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Record

검색결과 2,150건 처리시간 0.029초

Two New Records of Sepia (Doratosepion) kobiensis Holye, 1885 and S. tokioensis Ortmann, 1888

  • Kim, Yeong-Hye;Lee, Dong-Woo;Choi, Kwang-Ho;Yeon, In-Ja;Kim, Young-Seop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57
    • /
    • 2004
  • The true cuttlefishes genus Sepia (Doratosepion) Linne, 1758, characterized by shell thick, entirely calcareous, shell almost as long as mantle, was collected from the coastal of Dong-Am, Busan, Korea in April, 2004. The specimen agreed closely with description of Sepia (Doratosepion) kobiensis Hoyle, 1885 and S. tokioensis Ortmann, 1888. We herein described the species, being as the first record of S. kobiensis and tokioensis from the region. New Korean names are also provided.

  • PDF

First Record of the Stichaeid Fish Chirolophis saitone (Perciformes: Stichaeidae) from Korea

  • Kim, Maeng Jin;Choi, Jung Hwa;Lee, Dong Woo;Kim, Jung Yun;Choi, Kwang H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195-197
    • /
    • 2013
  • One specimen of Chirolophis saitone, belonging to the family Stichaeidae, was collected by a bottom trawl in the southern area of the Yellow Sea. The present specimen was characterized by 52 dorsal fin spines, 38 anal fin spines, a caudal fin with four vertical dark bands and an orbital region with three pairs of branched cirri.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Jak-eun-goe-do-ra-chi', for C. saitone.

First Record of the Black Snoek Thyrsitoides marleyi (Pisces: Gempylidae) from Korea

  • Kim, Maeng Jin;Choi, Jung Hwa;Kim, Jung Nyun;Oh, Taeg Yun;Lee, Dong W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251-253
    • /
    • 2012
  • A single specimen of Thyrsitoides marleyi (818 mm in standard length), belonging to the family Gempylidae, wa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from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using longline with hooks on 27 January 2012.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palate with three fangs, dark dorsal spine membrane, ending part of soft dorsal and anal fin rays finlet-like, and tip of the jaw with a cartilaginous process. We suggest a new Korean name "Gal-chi-ggo-chi" for T. marleyi.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국내 조류학 연구동향: 한국조류학회지 논문을 대상으로 (Avian research trends in Korea analyzed by text-mining and co-word analysis: based on articles of the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 진채령;어수형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6-132
    • /
    • 2018
  • 국내 조류학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금까지 어떤 분야에서 연구를 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텍스트마이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어떤 분류군에서 어떤 주제로 조류학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지를 정량적으로 연구하였다. 한국조류학회지 논문 372편을 분석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개체군 및 군집 모니터링, 미기록종 보고 및 번식생태, 조류 체내 중금속 오염 등의 주제와 관련한 단어가 연구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청둥오리, 민물도요, 흰뺨검둥오리 등 특정 조류에 연구가 편중되었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국내 조류학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하여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연구 주제와 분류군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평가·폐기 기능 평가 (Evaluation of Appraisal and Disposal Function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 이보람
    • 기록학연구
    • /
    • 제38호
    • /
    • pp.37-73
    • /
    • 2013
  • 오늘날 공공기관의 기록물 생산 및 관리는 법제적 안정을 이루었고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철저한 전자적 행정기록의 생산 관리를 법률로 규정하고 있으며 보존기간, 업무기능에 따라 행정 및 역사적 가치가 매겨지고 일정한 절차에 의해 평가 폐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각급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평가 폐기 시 심의과정 중재와 무단폐기 방지 등의 역할을 감당하고 전문성을 통해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평가 폐기가 기록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만큼,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업무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구현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기록물 폐기 결정은 시스템의 기술적 논리적 프로세스를 거쳐 수행되므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평가 폐기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공공기록물 관련 법제 및 전자기록 관련 표준을 분석하고 기록관리시스템 사용자설명서를 검토하여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능요건을 도출한다. 또한 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평가 폐기 업무를 평가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 개선방향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한국산 농어목 어류 2 미기록종, Chelidoperca pleurospilus 및 Parapercis muronis (First Record of Two Perciform Fishes, Chelidoperca pleurospilus (Serranidae) and Parapercis muronis (Pinguipedidae) from Korea)

  • 박정호;김진구;최정화;장대수;박종화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6-252
    • /
    • 2007
  • 농어목 바리과에 속하는 Chelidoperca pleurospilus 2개체(체장 56.3~61.1 mm)와 양동미리과에 속하는 Parapercis muronis 21개체(체장 34.0~93.6 mm)가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채집되었다. C. pleurospilus는 체측에 5개의 검은 반점이 있고 꼬리지느러미 후단부가 절단형이며, 양눈사이에 비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P. muronis는 체측에 5줄의 검은 띠가 비스듬히 있고 등지느러미 극조가 5개이며, 등지느러미의 극조부와 연조부 사이에 결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두 종에 대해 각각 "별각시돔"과 "다섯줄양동미리"라고 신한국명을 부여하였다.

A Method of Data Hiding in a File System by Modifying Directory Information

  • Cho, Gyu-S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85-93
    • /
    • 2018
  • In this research, it is proposed that a method to hide data by modifying directory index entry information. It consists of two methods: a directory list hiding and a file contents hiding. The directory list hiding method is to avoid the list of files from appearing in the file explorer window or the command prompt window. By modifying the file names of several index entries to make them duplicated, if the duplicated files are deleted, then the only the original file is deleted, but the modified files are retained in the MFT entry intact. So, the fact that these files are hidden is not exposed. The file contents hiding is to allocate data to be hidden on an empty index record page that is not used. If many files are made in the directory, several 4KB index records are allocated. NTFS leaves the empty index records unchanged after deleting the files. By modifying the run-list of the index record with the cluster number of the file-to-hide, the contents of the file-to-hide are hidden in the index record.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to the case of hiding two files, the file lists are not exposed in the file explorer and the command prompt window, and the contents of the file-to-hide are hidden in the empty index record. It is prov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effectiveness and validity.

전북 인천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망둑어과(농어목) 한국미기록종, Gymnogobius cylindricus (First Record of Gymnogobius cylindricus (Perciformes: Gobiidae) from Incheon River Estuary, Jeonbuk-do, Korea)

  • 김병직;송호복;안정현;최승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3-177
    • /
    • 2013
  • 우리나라 서남부의 인천강 하구역에 설치된 실뱀장어잡이 그물에서 망둑어과 꾹저구속 Gymnogobius cylindricus 1개체(표준체장 49.9 mm)가 채집되어 한국미기록종 및 분포의 서방한계로 보고한다. 본 종은 머리가 납작하며 몸이 가늘고 긴 점, 등지느러미 기조수가 VI-I, 12, 뒷지느러미 기조수가 I, 11, 체측의 어두운 반점열이 몸의 복부에 도달하지 않는 점 및 꼬리지느러미 하방에 반점열이 없는 점이 특징이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 "가는살망둑"을 제안한다.

지상경계점등록부 등록 및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Ground Boundary Points Record Focusing o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 박정희;장봉배;최윤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1-23
    • /
    • 2014
  • 한국은 지적측량에 의하여 설치되는 지상의 경계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2013년 7월 17일 "측량 수료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제65조를 신설하여 지상경계점등록부를 작성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 제도는 작성시간의 과다한 소요와 활용성 미비로 제도 시행에 따른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상경계점등록부 운영과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선진 해외사례 조사와 국제 지적전문가의 인터뷰 등을 통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지적측량에 대한 신뢰도가 보다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일 대학병원 간호사의 간호기록 작성 지식과 중요도 및 수행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Nursing Records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 황은숙;이소정;김신자;허인희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81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ospital nurses' knowledg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keeping nursing record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186 nurses with at least one year of work experience at a hospital with more than 800 beds in Seoul. Knowledge was self-reported using the Nurse Charting Knowledge Scale.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rated on a 4-point scale of 26 items.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program and IPA. Results: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at knowledg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keeping record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nurse's record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mean. In the IPA Matrix, there were 2 items requiring improvement, 13 items requiring maintenance, and 11 items with low priority. Conclusion: Therefor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cord keeping and continuous education on nursing record knowledge should be provided so that nurses can improve their record keeping ski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