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solvent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3초

작물(오이, 딸기, 포도) 중 살균제 Fenhexamid의 잔류성에 대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n the Residual of Fungicide Fenhexamid in Crops(Cucumber, Strawberry and Grape))

  • 한성수;노석초;김원주;박필재;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16권1호
    • /
    • pp.70-77
    • /
    • 2003
  • Hydroxyanilide계 살균제 fenhexamid의 작물 (오이, 딸기, 포도) 중 잔류량을 전자포획검출기가 장착된 기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최적 분석조건을 설정하고, 처리시기별 잔류량을 구하였다. 각 시료를 blender로 마쇄 후 acetone으로 1차 추출 한 후 dichloromethane으로 2차 추출하였으며, silica gel이 충전된 plastic 컬럼에서 acetone:hexane (5:95, 15:85, v/v) 혼합액으로 분리하였다. 표준 검량선의 회귀방정식은 0.05~0.20 ng에서 오이 Y=312.40X+10.26, 딸기 Y=313.33X+5.54, 포도 Y=253.27X-2.23 이었으며, 각각 $R^2=0.9996$, $R^2=0.9998$, $R^2=0.9994$의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0.10 mg/L 과 0.40 mg/L의 표준시료 처리시 평균 회수율은 오이, 딸기, 포도 각각 94.8%, 88.1%, 93.7% 이었으며, 순수표준품의 검출한계는 0.01 mg/L이었다. 각 작물체의 잔류량은 0.01~0.58 mg/L 범위이었다.

불산 중 극미량 음이온 분석을 위한 고상 추출법 및 이온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 동시분석법 확립 (Optimization of solid phase extraction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race anions in concentrated hydrofluoric acid by ion chromatography)

  • 윤석환;조동호;김현지;신호상
    • 분석과학
    • /
    • 제29권5호
    • /
    • pp.219-224
    • /
    • 2016
  • A sensitive method to detect trace anions in hydrofluoric acid (HF) by solid-phase extraction (SPE) clean-up and ion chromatography (IC) was described. Fluoride in HF solution was eliminated with solid-phase extraction, and residual fluoride, acetate, chloride, bromide, nitrate, phosphate and sulfate were consecutively separated with IC. The SPE parameters (selection of adsorbent, sample volume and pH, elution solvent and its volume) were optimized and selected. The removal effect of fluoride in HF solution was the best on Oasis WAX column, and the optimum conditions (1.0 mL of 25 % HF solution and 50 mM ammonium acetate 5 mL as elution solvent) were established by the variation of parameters. Under the established condition, the method detection limits of chloride, bromide, nitrate, phosphate, and sulfate were 0.04~0.30 µg/L in 25 % HF solutions (w/w)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was less than 5 % at concentrations of 20.0 and 40.0 µg/L. The concentrations of anions in a 25 % HF had detectable levels of 4.2 to 47.5 µg/L. The method was sensitive, reproducible and simple enough to permit the reliable routine analysis of anions in HF solution us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semiconductors.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Hyper Crosslinked 고분자 입자의 합성 (Synthesis of Hyper Crosslinked Polymer Particle Having Hydroxyl Group)

  • 전효진;김동옥;박제성;김종식;김동욱;정미선;신승환;이상욱
    • 폴리머
    • /
    • 제35권1호
    • /
    • pp.66-71
    • /
    • 2011
  • 현탁중합에 이은 프리델 크래프츠 촉매에 의한 hyper crosslinking 반응 및 hydrolysis반응으로 hydroxyl 반응 관능기를 포함하는 hyper crosslinked polymer particle(HCPP)을 합성할 시, 1) 각 단량체의 함량 변화에 따른 HCPP의 표면 모폴로지, 기공 크기 및 분포도의 변화, 2) hyper crosslinking 반응조건 변화에 따른 HCPP의 BET 비표면적 값의 변화 및 3) $CO_2$ 초임계 건조공정을 이용한 HCPP에서의 미반응 잔류 단량체, 올리고머 및 촉매의 제거 등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초기 HCPP의 합성 시 관찰되었던 고분자 입자 표면의 균열 및 파괴현상은 hyper crosslinking 과정 중에 진행되는 microphase separated domain간의 반응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관찰하였고, 또한 hyper crosslinking 반응 시 반응온도 반응시간 및 사용 용매의 증가는 HCPP의 BET 비표면적 값의 증가에 기여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hyper crosslinking을 유발하는 단량체의 함량변화는 다른 단량체에 비해 HCPP의 BET 비표면적, 기공 크기 및 분포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HCPP에서의 미반응 잔류 단량체, 올리고머 등의 제거에 $CO_2$ 초임계 건조공정이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이 과정에서의 보조용매(메탄올)의 첨가는 잔류촉매(Fe)의 제거에 있어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폐형광등 재활용 공정의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Recycling Process of Waste Fluorescent Lamps)

  • 이기헌;이동훈;송영준;김창권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3호
    • /
    • pp.61-7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폐형광등 처리 공정의 경제성 확보를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폐형광등 유리의 글래스비드용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 폐형광체 분말로부터 희토류의 침출, 희토류 침출액으로부터 희토류의 용매추출 가능성 등을 검토하였다. 폐형광체는 산화이트륨 28.9%, 산화세륨이 3.46%, 산화유로퓸 1.95%, 산화터븀 1.76%, 산화란탄 1.43% 순으로 함유되어 있어 회수 및 정제 시 경제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폐형광등 유리를 사용하여 글래스비드를 시험 생산 한 결과 그 생산수율과 품질이 우수하여 폐형광등 유리를 글래스비드용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다배소한 폐형광체를 수침출하면 알루미늄과 규소성분 및 잔류 탄산나트륨 등이 용해하며, 이 수용액에 탄산가스를 불어 넣어 pH를 7 정도로 떨어뜨리면 NaAl2(CO3)(OH)2와 SiO2 등이 침전하였다. 자이렌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cyanex272-hydrochloric acid, cyanex272-sulfuric acid, D2EHPA-hydrochloric acid, D2EHPA-sulfuric acid, lonquest290-hydrochloric acid, lonquest290-sulfuric acid, p507-hydrochloric acid 조합의 용매추출에서 Y, Eu, Ce, La, Tb의 추출률이 100%에 가깝다. 그러나 동일 조건에서의 원소별 추출률의 차이, 즉 선택성은 16% 이하이다.

흑연 종류에 따른 산화 그래핀의 제조 및 정제를 통한 특성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Graphene Oxide by Graphite Type)

  • 정겸;김영호
    • 청정기술
    • /
    • 제27권2호
    • /
    • pp.132-138
    • /
    • 2021
  • 우수한 물리적, 전기적 특성과 독특한 물성의 특성을 갖고 있는 그래핀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대표적인 화학적 박리방법인 Hummer's 방법을 응용하여 고품질의 산화 그래핀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 그래핀의 제조에 있어서 천연흑연, 결정성 흑연, 팽창흑연을 사용하였으며, 과망간산칼륨의 첨가량, 반응온도, 반응시간을 달리하였다. 또한, 제조된 산화 그래핀의 품질을 알기위해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분석(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라만분광기(raman spectroscopy),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이용하였으며, 결정성 흑연이 가장 좋은 품질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산화 그래핀 정제를 위해 유기용매를 사용하였으며,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법(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이클로헥세인을 이용한 정제가 산 폐액과 폐수의 잔류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산화 그래핀 제조방법과 유기용매를 이용한 정제는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필름, 방열, 코팅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플라톡신 오염 및 저감화 방안 (Contamination and Detoxification of Aflatoxins)

  • 조소연;강인호;심영훈;양동혁;오세욱;이병희;현성예;장승엽;정춘식;이용수;김영식;강신정
    • 생약학회지
    • /
    • 제38권3호통권150호
    • /
    • pp.205-216
    • /
    • 2007
  • South Korea is the representative consumption country of herbal medicines and most of herbal medicines circulating in Korea have been importing from the developing countries of Southeast Asia such as China, Vietnam, Indonesia and so forth. Domestic hygiene and safety are continuously proposed because herbal medicines which are circulating have the possibility could remain contaminants or residues. Physicochemical contaminants such as heavy metal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radionucleosides, microbial toxins, biological contaminants such as microorganisms and animals, agrochemical residues such as pesticides, substances used for fumigation, antiviral agents, and solvent residues are classified as major contaminants and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from 2005 September WHO.$^{1)}$ Currently our administration have established a permission standard and the inspection criteria against the heavy metal, the residual pesticides and a residual sulfur dioxide. Furthermore our administration is continuously monitoring and conducting researches for the policies and their scientific ground against herbal medicines. But the appearances or discoveries of the harmful new species due to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developments are becoming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consider and investigate regarding hereupon. Recently, the contamination of the mycotoxins against foods such as cereals, nuts and the powdered red pepper have developed and started became problematic issue, and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against the herbal medicine is proposed. And since populations who are using the herbal medicines very limited to several nations, recognition and researches about contamination of mycotoxins in herbal medicines a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t will be need to more focus on the international regulation of quality control and safety for herbal medicines. Now on, we are going to introduce the importance, occurrence, characteristic properties, World-wide research trends and detoxification of aflatoxins, which is known as the most potent mutagen, carcinogen and teratogen mycotoxins.

PVC 제품에서의 염화비닐 단량체 정량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testing method for vinyl chloride monomer (VCM) in polyvinyl chloride(PVC) samples)

  • 권덕준;최기인;엄희정;이재인;최철호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395-40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PVC 제품에 잔류하는 염화비닐 단량체(VCM)에 대한 정량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용출용매의 경우, 에탄올, THF, 아세톤에서 유사한 추출효율을 나타내었으나, 노말헥산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분쇄 PVC 시료에 VCM 표준용액을 주입한 분석시료에 대한 VCM 함유량 측정 결과, GC/MS를 이용한 직접주입법이나 헤드스페이스법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VC 제품의 중간물질인 스펀지에서의 VCM 분석과 관련하여 5 개 시험전문기관의 시험소간 비교시험 결과, 각 시험소간 결과 편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처리 및 분석방법에 대한 플라스틱 제품내의 VCM 정량방법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루우핀 콩의 식품이용 (Lupin Seed for Human Consumption)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98-405
    • /
    • 1986
  • 루우핀 콩의 식품가공 적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호주에서 생산된 Lupinus angustifolius의 종실을 삶음 속도, 콩나물 성장속도 및 균체성장속도 등을 검토하고 또한 루우핀 종실로부터 만들어진 단백질 농축물(LPC)을 우리나라 식품제조에 활용하는 방안등을 조사하였다. 루우핀 콩의 수분 침지속도는 대두보다 컸으나 삶음 속도는 대두보다 크게 떨어졌다. 가열에 의한 연화속도 $D_{100}$은 대두의 경우 84분이었으나 루우핀 콩의 경우 345분이었다. 루우핀 콩에 포함되어 있는 잔유 쓴맛성분(주로 알카로이드)와 황색색소 및 지방은 핵산-알콜-물을 혼합한 이상용매로 제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단백질 농축물은 단백질 함량 50% 이상을 함유하며 유백색의 순한 풍미를 가지는 물질로 우수한 식품재료로 판단되었다.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에 탄수화물(주로 셀롤로오스)분해효소 처리를 하면 가용성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증가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을 이용하여 식물성 대용유와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 가능 하였으며 이들 제조방법의 제문제를 검토하였다.

  • PDF

오일팜 바이오매스 EFB 고도 활용을 위한 Organosolv 에탄올아민 펄핑에 따른 섬유화 특성평가 (Evaluation of Defiberation by Organosolv Ethanolamine Pulping for Integral Utilization of Oil Palm EFB)

  • 김철환;김동섭;성용주;홍해은;김세빈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1호
    • /
    • pp.67-74
    • /
    • 2013
  • Organosolv ethanolamine pulping for oil palm empty fruit bunches(EFB)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screen yield by the ethanolamine pulping were higher than that by the soda pulping at the same operation conditions. The higher concentration of ethanolamine solvent resulted in the higher yield and the lower contents of residual lignin. The EFB pulp fibers were the narrower in fiber width but the higher in coarseness than those of the hardwood pulp fiber, while the fiber length of the EFB pulp fiber were similar to that of the hardwood fiber. The intrinsic zero span tensile testing showed the EFB pulp fiber by the 80% ethanolamine pulping were the stronger than the fiber by the soda pul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that the ethanolamine pulping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pulping method for the EFB.

Streptomyces natalensis ATCC27448이 생산하는 natamycin의 정제법 개발 (Development on the Purification Process of Natamycin from Streptomyces natalensis ATCC27448)

  • 이창권;장한수;김종태;황용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5-228
    • /
    • 2004
  • 나타마이신 배양액을 4$^{\circ}C$와 실온에서 14일 동안 보관하였을 때, 4$^{\circ}C$에서는 나타마이신의 활성이 80% 이상 유지되었으나 실온에서는 27%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나타마이신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최단 시간 내에 배양액으로부터의 나타마이신을 회수할 필요성과 장기간 보관 시에는 4$^{\circ}C$이하에서 보관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효율적인 나타마이신 정제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배양액으로부터의 나타마이신의 추출 용매 및 적정 사용량에 대해 조사한 결과 2g의 나타마이신을 추출하는데 1 l의 methanol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확립된 나타마이신 추출에 필요한 methanol의 양과 Diaion HP-20을 이용한 column chromatography를 적용하여 4.2 g의 나타마이신이 함유된 1,800 ml의 배양액으로부터 2.9 g의 나타마이신을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제과정을 통해 순도가 96.6%이고 회수율이 69.1%인 나타마이신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