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novation System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4초

중소기업 혁신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접근 : 지역혁신 클러스터 관점 (A policy approach to enhance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SMEs using regional innovation cluster)

  • 한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396-1406
    • /
    • 2006
  • 지역혁신체계, 클러스터의 목표는 이를 통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있는 것이지 클러스터 자체의 형성에 있는 것은 아니다. 중소기업은 지역 경제발전의 중심에 있다. 지역혁신체계, 클러스터의 성공은 중소기업의 혁신(기술개발)능력 향상에 달려 있다. 기술개발 능력을 위해선 기술자 간의 네트워크를 발전시키고 지역 언론 매체들이 클러스터에 적극 참여하여 제품 혁신에 기여 하여야 한다. 대학은 기술지도 및 연구인력, 교육프로그램을 보다 다양하게 기업에게 제공해 주어야 하고 지방정부는 참여자들의 네트워크 접촉점이 많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다시 말해 지역 기업의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이 확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능력 향상을 위해 지역혁신클러스터내의 각 주체들의 바람직한 역할 및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지역혁신의 유형 및 요인 분석 (Analyzing Typology and Factor Combin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in Korea Using fs/QCA)

  • 김규환;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4권4호
    • /
    • pp.3-18
    • /
    • 2018
  • 지역혁신은 지역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역혁신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하고 지역혁신 성과인 특허출원에 미치는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부분 기존 연구에서는 사례 중심 혹은 변수 중심 연구방법을 통해 지역혁신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하거나 지역혁신 효과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변수 중심 연구는 강력한 전제 조건을 가정하며, 사례 중심 연구는 주관적 해석에 의존하는 한계를 노정한다. 본 연구는 최근에 주목받는 fs/QCA를 활용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했다. 지역혁신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혁신의 요소를 투입, 인프라,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16개의 지방자치단체의 지역혁신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8가지의 지역혁신 유형 중, 대부분의 지역이 높은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유형과 투입과 네트워크가 높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3가지 요소는 7가지 하위 변수로 분류되는데, 이를 활용하여 지역혁신의 성과인 높은 특허출원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개발 인력과 유효특허가 특허출원의 필요조건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비, 유효특허, 협동연구, IP예산, TLO가 높고, IP금융이 낮은 원인 조합의 배열이 특허출원을 일으키는 충분조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혁신을 위해서 공공부문은 연구개발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부문에서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과 민간은 IP금융 활성화를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과 혁신정책의 재해석 (New Interpretation of Innovation Policy with Lenses of Societal Innovation Policy)

  • 송위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5-162
    • /
    • 2015
  •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기존 혁신정책을 재해석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기존 산업혁신정책의 프레임과 다른 틀로 혁신활동과 정책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이 갖는 정의와 특성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사회 기술시스템의 전환에 대한 전망과 시민사회의 참여에 대한 강조가 기존 관점과 차별화되는 점이라는 것을 논의한다. 다음에는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렌즈로 혁신정책의 요소들을 새롭게 해석한다. 혁신 거버넌스, 산업혁신정책, 지역혁신정책, 인프라 구축 정책과 같이 혁신정책의 핵심적 수단을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참여의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기존 혁신정책 수단을 재해석하고 성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학 중심 지역혁신의 기원과 주체: 영국 옥스퍼드지역을 사례로 (Regional Innovation Systems of Oxford, UK: Their Origin and Key Actors)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9-236
    • /
    • 2022
  • 1950년대 이후 선진공업국에서 나타난 탈 공업화 현상과 1970년대의 석유위기 이후의 경제위기에서 탈피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는 첨단 신산업을 중심으로 지역혁신을 유도하는 것이었다. 미국의 실리콘 밸리, 영국의 캠브리지 등은 체계적인 계획이나 정책적 노력 없이 혁신환경이 조성된 대표적인 예라고 할 때, 옥스퍼드 지역 역시 그에 버금가는 혁신지역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옥스퍼드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혁신이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발생하였으며, 그러한 변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지, 혁신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문헌자료와 인터넷 포탈 등을 검색하고 현장답사를 통한 관계자, 전문가 면담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The Coupling Analysis of Innovation Input-Innovation Output-Innovation Environment-The Case of China

  • Hang, Li;Sangwook,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51-159
    • /
    • 2023
  • 디지털 시대에 혁신은 정보기술발전의 핵심이다. 본문은 혁신 시스템 내 지역혁신능력의 차이를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커플링조정모델을 이용하여 중국의 31개 성, 시, 자치구의 혁신시스템(혁신투입, 혁신산출, 혁신환경)에 대해 커플링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의 전반적인 커플링 조정 수준은 낮다. 그리고 양호한 커플링과 높은 수준의 커플링 단계에 있는 지역의 수는 많지 않다. 둘째, 커플링의 전반적인 추세는 상승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양호한 커플링 단계에 있는 지역은 대부분이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높은 동부 연해안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본문의 연구 결과는 혁신 능력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ICT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혁신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Information & Analytical Support of Innovation Processes Management Efficience Estimations at the Regional Level

  • Omelyanenko, Vitaliy;Pidorycheva, Iryna;Voronenko, Viacheslav;Andrusiak, Nataliia;Omelianenko, Olena;Fyliuk, Halyna;Matkovskyi, Petro;Kosmidailo, In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6호
    • /
    • pp.400-407
    • /
    • 2022
  • Innovations significantly affect the efficiency of the socioeconomic systems of the regions, acting as a system-forming element of their development. Modern models of economic development also consider innovation activity, intellectual potential, knowledge as the basic factors for stimulating the economic growth of the reg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methodological foundation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based on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its effects. To further study the effectiveness of RIS, we have used one of the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tatistical analysis - canonical analysis. The next approach allows adding another important requirement to the methodological provision of evaluation of the level of innovation development of industries and regions, namely - the time factor, the formalization of which is realized in autoregressive dynamic economic and mathematical models and can be used in our research. Multidimensional Statistical Analysis for RIS effectiveness estimation was used to model RIS by typological regression. Based on it,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in groups of regions with low and relatively high innovation potential. To solve the methodological problem of RIS research, we can also use the approach to the system as a "box" with inputs and outputs.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대전 정보통신산업 네트워크의 구조적.공간적 특성과 시스템 사고를 통한 정책적 함의 (Struc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Daeje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Network Apply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s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es)

  • 송미경;이만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2권2호
    • /
    • pp.69-94
    • /
    • 2011
  • Daejeon, encompassing Daedeok Science Town and Daedeok Innopolis, possesses the advantage of portraying relatively higher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and facilitating network formation among regional professional research organizations. Apply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SNA) techniques, this paper focuses on divulging struc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aeje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ICT) industry network, analyzing co-research projects implemented by the Daejeon-based universities. For the analytical tool, it depends on NETMINER 3.0. Furthermore,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es, this study suggests a couple of policy implications. Judging from the Korea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principles, the existing ICT industry is subdivided into 11 sub-industries. The highest degree centralization value come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ub-industry(188.668%), indicating that Mobile Communication sub-industry exerts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regional innovation networking in Daejeon. Among various stakeholder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AIST) records the top ranking in most categories, conspicuously leading the institute-industry linkage. In terms of the ICT spatial distribution, the intra-regional cooperation examples present the strongest linkage values, followed by Daejeon-the Capital Region ones. Finally, as well shown in a series of causal loop analyses, this study recommends that Daejeon should put top policy priority in strengthening the internal ICT network within Daejeon proper. Here, Daejeon should keep in mind the fact that there exist reinforcing loops between Daejeon's attractiveness and the entering of new ICT firms.

  • PDF

기술사업화 생태계의 동태성에 대한 전략적 진단 (Strategic Diagnosis on the Dynamics of the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 최남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7권3호
    • /
    • pp.145-17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rategic diagnosis framework of performance by identifying and analysing the dynamics of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in innovative reg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is used. The systems thinking approach connects feedback structure and behavior more explicitly to diagnosis vicious feedback loop in the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In terms of an ecological point of view,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dominant feedback structure and find leverag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The diagnosis of reenforcing and balancing feedback structure is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data which has been collected in a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argeting on the 200 firm located in the Pangyo and Daeduk regi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was immature and faced limit to the growth. An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regiona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ecosystem need to activation of startups and reinforcement of virtuous feedback structure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arket systems.

정부 출연연구기관의 지역조직 운영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카노모형을 활용한 연구개발서비스품질 향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Regional Organizations Operating Advanced System of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From the R&D Service Point of View Quality Using the Kano Model)

  • 김진우;정유한;최재경;정진용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06-429
    • /
    • 2017
  • 대부분의 정부 출연(연)이 지역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나, 지역 內 자체 혁신체계상의 한계, 개별 기관별 지역조직 운영에 따른 경영상의 어려움 및 다양한 산업계의 R&D 수요 충족 미흡 등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 출연(연) 지역조직의 지역 내(內) 주요기능 및 향후 운영 효율화 방안을 수요자(고객 품질향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Kano 모형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바탕으로 출연(연) 지역조직 운영에 대한 연구개발서비스 품질속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기업의 소재지에 따라 서로 상이한 품질 속성이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정부 출연(연) 지역조직 설립, 운영 및 평가 및 중소기업의 역량(자체 R&D 조직 보유 여부 등)을 고려한 정책 설계 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세계의 산업: 산업의 세계화와 국지화 (Industry in a Networked World: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Industry")

  • 박삼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130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혁신네트워크와 지식획득과정을 분석하고 이들의 공간적 차원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혁신네트워크에서 하도급기업에게는 모기업이 중요하지만 일반 기업의 경우는 공급업체, 고객업체. 경쟁기업 등과의 교류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앞으로 혁신네트워크는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등의 기관이 더욱 중요해지는 한편 해외기업과의 네트워크도 더욱 중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혁신과 관련하여 형식적 지식을 획득하는 것은 어느 정도 공간의 제약을 초월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암묵적 지식은 사내연구개발부서에서의 토론과 연구, CEO나 실무자의 개인적 네트워크, 공급업체와 고객업체와의 기업간 관계를 통해서 얻는 경우가 많아서 공간적 근접성이 중시된다. 전반적으로. 혁신네트워크는 수도권과 지방, 공단입지와 일반입지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산업혁신정책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리 추진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