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cells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 of Nitrogen on Cell Dynamics at Leaf Growth Zone in Two Rice Varieties

  • Sung, Jwa-Kyung;Lee, Chul-Won;Kim, Tae-Wan;Hwang, Seon-Woong;Song, Beom-H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1-125
    • /
    • 2004
  • In plants, nitrogen is the major component for growth and development. Leaf growth is based on the division, elongation and maturation of cells, which are used for making of epidermis, mesophyll, bundle sheath, xylem, phloem and so on. Dynamics of these tissues with respect to nitrogen are required for better understandi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 of nitrogen on the elongation of epidermal and guard cell of two rice (Oryza sativa L.) varieties, Seoanbyeo and Dasanbyeo on May 2000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Cheongju. After transplaning the 20-day-old seedlings into a/5000 pots, the main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cell elongation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A maximum. leaf length reached at 7 or 8 days after emerging from the collar, and also the leaf elongation rates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increase of N application rate. The initial and final cell length were about $17\mu\textrm{m}$ and $130\mu\textrm{m}$, respectively. Cell divisions occurred within 1.0mm from leaf base. With die higher nitrogen application rate of 22 kg-N $10\textrm{a}^{-1}$, cell division per hour was greater 1.5 to 1.9 and 1.2 to 1.3 fold as compared to the N application rate of 0 and 11 kg-N $10\textrm{a}^{-1}$, respectively. Cell enlargement of epidermal and guard cell under higher N application rate (22kg-N $10\textrm{a}^{-1}$) was finished within about 20 (Seoanbyeo) and 15 hours (Dasanbyeo), while it took much time, about 30 hours.

The Rice FON1 Gene Controls Vegetative and Reproductive Development by Regulating Shoot Apical Meristem Size

  • Moon, Sunok;Jung, Ki-Hong;Lee, Do-Eun;Lee, Dong-Yeon;Lee, Jinwon;An, Kyungsook;Kang, Hong-Gyu;An, Gynhe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1호
    • /
    • pp.147-152
    • /
    • 2006
  • Most plant organs develop from meristems. Rice FON1, which is an ortholog of Clv1, regulates stem cell proliferation and organ initiation. The point mutations, fon1-1 and fon1-2, disrupt meristem balance, resulting in alteration of floral organ numbers and the architecture of primary rachis branche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wo knockout alleles, fon1-3 and fon1-4, generated by T-DNA and Tos17 insertion, respectively. Unlike the previously isolated point mutants, the null mutants have alterations not only of the reproductive organs but also of vegetative tissues, producing fewer tillers and secondary rachis branches. The mutant plants are semi-dwarfs due to delayed leaf emergence, and leaf senescence is delayed. SEM analysis showed that the shoot apical meristems of fon1-3 mutants are enlarg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N1 controls vegetative as well as reproductive development by regulating meristem size.

팽화미분과 zeolite를 이용한 청주 제조공정의 개선 (Improvement of Cheongju Manufacturing Process Using Gelatinized Rice and Zeolite)

  • 서민재;유상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10-616
    • /
    • 2002
  • 공정이 복잡한 청주제조공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 미분과는 물성이 전혀 다른 팽화미분을 사용하여 새로운 청주제조공정을 개발하였다. 당화액으로부터 고형분을 제거하고 28%(w/v)의 당농도에서 발효를 시작한 경우 효모의 생육이 늦어지며 발효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20%(w/v)의 당액에 zeolite를 첨가하여 발효를 시작하고, 발효 중 2회에 걸쳐 영양원을 첨가하였다. 이러한 조정으로 효모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총 발효기간을 40%(percent) 감소시킬 수 있었다. 상쾌하고 깊은 맛을 갖으며, 알코올 함량이 18%(v/v)인 청주를 12일 만에 제조할 수 있었다. 발효 침전물로부터 회수한 효모를 4번까지 재사용하여 발효를 실시하였으며, 이 경우 효모의 생존율, 알코올 생성, 향기성분 등의 변화 등이 관찰되지 않아 효모의 재사용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복잡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전통적인 청주제조공정을 간단하며 효율적인 방법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Overexpression of RICE FLOWERING LOCUS T 1 (RFT1) Induces Extremely Early Flowering in Rice

  • Pasriga, Richa;Yoon, Jinmi;Cho, Lae-Hyeon;An, Gynhe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5호
    • /
    • pp.406-417
    • /
    • 2019
  • RICE FLOWERING LOCUS T 1 (RFT1) is a major florigen that functions to induce reproductive development in the shoot apical meristem (SAM). To further our study of RFT1, we overexpressed the gene and examin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major regulatory genes during floral transition and inflorescence development. Overexpression induced extremely early flowering in the transgenics, and a majority of those calli directly formed spikelets with a few spikelets, thus bypassing normal vegetative development. FRUITFULL (FUL)-clade genes OsMADS14, OsMADS15, and OsMADS18 were highly induced in the RFT1-expressing meristems. OsMADS34 was also induced in the meristems. This indicated that RFT1 promotes the expression of major regulatory genes that are important for inflorescence development. RFT1 overexpression also induced SEPALLATA (SEP)-clade genes OsMADS1, OsMADS5, and OsMADS7 in the greening calli before floral transition occurred. This suggested their possible roles at the early reproductive stages. We found it interesting that expression of OsFD1 as well as OsFD2 and OsFD3 was strongly increased in the RFT1-expressing calli and spikelets. At a low frequency, those calli produced plants with a few leaves that generated a panicle with a small number of spikelets. In the transgenic leaves, the FUL-clade genes and OsMADS34 were induced, but SEP-clade gene expression was not increased. This indicated that OsMADS14, OsMADS15, OsMADS18, and OsMADS34 act immediately downstream of RFT1.

현미유가 생쥐의 골수로부터 M2로 유도한 대식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호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Rice Bran Oil on Mitochondrial Respiration in M2-induced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 이소정;김우기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353-357
    • /
    • 2018
  •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rice bran oil (RBO), an edible oil from the byproducts of rice milling, has anti-inflammatory effects in inflammation inducing macrophages, known as M1 subsets. Yet the effects of RBO on the counterpart M2 subsets, the "healing" macrophages, were poorly investigated to date. In this regard, recent studies on the molecular/cellular anti-inflammatory mechanisms of dietary components have demonstrated that mitochondrial respiration contributes to macrophage functioning. Therefore,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RBO regulates cytokine secretion by modulating mitochondrial metabolism in wound healing M2 subsets. Palm oil (PO), enriched with medium-chain fatty acids, served as a positive control. C57BL/6 mice were fed a diet containing either corn oil (CO), PO or RBO for 4 weeks, followed by purification of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 from their tibias and femurs. Cells were further polarized to M2-BMDM, and the expression of M2 marker (CD206) on cellular surfaces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secretion of anti-inflammatory cytokine (IL-10) in the culture supernatant was not affected by dietary lipids. Oxygen consumption rate, the indicator of mitochondrial respiration in M2-BMDM was not regulated by RBO intervention and PO treatment. Taken together, this study imply that RBO did not intervene both th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in M2 macrophages.

갓과 흑미강 혼합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besity Effects of Mixture of Brassica juncea and Black Rice Bran)

  • 임지현;임준석;한웅호;문효;오건;조근희;최선일;황운상;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4-252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of a mixture of Brassica juncea extract (BJE) and fermented black rice fraction (BRF). We investigated the total 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tioxidant effects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FRAP and ORAC assay) and anti-obesity activity of the mixture in 3T3-L1 cell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BRF mixture ratio. The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as the BRF mixture ratio increased. In addition, BJE and BRF mixtures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during the 3T3-L1 differentiation period.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BJE and BRF mixtures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warrant further experiments to develop an anti-obesity functional food using a mixture of BJE and BRF.

건조김 제조시 키토산처리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on the Quality of Dried Lavers)

  • 박정욱;강성국;오시원;박선영;정순택;박양균;임종환;함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15-1119
    • /
    • 1999
  • 키토산을 처리하여 건조 김을 제조하고 건조 김의 관능특성, 미생물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2차 가공품인 김밥에 키토산김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키토산을 처리하여 제조한 건조김과 무처리 건조김을 관능평가에 의해 비교하였을 때 색깔 조직감 및 맛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김에서 나는 갯비린내는 키토산 처리김에 있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건조김의 총균수에 있어서는 무처리 건조김의 경우 약 37,000 cells/g이 검출되었으나, 30 cp 키토산을 0.1% 농도로 처리하여 건조김을 만들 경우 2,100 cells/g으로 균체수가 1/10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균체수의 감소경향은 처리 키토산 농도가 높을수록 효과적이었다. 이런 경향은 평균 분자량이 더 큰 90 cp 키토산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비슷하게 나왔다. 대장균군에 있어서는 무처리 건조김에서는 240 cells/g 정도가 검출되었으나, 30 cp 키토산을 0.1%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90 cp 키토산을 0.005%와 0.04%로 처리하여 건조김을 제조하였을 때 각각, 93 cells/g과 3.6 cells/g이 검출되었다. 키토산 처리 건조김으로 김밥을 제조하여 $20^{\circ}C$에서 총균수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30 cp, 90 cp 키토산으로 처리된 건조김으로 만든 김밥에 있어 모두 무처리 건조김으로 만든 김밥보다 총균수 증가가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며, 키토산처리 건조김의 이용은 김밥의 유통기간의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Fabrea salina의 대량배양과 먹이효율 (Mass Culture and Dietary Value of Fabrea salina)

  • 박철현;허성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2-37
    • /
    • 2001
  • Fabrea salina는 광염성의 크기가 작고 부유성인 섬모충으로 번식률이 높아 rotifer를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동물먹이생물로 기대되어 왔다. 그러나 본 섬모충의 먹이효율에 대한 보고는 rotifer와 비슷하였다는 긍적적인 결과와 어류자어가 섭취하지 않았다는 부정적인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상반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만 염전에서 자연산 F. salina를 채집하여 6 종의 식물먹이생물과 쌀, 보리, 밀 등의 곡식을 이용하여 대량배 양한 후 은어자어에 공급하였다. F. salina의 성장은 식물먹이생물 중에서는 Heterosigma sp.,곡류 중에서는 쌀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F. salins의 최적 배양 수온은 $33^{\circ}C$이며 $35\~95ppt$ 염분에서의 성장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eterosigma sp를 공급할 경우의 적정 먹이농도는 $5\times10^6$cells/mL였고 쌀의 경우는 2.8g/L였다. F. salina를 Heterosigma sp.와 쌀로 각각 배양하여 부화 후 6일이 된 은어 자어에 공급한 결과 사육 3일만에 $96\%$ 이상의 사망률을 보였고 유지효모로 배양한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를 공급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F. salina는 대량배양은 용이하였으나 어류 자어의 먹이생물로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57BL/6J 마우스에서 울금(Curcuma longa L.) 추출물이 첨가된 인조쌀의 체내 지질 수준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Artificial Rice Containing Curcuma longa L. Extract on Lipid Parameters in C57BL/6J Mice)

  • 육진선;김민아;이승제;최정운;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114-11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울금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3T3-L1 지방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세포 수준에서 울금 인조쌀의 지방구 형성 조절을 통한 지질축적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더 나아가 C57BL/6J 마우스에 고지방식이와 함께 인조쌀, 울금 추출물이 첨가된 인조쌀을 공급하였을 때 체중과 지질대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세포 실험의 결과로부터 울금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후 $20{\mu}g/mL$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지방구형성 억제를 관찰하였다. 동물 실험에서는 식이효율을 측정한 결과 인조쌀을 섭취한 군에서 그 효율이 낮아졌으며, 특히 울금 인조쌀을 섭취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부고환 지방 무게는 인조쌀 섭취군에서는 고지방섭취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울금 인조쌀을 섭취한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혈청 지질 수준은 인조쌀군과 울금 인조쌀군 모두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혈청 중성지방은 인조쌀군과 울금 인조쌀군 모두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인조쌀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울금 인조쌀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울금 이 첨가된 인조쌀에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소와 여러 생리활성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 축적을 억제하여 일상식을 통한 체내 지질 수준 개선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저온.담수토양에서 벼종자 $\beta$-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호분층 인접 배유의 전분분해 양상 (Expression of $\beta$-amylase Gene and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of Germinating Rice Seed under Low Temperature and Submerged Soil Condition)

  • 윤병성;강원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3-417
    • /
    • 2002
  • 온대 수도작에 있어서 발아시의 조건에 가까운 저온.담수 토양조건에서의 출아에 관련된다고 생각되어지는 $\beta$-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발현 양상이 실제로 호분층 인접 부분의 전분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in situ hybridization과 현미화학적방법으로 검토하였다. 1.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했던 장향도 품종은 호분층에서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였다. 2.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하지 못했던 수원 287호는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이지 않았다. 3. $\beta$-아밀라제 활성의 유무에 의해 배반세포에 인접한 배유부분의 전분분해량에 변화를 보여 $\beta$-아밀라제 활성이 높은 장향도, 은방주(Ginbozu), Fortana I-133가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는 $\beta$-아밀라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원 287호와 시험한 모든 조건하에서 $\beta$-아밀라제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던 농림(Norin) 6호, 고시히까리(Koshihikari) 보다 배반상피세포 및 배반상피세포에 인접한 호분층 근접 배유부분의 전분립 감소가 컸다. 이상의 결과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벼 종자의 출아에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과 전분 분해의 연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