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ctonia blight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9초

벼잎집무늬마름병(病)의 생태학적연구(生態學的硏究) III. 경종적방법(耕種的方法)과 발병(發病) (Ecological Studies on Rice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III. Cultural Method and Disease Development)

  • 김장규;나동수;민홍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0
    • /
    • 1985
  • 진흥(振興)과 유신(維新)을 공시(供試)하여 이앙시기(移秧時期), 재식밀도(栽植密度),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과 벼잎집무늬마름병(病) 발생(發生)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 하였다. 잎집무늬마름병(病) 발생(發生)은 5월(月) 26일(日) 이앙구(移秧區)보다 5월(月) 16일(日) 이앙구(移秧區)에서, $3.3m^2$ 당 100주(株) 재식구(栽植區)가 80주(株) 재식구(栽植區)보다 , 질소질배비구(室素質倍肥區)(진흥(振興) 220kg/ha, 유신(維新) 300kg/ha) 가 보비구(普肥區)에서보다 발병(發病)이 심(甚)하였다. 또한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발병(發病)이 심(甚)했던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성숙기(成熟期)의 피해도(被害度)가 높았다.

  • PDF

Field Sanitation and Foliar Application of Streptomyces padanus PMS-702 for the Control of Rice Sheath Blight

  • Yang, Chia-Jung;Huang, Tzu-Pi;Huang, Jenn-We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57-71
    • /
    • 2021
  • Rice sheath blight (ShB),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Kühn AG1-IA, is one of the destructive rice diseases worldwid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biocontrol strategies focusing on field sanitation and foliar application with a biocontrol agent for ShB management. Streptomyces padanus PMS-702 showed a great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R. solani. Fungichromin produced by S. padanus PMS-702, at 3.07 mg/l inhibited 50% mycelial growth, caused leakage of cytoplasm, and inhibited the formation of infection structures of R. solani. Fungichromin could reach to 802 mg/l when S. padanus PMS-702 was cultured in MACC broth for 6 days. Addition of 0.5% S. padanus PMS-702 broth into soil decreased the survival rate of the pathogen compared to the control. Soil amended with 0.5% S. padanus broth and 0.5% tea seed pomace resulted in the death of R. solani mycelia in the infested rice straws, and the germination of sclerotia was inhibited 21 days after treatment. Greenhouse trials revealed that S. padanus cultured in soybean meal-glucose (SMGC-2) medium after mixing with different surfactants could enhance its efficacy for inhibiting the pathogen. Of six surfactants tested, the addition of 2% tea saponin was the most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pathogen. S. padanus broth after being fermented in SMGC-2, mixed with 2% tea saponin, diluted 100 fold, and sprayed onto rice plants significantly reduced ShB disease severity. Thus, S. padanus PMS-702 is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The efficacy of S. padanus PMS-702 for disease control could be improved through formulation.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 추출물에서 Bacillus velezensis HKB-1의 배양적 특징 및 고추역병의 생물학적 방제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velezensis HKB-1 in the water extract of the composted spent mushroom substrate of Lentinula edodes and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disease of pepper)

  • 김자윤;서현지;강대선;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2-278
    • /
    • 2021
  • Bacillus velezensis HKB-1가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로부터 분리되었으며 고추역병균(Phythopthora capsici), 인삼모잘록병균(Rhizoctonia solani), 고추탄저병균(Collectotrichum coccodes) 및 시들음병(Fusarium oxysporium)의 균사체 성장을 70% 이상 억제하는 항 진균 활성을 보였다. B. velezensis HKB-1은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 물 추출물과 당밀 1% 첨가배지에서 다른 상업용 세균배지보다 10~100배 더 높은 세균증식률을 보였으며 고추 역병균의 균사체 생장을 90% 억제하였으며 고추생육 촉진효과 및 고추역병에 대하여 70% 이상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Bacillus vallismortis EXTN-1-Mediated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Suppression in Rice

  • Park Kyung-Seok;Paul Diby;Yeh Wan-H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278-282
    • /
    • 2006
  • Bacillus vallismortis EXTN-1, a biocontrol agent in cucumber, tomato and potato was tested in rice pathosystem against rice fungal pathogens viz. Magnaporthe grisea, Rhizoctonia solani and Cochliobolus miyabeanus. Apart from increasing the yield in the bacterized plants (11.6-12.6% over control), the study showed that EXTN1 is effective in bringing about disease suppression against all the tested fungal pathogens. EXTN-l treatment resulted in 52.11% reduction in rice blast, 83.02% reduction in sheath blight and 11.54% decrease in brown spot symptoms. As the strain is proven as an inducer for systemic resistance based on PR gene expression in Arabidopsis and tobacco models, it is supposed that a similar mechanism works in rice, bringing about disease suppression. The strain could be used as a potent biocontrol and growth-promoting agent in rice cropping system.

기장 점무늬병균 (Bipolaris panici-miliacei)의 형태적 특징과 종자전염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Seed Transmission of Bipolaris panici-miliacei Causing Leaf Spot of Common Millet)

  • 이두형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21
    • /
    • 1997
  • Bipolaris panici-miliacei, Cercospora fusimaculans, Fusarium moniliforme and Rhizoctonia solani were pathogenic fungi detected from 5 seed samples of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Morphological characters of B. panici-miliacei were as follows. Conidiophores were dark olivaceous brown, simple, cylindrical, geniculate, and septate. Conidia were fusoid, dark olivaceous brown, tapering gradually toward the ends, straight to slightly curved, 3~13 distoseptate, and 29.4~155.4$\times$10~26 ${\mu}{\textrm}{m}$ in size with dark hilum included within the contour of the basal cell. Seed infection with B. panici-miliacei caused seed rotting, coleoptile spot, and seedling blight of common millet plants. According to the inoculation experiments, B. panici-miliacei showed strong virulence on the young seedlings of common millet, but very weak virulence on the young seedlings of rice (Oryza sativa) and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 PDF

잔디 병해 방제를 위한 항균성 약용식물의 탐색 (Screening of Antifungal Medicinal Plants for Turfgrass Fungal Disease Control)

  • 권수민;김대호;장태현;전민구;김인섭;김익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6-181
    • /
    • 2010
  • 잔디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로 한지형 잔디에서 갈색잎마름병(Rhizoctonia solani AG1-1), 동전마름병(S. homoeocarpa), 피시움마름병(Pythium. spp.), 탄저병(C. graminicola)과 난지형 잔디에서 누른잎마름병(R. cerealis), 라이족토니아마름병 (R. solani AG2-2)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잔디 주요 병원균 6종에 대한 한약재 23종의 항진균 활성을 알아보았다.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진균 활성이 있는 한약재를 선발하였고, 선발된 한약재를 대상으로 균사생육억제 효과를 실험하여 검정하였다. 항진균 활성 시험 결과, 한약재 23종 중고삼 외 11종의 시료에서 항진균 활성이 있었으며, 균사생육 억제효과를 통한 검정에서는 10 mg/10 ml(1000배) 추출물 첨가 배지에서 잔디 병원균 6종 중 1종이라도 균사 억제율이 80% 이상인 추출물은 고삼, 울금, 대황, 황련, 족두리풀로 나타났다. 특히 고삼 추출물은 실험 대상인 잔디 병원균 6종에 대해 모두 항진균 활성이 나타났고, 울금 추출물 10 mg/10 ml(1000배), 5 mg/10 ml(2000배), 2 mg/10 ml(5000배) 첨가 배지에서 S. homoeocarpa 에 대해 100% 균사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Pythium spp. 균사 억제효과가 100%인 것은 고삼, 대황, 황련으로 나타났다.

국내 잔디 재배지 주요 병해 발생 및 병원균 밀도 조사 (A Detail Investigation of Major Diseases Occurrence and Pathogen Population on Turfgrass Cultivation in Nationwide)

  • 민규영;이정한;곽연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21-1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잔디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병해와 Rhizoctonia spp. 밀도를 조사하였다. 진주포장에서 갈색퍼짐병(Large patch)이 35% 발생하였고, 9월에 녹병이 발생하였다. 갈색마름병은 남해지역에서 9월과 10월을 거쳐 발생하였으며 7월 초 피시움잎마름병이 대발생 하였고, 동전마름병(Dollar spot)의 경우 전체 면적에 3%에 달하는 면적이 심각하게 피해를 입은 포장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주 대평에서 페어리링과 갈색퍼짐병이 발생하였다. 전북고창에서는 페어리링과 테이크올패치가 나타났으며 충북청주에서는 다수의 포장에서 갈색마름병이 관찰되었다. 경기평택에서는 갈색마름병, 도열병, 썸머패취, 커브라리아엽고병, 커브라리아엽고병과 녹조의 복합피해가 나타났다. 전염원 밀도는 장성, 진주, 산청과 남해지역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 발생과 병원균을 조사한 결과 골프코스에서 나타나는 병해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들잔디로부터 β-1,3-glucan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특성분석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β-1,3-glucanase gene from Zoysia japonica steud)

  • 강소미;강홍규;선현진;양대화;권용익;고석민;이효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50-456
    • /
    • 2016
  • 한국형 잔디에서는 다른 병에 비해 진전 속도가 빠르고 주로 뿌리에서부터 발병하여 잔디를 고사시키고 발병 후 구제하기 매우 어려운 라이족토니아잎마름병(라지패취)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라이족토니아잎마름병(라지패취)은 Rhizoctonia solani AG2-2 (IV)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병원균에 강한 내병성 들잔디를 개발하기 위해 식물방어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PR-Protein 중 하나인 ${\beta}-1,3-glucanase$를 들잔디로부터 클로닝 하였다. ${\beta}-1,3-glucanase$는 바이러스나 균의 감염으로 인해 식물조직이 과민반응을 일으킬 때 세포내에서 생성되고 세포 외로 분비되어 세포 사이 공간에서 주로 병원균 저항성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eta}-1,3-glucanase$ 단자엽식물 중 내병성에 대한 연구가 되어있는 옥수수, 밀, 보리, 벼의 염기서열에서 공통으로 보존되어 있는 부분을 이용해 degenerate PCR을 수행하고 얻어낸 sequence를 통해 Full-length의 cDNA를 클로닝 하였다. E.coli overexpression을 수행하여 목표 단백질을 대량 정제하여 in vitro 활성 측정 및 항균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또한, ZjGlu1 유전자의 기능을 해석하기 위해 각각의 유전자를 도입한 식물형질전환용 벡터를 제작하여 잔디 형질전환체 제작을 하였다. ZjGlu1 단백질을 이용하여 9개의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 테스트를 진행 한 결과 R. cerealis, F. culmorum, R.solani AG-1 (1B), T. atroviride 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형질전환체를 이용해 18s 유전자의 발현량을 상대로 한 각 유전자의 기관별 발현량은 크게 차이없이 모든기관에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도 품종의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연구 I.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검정을 위한 균주선발 (Studies on Varietal Resist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in Rice I. Selection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 for Screening of Varietal Resistance to Rice Sheath Blight Disease)

  • 김광호;양계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0
    • /
    • 1987
  • 벼 품종의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검정에 사용할 R. solani 균주를 선발할 목적으로 전국 7개지역에서 수집한 58개균주의 배양특성을 조사하여 균주의 배양형을 나누고 각 배양형에서 대표되는 균주를 선정, 9개 벼 품종에 접종시켜 균주의 병원성과 품종저항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잎집무늬 마름병균의 균주를 PSA 배지상에서 기르면서 조사한 5종류의 배양특성은 균주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균주별 배양특성에 근거하여 공시한 58개 균주를 7종의 배양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2. 각 배양형에 속하는 잎집무늬마름병균 균주의 지역적인 분포는 차이가 있어서 균주분포의 지역특이성이 인정되었으며 Ia 배양형에 속하는 균주만이 7개 지역 모두에 분포되어 있었다. 3. 각 배양형을 대표하는 7개 균주의 병원성은 서로 달랐으며 균주별 병원성은 검정품종에 따라서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4. 균주의 병원성검정에 사용되었던 9개 벼 품종의 저항성정도도 품종간 차이가 켰으며 품종의 저항성 반응도 접종한 균주에 따라서 달리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5. 공시한 균주의 병원성정도와 지역적인 분포범위를 고려하여 벼 잎집무늬마름병 저항성검정에 사용할 균주를 선발할 수 있었다.

  • PDF

혹명나방 저항성벼(Cry1Ac1)의 병해 저항성 및 병원균으로의 유전자 전이 (Evaluation of Disease Resistance of a Leaffolder-resistant (Cry1Ac1) Rice Event and Gene Transfer to Plant Pathogens)

  • 남효송;심홍식;유상미;이세원;권순종;김명곤;이용훈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02-208
    • /
    • 2009
  • 유전자 변형 혹명나방 저항성벼의 주요 병해에 대한 저항성 변화를 온실과 포장에서 모본으로 사용된 낙동벼와 비교하였다. 포장에서 벼잎집무늬마름병과 벼깨씨무늬병의 발병 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온실에서 인위적으로 병원균을 접종하여 벼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대해 저항성 변화여부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두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인위접종한 벼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감수성도 두 품종간에 비슷하여 포장에서의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형질전환 벼의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Bar 유전자)와 혹병나방 저항성유전자(Cry1Ac1 유전자)가 병원균으로 전이되는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포장에서 발병한 도열병과 키다리병원균을 분리한 후 DNA를 추출하여 PCR을 실시한 결과 두 유전자 모두 병원균으로 전이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병원균과 저항성벼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한 유전자 전이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잎집무늬마름병균과 흰잎마름병균을 계대 접종한 후 DNA를 분리하여 조사한 결과에서도 저항성 유전자의 전이는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본 실험에서는 자연상태와 인위적인 조건 모두에서 유전자 전이를 찾아 볼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