 주증상으로는 가려움증이 가장 많았다. 3례에서는 전신적인 알레르기 피부병변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피부질환은 7월 30일부터 8월 12일까지 발생하였고, 유병기간은 5일부터 30일까지이었다. 피부병변의 발생부위는 가슴과 복부가 각각 66.6%, 목과 팔은 각각 33.3%, 어깨와 등은 각각 16.7%이었고 최초 발생부위는 복부가 41.7%, 목이 25.0%, 팔은 16.7%이었다. 치료 방법은 자가 치료가 9례(75.0%), 약국 방문이 1례 (8.3%), 병원 방문이 2례(16.7%)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번 집단 피부질환 유행은 왕침개미의 교상에 의하여 발생하였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본 유행을 일으킨 개미가 이 지역에서 유행하게 된 원인과 개미의 생활사에 대한 연구와 함께 환경개선 및 재발을 막기 위한 예방적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 PDF

한국인 젊은 여성의 리보플라빈 섭취상태와 EGRAC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iboflavin Intake and EGRAC of Young Healthy Korean Women)

  • 황금희;오승호;임현숙;장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3-110
    • /
    • 1991
  • 우리나라 젊은 여성의 리보플라빈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광주시에 거주하는 젊은 여성 8명을 대상으로 3주간의 식이섭취조사와 임상검사를 실시하고 EGRAC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실험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2.1세였으며 신장은 154.4cm, 체중은 49.2kg, 흉위는 81.2cm, 상완 하부, 견갑골 하부 및 복부 피부두께의 합은 79.5mm, BMI는 20.6이었다. Hb함량은 13.0g/100ml, Hct 치는 44.0%, A/G ration는 1.4, GOT, GPT 및 alkaline phosphatase활성은 각각 14, 11.0 및 6.5로서 혈액학적 및 임상적으로 이상이 없었다. 에너지, 단백질 및 리보플라빈의 1일 평균 섭취량은 각각 1745kcal, 56.1g 및 1.14mg으로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비해 낮았다. 리보플라빈의 주요 급원 식품은 우유로서 27.7%의 리보플라빈의 주요 급원 식품은 우유로서 27.7%의 리보플라빈이 우유로부터 공급되었고, 기타 달걀, 배추, 쌀, 쇠고기 등의 순으로 기여도가 높았다. ERGAC는 평균 1.2784이었으며 ERGAC는 1.20이상으로 생화학적인 리보플라빈 결핍상태인 대상자는 62.5%이었다. 이들에게 1일 6mg의 리보플라빈을 1주간 투여한 결과 ERGAC는 모두 1.20이하로 감소되었다. 에너지, 단백질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상호간에 고도의 유의적인 정상관을 보였고, 이들은 모두 EGRAC와 유의적인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에너지 섭취량 1,000kcal를 단위로 나타낸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에너지 섭취량과는 유의적인 부적상관을 보인 반면 단백질 섭취량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고 EGRAC와도 유의적인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 은 여성의 리보프랄빈 영양상태를 생화학적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상당수가 결핍상태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에너지 및 단백질 섭취량과 고도의 유의적인 정상관을 가지므로 리보플라빈 섭취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에너지 또는 단백질섭취량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한편 에너지 섭취가 낮은 경우에 리보플라빈 섭취량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는 점도 시사되었다. 시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