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gional metastasis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3초

국소 마취 하 굴곡 내시경 후두 레이저 수술로 치료한 성문 제자리 암종 1례 (Treatment of Carcinoma in Situ of Glottis by KTP Fiberoptic Laryngeal Laser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 이윤지;이은상;박기남;이승원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3-56
    • /
    • 2019
  • The optimal treatments of carcinoma in situ of glottis include radiotherapy, laser surgery and vertical partial laryngectomy. Conventional surgical treatments need general anesthesia and radiotherapy has several complications. Recently, the effectiveness of 532 nm potassium titanyl phosphate (KTP) laser has been proven and widely used in vocal fold diseases even some cases of vocal fold dysplasia. A patient with difficult laryngeal exposure underwent fiberoptic laryngeal laser surgery using KTP laser under local anesthesia, showed improved voice outcome and the glottic lesion was removed successfully without local recurrence and regional metastasis 18 months after surgery.

이하선의 상피-근상피 암종 1례와 국내에 보고된 33건의 증례 분석 (A Case of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of Parotid Gland and Analysis of 33 Cases Reported in Korea)

  • 김지원;김민수;김보성;김성동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61-65
    • /
    • 2021
  •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is rare, low-grade malignant neoplasm that compromises approximately 1% of all salivary gland neoplasms. We reported a 68-year-old woman with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in the parotid gland. We analyzed demographic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ivary gland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which has been reported in 33 cases in Korea from 1992 to 2017, and compared this result to overseas retrospective cohort studies.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erms of mean age at diagnosis, the predominance of females, low frequency in regional lymph nodes, and distant metastasi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 classification and AJCC stage at diagnosis in domestic cases are more advanced than those of overseas cases. Although the recurrence rate in domestic cases has been reported lower than that of overseas, further study may be needed considering that the follow-up period after treatment is short in domestic cases.

Diagnosis of Rare Case of Hepatoblastoma in a Dog

  • Son, Seongin;Lee, Seoung-woo;Jang, Min;Yun, Sungho;Kwon, Young-sam;Park, Jin-kyu;Lee, Kija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5-88
    • /
    • 2021
  • A 9-year-old, intact female Shih-tzu dog presented with a three-week history of anorexia, lethargy, and weight loss. Abdominal radiography revealed a mass in the right cranial quadrant of the abdomen that was displacing the right kidney caudally. Ultrasonography showed a large, irregular, heterogeneous hepatic mass and a small amount of peritoneal fluid. On computed tomography (CT), a large hypoattenuating mass with heterogeneous contrast enhancement occupied the right lateral lobe, and parts of the right medial and caudate lobes of the liver. There was no evidence of regional lymph node or pulmonary metastasis. Lobectomy of the right medial, right lateral and caudate liver lobes was performed, however, the patient did not recover from surgery. Hepatoblastoma was confirm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Hepatoblastoma is rare in dogs, and this is the first report describing CT imaging of hepatoblastoma in a dog.

아래 눈꺼풀에 발생한 원발성 피부 점액성 에크린 암종 1예 (Primary Cutaneous Mucinous Eccrine Carcinoma Arising in the Lower Eyelid: A Rare Case Report)

  • 용민준;신혜경;정규용;장태정;이준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44
    • /
    • 2023
  • Mucinous Eccrine carcinoma (MEC) is a rare malignant tumor related to the eccrine sweat gland and is commonly located on the face, especially around the eyelids and scalp. Most of these tumors are diagnosed at age 40's to 60's and exhibit a wide variety of patterns in addition to the general appearance previously reported. MEC is difficult to diagnose clinically, but can be diagnosed by accompanying biopsy. We present the case of a 75-year-old man who complained of a gradually growing Left lower lid tumor of duration one year. Initially, the tumor was mistaken for an epidermal cyst and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However, biopsy findings resulted in a diagnosis of Mucinous Eccrine carcinoma. Therefore, we performed wide excision and flap reconstruction surgery. In a one year follow-up examination, the patient achieved successful functional and aesthetic results without regional or distant metastasis and recurrence.

Pancreatoduodenectomy following neoadjuvant chemotherapy in duodenal adenocarcinoma

  • Dongjin Seo;Bo Gyeom Park;Dawn Jung;Ho Kyoung Hwang;Sung Hyun Kim;Seung Soo Hong;Chang Moo Kang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4-119
    • /
    • 2023
  • A 51-year-old male patient had four times of massive hematochezia episode three days before arrival. Carbohydrate antigen (CA) 19-9 level was extremely elevated.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identified 5.7 cm sized periampullary duodenal cancer with regional metastatic lymph nodes and vascular invasion to aberrant right hepatic artery, main portal vein, and superior mesenteric vein. Diagnosed as duodenal adenocarcinoma through endoscopic biopsy, 16 times of FOLFIRI (5-fluorouracil, leucovorin, irinotecan) was conducted. The regimen changed to XELOX (capecitabine, oxaliplatine), four times of administration was done, and the CA19-9 level dramatically decreased. The tumor decreased to 2.1 cm. After R0 laparoscopic pylorus preserving pancreatoduodenectomy, no adjuvant therapy was given. No sign of recurrence or metastasis was reported, and the patient reached complete remission after five years. We reported a case where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duodenal adenocarcinoma was shown to be effective.

2기(T3 또는 N1) 췌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및 고찰 (The Outcom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 Pancreatic Cancer (T3 or N1 Disease))

  • 김상원;김명욱;김욱환;강석윤;강승희;오영택;이선영;양주노;전미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213-218
    • /
    • 2007
  • 목적: 근치적 절제술을 받고 AJCC 병기 2기(T3또는 N1)로 진단된 췌장암 환자들 중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국소 제어율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수술 후 보조적 요법으로 방사선치료 단독 내지는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은 28명의 환자들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병리 소견상 췌장 주변 조직으로의 침윤이 있거나 체장 주변 또는 후복강 내 대동맥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수술 전 영상학적인 자료에서 침범된 종양의 위치 및 수술 변연 부위를 중심으로 $40{\sim}57.6$ Gy (중앙값 50 Gy)를 조사하였으며 병리 소견상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된 경우엔 제 3 요추부위까지의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도 조사야에 포함시켰다. 동시 항암화학요법은 10명의 환자들에게서 병용되었다. 결 과: 최초의 실패 양상이 국소 재발이었던 환자는 13명(46%)였으며 이들 중에서 원격 전이가 같이 동반된 환자는 5명이었다. 호발 부위는 복강축(4명)과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였다. 또한 원격 전이가 최초의 실패 양상으로 나타난 환자는 국소재발이 동반된 환자들을 포함하여 72명이었다. 원격전이가 가장 흔히 나타난 곳은 간(10명)이었으며 복강전이, 폐전이 순이었다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에 비해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았다. (57.1%). 수술 변연 부위에 종양이 남아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높았다(57.1%). 전체 환자들의 무병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6개월이었으며 1년 및 2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7.4%와8.2%였다.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1개월이었고 2년, 3년 생존율은 31.5%, 15.8%였다. 결 론: 2기 췌장암 환자들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국소 제어율 및 전체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 수술 후 효과적인 방사선치료의 적극적인 시행 및 이후의 보조적인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권고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도 편평세포암에시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의 발현: 예후와 종양표지자와의 상관성 (Expression of Hypoxia-inducible Factor-1 $\alpha$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Relationship to Prognosis and Tumor Biomarkers)

  • 양일종;김종인;이해영;천봉권;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8호
    • /
    • pp.691-701
    • /
    • 2004
  • 배경: 악성종양에서 신생혈관 생성 및 당분해의 증가는 저산소 상태의 미세환경을 나타내며, 이는 종양의 침습성, 전이 등으로 환자의 예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ypoxia-inducible factor 1(HIF-1)는 당원 수송체, 당분해 효소,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등의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HIF-1의 전사 활성도는 HIF-1 a subunit의 표현이 조절되는 정도에 의존한다. 그러나 식도암에서 HIF-1의 발현과 혈관 생성능 및 종양세포 증식능과의 관계 및 예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대상 및 방법: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수술치험한 77예의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 채취한 정상 편평상피와 암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이용하여 HIF-1 a의 발현을 조사하고 혈관생성인자, 증식지수, p53 단백과의 상관관계, 임상-병리학적인 인자 및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HIF-1 a의 고발현율은 42.9% (33예/77예)였다. HIF-1 a의 고발현은 조직학적 등급(p=0.032), 병리학적 병기(p=0.002), 종양 침윤의 깊이(p=0.022), 주위 림프절 전이(p=0.002), 원격전이(p=0.049), 림프관 침윤(p=0.004)과 관련이 있었다. HIF-1 a의 고발현은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의 발현, Ki-67 증식지수와 관련이 있었으나, 미세혈관수와는 관련이 없었고, p53의 발현과는 관련이 있는 경향을 보였다. 단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에서 HIF-1 a의 고발현은 불량한 예후를 나타내는 인자로 보였다. 결론: 식도 편평세포암 조직에서 HIF-1 a의 발현은 종양조직내 신생혈관의 생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발현 된 경우는 림프절 전이와 수술 후 불량한 예후를 나타내었으므로 보다 강화된 치료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도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실패 양상 분석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Esophageal Cancer; Analysis of Failure Pattern)

  • 김미숙;김재영;류성렬;조철구;유형준;조재일;백희종;박종호;최수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47-454
    • /
    • 1998
  • 목적 : 국소 제어율과 생존율, 여러 예후인자 및 국소실패의 원인을 분석하므로 식도암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에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수술을 시행 후 40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를 받은 국소적으로 진행된 식도암 환자 8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수술 후 병기는 II가 26례, IIB가 4례, III가 52례 였으며 수술후 병리학 소견으로 편평상피암 77례, Adenosquamous 3례, 선암 2례였다. 수술 후 외부 방사선 치료로 41Gy에서 64.8Gy(중간값 50.4Gy)를 조사하였다. 5례에서 PFC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 환자의 2년 생존율 및 2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36.8$\%$ 및 30.4$\%$이며 5년 생존율 및 5년 국소제어율은 각각 9.3$\%$ 및 26.3$\%$이다. 수술 후 병기에 따른 2년 생존율은 IIA가 50.2$\%$, IIB가 0$\%$, III가 23.3$\%$이었다(p=0.004). 2년 국소제어율은 IIA가 49.2$\%$, IIB가 66.6$\%$, III가 24.7$\%$(p=0.01) 이었다. 추적기간중 전체환자의 73.2$\%$인 60례에서 재발이 관찰되었다. 이중 원발병소인 식도에서 재발이 3례, 주위임파절 재발이 23례, 원발병소와 임파절에 함께 재발된 경우가 4례, 원발 병소재발 및 원격전이 재발이 1례, 주위임파절과 원격전이 재발이 9례, 원격전이 재발이 17례였다. 3례에서 재발 부위를 알수 없었다. 생존율에 관련된 예후인자로 흡연유무(p=0.02), 1 병기(p=0.0092), N병기(p=0.0045)가 통계적으로 의미있었다. 국소제어율에 관련된 예후인자로 T 병기(p=0.019), N 병기(p=0.047)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었다. 결론 :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도 국소실패가 여전히 중요 실패 원인이었다. 국소 실패의 원인 중 식도 주위 임파절에 의한 실패가 원발 병소 실패보다 휠씬 높았다. 따라서 수술후 방사선치료에서 림프절에 대한 적절하고 적극적인 치료 전략이 필요하겠다.

  • PDF

T3, T4병기 성문암의 치료성적 (Treatment Result in Advanced T3 and T4 Glottic Carcinoma: YUMC Experience)

  • 신현수;이형식;정은지;김귀언;노준규;서창옥;김광문;홍원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73-79
    • /
    • 1991
  • 1980년 1월부터 1988년 9월사이에 연세대학병원,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 및 이비인후과에서 치료받았던 68예의 T3, T4병기의 성문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분석을 하였다. 이 중 34명은 방사선 치료 단독으로 치료하였고 34명은 성문절제술후 방사선치료를 하였으며 이들 환자의 최소 추적기간은 2년이었고 54명 $(79\%)$에서 5년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다. 치료후 국소관해율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에서는 $51\%$,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치료군에서는 $79\%$이었고 임파절 음성군에서는$72\%,\;76\%$였으며 임파절 양성군에서는$31\%,\;81\%$이었다. 이들의 치료실패요인은 대부분 국소 국한적 이었고 30명 $(44\%)$에서 관찰되었다. 치료에 따른 5년 생존율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에서는 $37\%$,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치료군에서는 $76\%$로서 T3, T5병기의 성문암환자에 있어서 수술시 행후 방사선치료를 병용하는 복합요법 이 더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임파절 음성군에서는 방사선치료 단독군과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을 비교해 본 결과 5년 생존율이 $55\%$$73\%$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T3, T4병기의 성문암치료시 수술 및 방사선치료 병용요법이 더 좋은 치료결과 를 얻을 수 있지만 임파절 음성군에서는 기능적인 보존측면에서 방사선치료가 일차적 차료방법으로서 효과적이리라 사료된다.

  • PDF

항문암 환자에서 근치적 목적의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의 결과 (The Results of Cura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Anal Carcinoma)

  • 정재욱;윤미선;송주영;안성자;정웅기;나병식;남택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205-210
    • /
    • 2010
  • 목적: 항문암으로 근치적 목적의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반응의 예측인자,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병원에서 1993년부터 2008년까지 병리조직학적으로 항문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의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 나이의 중앙값은 61.5세 (39~89에)였고 방사선량의 중앙값은 50.4 Gy (30.0~64.0 Gy)였다. T병기 상 2기 이하였던 환자는 총 36명 (85.7%)이었다. 영역림프절전이는 14명(33.3%)에서 있었다. 항암화학요법으로는 5-fluorouracil, mltomycin 병행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가 36명 (85.7%)이었고 나머지는 5-fluorouracil, cisplatin 병행요법을 받았다. 결과: 전체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62개월 (2~202개월)이었다. 5년 전체생존율, 국소영역제어율, 무병생존율, 무장루생존율은 각각 86.0%. 71.7%. 71.7%. 78.2%였다. 전체생존율과 관련된 인자로 단변량분석에서는 Eastem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수행능력과 완전관해여부가 유의하였고 다변량분석에서는 ECOG 수행능력만이 유의하였다. 국소영역제어율, 무병생존율과 무장루생존률에 관련된 인자는 단변량이나 다변량분석 모두 유의한 인자는 없었다. 치료 후 완전관해 여부와 관련하여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없었다. 국소영역재발은 7명에서, 원격전이는 1명에서 발생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평가가 가능하였던 급성 부작용으로 3도의 피부염이 4명(9.5%), 2도는 22명(52.4%)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항문의 편평상피세포암에 대한 근치적 목적의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로 양호한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고, 특히 ECOG 수행능력이 1 이하인 환자의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치료 후 종양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인자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