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18초

Self-etching primer를 사용하여 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접착제와 타액오염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변화 (Change i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self-etching primer according to adhesive types and saliva contamination)

  • 남은혜;윤영아;김일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33-44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브라켓 접착 시 산부식과 전처리 과정을 결합하여 접착 단계를 단순화시킨 self-etching primer (SEP)를 차용하는 경우 접착제 종류와 타액의 존재 유무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에 관하여 비교 연구 하는 것이다. 소의 하악 영구 전치를 포매하여 만든 시편을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를 이용한 군으로 나누었고 각각 37% 인산으로 산부식 후 기존의 본딩용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과,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으로 분류하고, 타액 오염 유무에 따라 다시 각 군을 분류하여 전단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레진 접착제로 브라켓을 부착한 경우 SEP를 사용하여 접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인산 처리군에 비해 낮은데 비해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경우, 전처리법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타액 오염이 존재 시에는 SEP를 사용한 군이 인산처리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EP를 사용 시 레진 접착제와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접착제 모두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특히 타액에 오염된 치면에서도 SEP를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하는 것은 적절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약 내 불소농도에 따른 수종의 불소함유 수복재의 불소 방출량 (Fluoride Release of Several Types of Fluoride-Containing Restorative Materials According to Fluoride Concentration in Toothpaste)

  • 이충호;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7-205
    • /
    • 2022
  • 이 연구는 국내에서 불소치약의 농도에 따른 불소함유 수복재의 불소 재방출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글라스아이오노머(Fuji IX GP EXTRA),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Fuji II LC), alkasite 수복재(Cention N), 복합레진(FiltekTM Z350XT)의 시편이 제작되었고, 1, 3, 7, 14, 21, 28일에 불소 방출량이 측정되었다. 그 후, 각 수복재에 무불소, 500 ppm, 1450 ppm의 불소치약을 적용하여 불소 재방출량을 1, 3, 7일에 측정하였다. 글라스아이오노머가 측정 7일차 까지는 가장 높은 누적 불소 방출량을 보였고, 14일차부터는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가 가장 높은 누적 불소 방출량을 보였으나, 두 수복재의 누적 불소 방출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500 ppm의 불소치약으로 불소 재충전 시에는 alkasite 수복재만 불소 재방출량의 차이가 유의하였고(p < 0.017), 1450 ppm의 불소치약으로 불소 재충전 시에는 모든 수복재 군이 무불소치약군에 비하여 불소 재방출량이 유의하게 높았다(p < 0.017).

내표면 처리에 따른 레진 인레이와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간의 접착 (BONDING OF RESIN INLAY TO GLASS-IONOMER BASE WITH VARIOUS TREATMENTS ON INLAY SURFACE)

  • 장병성;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3호
    • /
    • pp.399-406
    • /
    • 2000
  •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에 대한 레진 인레이의 접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이차 중합된 레진 인레이의 내표면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한 후 레진 인레이를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에 레진 시멘트 접착시 내표면 처리방법이 이들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 제작을 위해서 플라스틱 봉에 직경 7mm, 깊이 2mm의 1급 와동을 형성하고 Fuji II LC를 충전하였으며, 수복용 레진(Charisma$^{(R)}$)을 사용하여 레진 인레이를 제작하였다. 레진 인레이 내면은 $50{\mu}m$ aluminum oxide particles를 이용한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 silane 처리군, sandblasting 군, 그리고 무처리 대조군 등 4군으로 나누어 표면처리하였으며 각 군은 22개씩의 시편을 사용하였다. 인레이와 베이스의 표면에 상아질 접착제(One-Step$^{TM}$)를 도포한 후 Choice$^{TM}$를 사용하여 레진시멘트 접착하였다. 접착 양상 평가를 위해 만능시험기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파단면을 입체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이 가장 높은 접착강도(10.56${\pm}$1.95MPa)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sandblasting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2. Silane 처리군(9.77${\pm}$2.04MPa)은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과는 접착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sandblasting 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벼해서는 유의하게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다(p<0.05). 3. Sandblasting만 시행 한 군은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시 접착강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파단면 관찰 결과, 모든 군에서 일부 접착계면에서의 파절을 포함하는 글래스아이오노머 베이스의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 양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sandblasting 및 silane 처리군과 silane 처리군에서는 sandblasting 군 및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접 착계면에서의 파절(adhesive failure) 양상을 나타내었다. 5. 전단접착강도와 파절양상의 관계에서, 접착강도가 클수록 응집 파괴(cohesive failure) 양상이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제 2 급 와동에 충전된 Compome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MICROLEAKAGE OF COMPOMER IN CLASS II CAVITY)

  • 임재훈;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2호
    • /
    • pp.346-355
    • /
    • 1999
  • To evaluate the micro leakage of compomer, 4 materi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15 cavities each.(Group 1: Z-100, Group 2: Dyarct AP, Group 3: Fuji II LC, Group 4: Compoglass) After the class II cavities were prepared using carbide bur No. 553, all specimen were restored by incremental filling technique. In group 3, Z-100 was filled with a base of a light curing glass-ionomer. After 7 days,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between $5^{\circ}C$ and $55^{\circ}C$ for 500 cycles, followed by placement in 50% silver nitrate dye for 2 hours at $37^{\circ}C$. After rinsed in distilled water, these teeth were immersed in photodeveloping solution and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for 6 hours. Teeth were then washed in distilled water to remove the photodeveloping solution, sectioned mesio-distally and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cervical por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ji II LC and other groups(Z-100, Dyract AP, Compoglass), Fuji II LC had the least value.(p<0.05) 2. In the cervical portion,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yract AP, Z-100 and Compoglass. 3. In the occlusal portion,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yract AP, Z-100 and Compoglass. From the results above, In enamel, microleakage of compomer such as Dyract AP and Compoglass resemble to that of composite resin. It is thought that it is due to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resin portion of compomer. But in dentin, microleakage of compomer is higher than that of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it is thought that in compomer, acid-base reaction is not developed with dentin.

  • PDF

수종 접착성 수복재의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상대적 접착력의 비교연구 (A STUDY ON THE RELATIVE SHEAR BOND STRENGTHS OF SOME ADHESIVE RESTORATIVE MATERIALS TO PRIMARY ENAMEL AND DENTIN)

  • 김승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7-245
    • /
    • 2000
  • 최근의 심미적 수복재료는 단순히 글래스아이오노머나 레진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두 가지 전통적 재료 사이의 광범위한 한 범주 내에 위치한다. 유치 수복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 임상가는 각각의 상황에 적합한 몇 가지 항목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들 중 한가지가 결합력이다. 이 연구는 특별히 상아질과 법랑질과의 상대적 인장강도를 재료별로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는 resin-modified glass ionomer로 Fuji II LC-I와 Vitremer를, compomer로는 Dyract AP, Compoglass F 2000등이 사용되었다. 140개의 발거된 유치를 실험대상으로 각 재료의 시편을 평활하게 연마된 법랑질과 상아질 표면에 제조회사의 지시대로 부착한 후 상아질과 법랑질에 대한 상대적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파절편은 실패유형 평가를 위해 주의깊게 검사되었다. 실험결과는 one-way ANOVA& Sheffe's test와 student t-test(p=0.05)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법랑질에 대해서는 Z100과 Fuji II LC-I에서, 상아질에 대해서는 Z100과 Dyract AP에서 가장 높은 결합력이 나타났으며 다른 재료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P>0.05). 2. 각 재료내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상대적 결합력을 비교평가한 결과, Dyract AP와 Vitremer를 제외한 모든 재료에서 법랑질에서 보다 높은 결합력이 관찰되었으며, Dyract AP에서는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이 법랑질에 대해서보다 높게 관찰되었다(P<0.05). 3. 각 재료들의 결합실패가 일어난 파절단면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대부분 cohesive failure를 보였고, 파절면은 치면과 매우 근접해 있었다. 일부 화학중합형 glass ionomer cement와 Vitremer에서 adhesive failure가 관찰되었다.

  • PDF

수종 치과 교정용 밴드 시멘트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In vitro cytotoxicity of four kinds orthodontic band cements)

  • 이원철;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1-362
    • /
    • 2004
  • 고정식 교정 치료시 교정용 밴드가 장착된 치아의 치주조직 손상은 접착된 치아에서 보다 자주 발생한다. 일반 치과치료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세포독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치주조직과 직접 접촉하거나 구강 내에서 밴드시멘트의 성분들이 용출되는 교정용 밴드 시멘트는 치주조직의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정용 밴드 시멘트의 생체 친화성은 재료의 물성과 함께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밴드 시멘트의 세포독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zinc phosphate cement (ZPC), glass ionomer (GI),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RMGI), compomer의 생체 친화성을 평가하기 위해 human gingiva fibroblast를 배양하고 이 세포에 대한 세포수 산정 및 세포 형태관찰,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한천중층시험 등의 세포독성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세포수 산정 및 형태 관찰 시험에서 Gl>ZPC, RMGI, RMG124, GI24>compomer24, ZPC24, compomer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2. MTT assay 에서는 GI>ZPC, RMGI>GI24>ZPC24, compomer, RMGI24, compomer24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3. 한천중층시험에서 는 GI>GI24, ZPC, ZPC24, RMGI>RMG124, compomer, compomer24 순으로 세포독성 이 높게 나타났다.

미세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글라스 아이오노머 수복물의 인접면우식 재광화 효과에 관한 장기간 연구 (LONG-TERM EVALUATING OF THE REMINERALIZATION OF INTERPROXIMAL CARIES ADJACENT TO GLASS IONOMER RESTORATIONS: A MICRO-CT STUDY)

  • 이혁상;김영재;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98-503
    • /
    • 2006
  •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는 초기 우식 치질의 재광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시판되고 있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Fuji IX GP, Vitremer, F2000)를 실험군으로, 컴퍼짓트 레진(Filtek Z250)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9개월간 인접면 우식증에 대한 재광화 효과를 시편의 파괴 없이 3개월 간격으로 미세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시편의 상을 얻고, 이렇게 얻은 상을 3차원으로 재구성하고 우식 부위의 미세밀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재광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인접면 수복물은 인공 우식 병소가 있는 치아 시편과 수복 재료(세가지 글라스 아이오노머 및 컴퍼짓트 레진)를 접촉시켜 재현하였고, 이것을 인공 타액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pH 7.0, $37^{\circ}C$를 유지하였다. 치아 시편들은 실험 시작 후 90, 180, 270일 뒤에 꺼내어 미세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얻어진 영상을 $Vworks^{TM}$ 4.0(CyberMed, Korea)을 사용하여 각 시편의 미세 밀도 값을 얻어낸 후, 각 군에서 얻어진 값은 SPSS 11판을 사용하여, one-way ANOVA로 분석하고, post HOC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로 검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군에서 병소의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매 3개월마다 실험군의 평균 밀도 증가량은 대조군의 평균 밀도 증가량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또한 실험군 간의 밀도 증가는 통계적인 유의 차가 없었다. 이번 실험의 의의는 기존의 연구 방법으로 알려져 있던 글라스 아이오노머의 초기 우식병소 재광화 효과를 보다 시각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검증했다는 점과 우식 병소의 재광화 효과의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시한 점에 있다.

  • PDF

Effects of abutment diameter, luting agent type, and re-cementation on the retention of implant-supported CAD/CAM metal copings over short abutments

  • Safari, Sina;Ghavam, Fereshteh Hosseini;Amini, Parviz;Yaghmaei, Kaveh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butment diameter, cement type, and re-cementation on the retention of implant-supported CAD/CAM metal copings over short abutments. MATERIALS AND METHODS. Sixty abutments with two different diameters, the height of which was reduced to 3 mm, were vertically mounted in acrylic resin blocks with matching implant analogues.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2 diameter groups: 4.5 mm and 5.5 mm (n=30). For each abutment a CAD/CAM metal coping was manufactured, with an occlusal loop.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3 sub-groups (n=10). In each subgroup, a different cement type was used: resin-modified glass-ionomer, resin cement and zinc-oxide-eugenol. After incubation and thermocycling, the removal force was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0.5 mm/min. In zinc-oxide-eugenol group, after removal of the coping, the cement remnants were completely cleaned and the copings were re-cemented with resin cement and re-tested. Two-way ANOVA, post hoc Tukey tests, and paired t-test were used to analyze data (${\alpha}=.05$). RESULTS. The highest pulling force was registered in the resin cement group (414.8 N), followed by the re-cementation group (380.5 N). Increasing the diameter improved the retention significantly (P=.006). The difference in retention between the cemented and recemented coping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40). CONCLUSION. Resin cement provided retention almost twice as strong as that of the RMGI. Increasing the abutment diameter improved retention significantly. Re-cementation with resin cement did not exhibit any difference from the initial cementation with resin cement.

나노필러가 함유된 표면보호재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미세경도와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ano-filled Protective Coating on Microhardness and Wear Resistance of Glass-ionomer Cements)

  • 유원정;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26-23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표면 보호가 미세경도와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레진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하려 각각 6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시편을 표면 보호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 나노필러가 함유된 표면 보호재, 필러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표면 보호재에 따라 20개씩 나누었다. $37^{\circ}C$ 증류수에 24시간 보관한 후 각 군당 10개의 시편은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하였고, 10개의 시편은 마모 시험을 시행한 후 마모된 깊이를 측정하였다. 표면보호를 시행한 군들보다 표면 보호를 시행하지 않은 군들이 높은 표면경도를 보였다. 글라스아이오노머와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모두에서 표면 보호를 시행한 경우에 마모저항성이 더 증가하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나노필러의 유무는 마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Effect of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on fluoride release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in caries-affected dentin

  • Agob, Jamila Nuwayji;Aref, Neven Saad;Al-Wakeel, Essam El Saeid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4호
    • /
    • pp.45.1-45.11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fluoride release and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RMGIC) in 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CPP-ACP)-remineralized caries-affected dentin (CAD). Materials and Methods: Exposed dentin surfaces of 30 human third molar teeth were divided into 2 equal groups for evaluating fluoride release and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MGIC to CAD.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3 equal subgroups: 1) control (sound dentin); 2) artificially demineralized dentin (CAD); 3) CPP-ACP remineralized dentin (remineralized CAD). To measure fluoride release, 15 disc-shaped specimens of RMGIC (4 mm in diameter and 2 mm in thickness) were bonded on one flat surface of the dentin discs of each group. Fluoride release was tested using ion chromatography at different intervals; 24 hours, 3, 5, 7 days. RMGIC micro-cylinders were built on the flat dentin surface of the 15 discs, which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assigned group. Micro-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after 24 hours water storage. Data were analyzed using 1- and 2-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post hoc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alpha}=0.05$). Results: Fluoride detected in solutions (at all intervals) and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MGIC bonded to CPP-ACP-remineralized dent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bonded to artificial CAD (p < 0.05). Conclusions: Demineralized CAD consumes more fluoride released from RMGIC into the solution for remineralization than CPP-ACP mineralized dentin does. CPP-ACP increases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of RMGIC to C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