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ginseng total saponi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4초

기내배양을 통한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조직의 NaCl에 대한 반응 (In vitro Culture Response to NaCl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issues)

  • 윤재호;송원섭;이미숙;신동일;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3-130
    • /
    • 2005
  • 인삼포장에서 염류의 집적은 우량인삼의 생산에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삼종자의 NaCl에 대한 반응정도를 조사하고, 또한 체세포배의 발생시 및 인삼모상근에서 사포닌의 생성에 미치는 반응을 조사하였다. 인삼 접합자 배를NaCl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접종한 결과 $84.5\%$가 발아되었으며 0.1M에서는 $3\%$ 만이 발아되었고, 0.2M이상의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또한 체세포배 발생 은 미숙배를 이용할 경우 NaCl 무첨가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성숙배에서 는 NaCl 무첨가배지보다 0.05M첨가배지에서 더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뿌리 상태인 인삼의 모상근의 경우에는 광상태에서 NaCl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시 0.04M에서부터 안토시안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0.08M에서는 눈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의 많은 량이 형성되었다. 안토시안을 함유한 세포주는 다른 세포주에 비해 crude saponin뿐만 아니라 total ginsenoside의 함량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anaxatriol보다 panaxadiol이 2배 이상 많았다.

홍삼의 사포닌이 다이옥신에 의한 급성독성 유도 웅성 기니피그의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Blood Components of Male Guinea Pigs with Acute Toxicity induced by 2,3,7,8-Tetracholorodibenzo-ρ-dioxin (TCDD))

  • 김병원;이윤복;박재승;박지원;황석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39-350
    • /
    • 2013
  • 홍삼 사포닌분획(SF)투여 시 TCDD(2,3,7,8-tetracholorodibenzo-${\rho}$-dioxin)투여(TT)에 의해 감소했던 웅성 기니피그의 체중과 간, 콩팥, 지라, 고환의 무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SF투여 시 TCDD투여에 의해 감소했던 헤마토크릿 값, 적혈구 및 혈소판의 수, 아밀라아제 및 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도, 요산, 총단백질 및 알부민의 양은 증가했고, 증가했던 백혈구의 수,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TC), 혈당, 저밀도지단백질-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질-콜레스테롤, 크레아티닌, 혈중 요소질소, 칼슘 및 인의 양과 creatinine kin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당, TC, 칼슘 및 알부민을 제외한 모든 지표들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SF는 TCDD에 의해 유도된 기니피그의 급성독성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삼 사포닌이 랫드의 다낭성난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on the Polycystic Ovaries in Rats)

  • 이지애;임성철;류애란;배진규;강성수;김종춘;김성호;김정욱;최범채;배춘식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33-436
    • /
    • 2004
  • 홍삼 사포닌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발된 랫드의 다낭성난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홍삼 사포닌을 투여한 실험군의 난소형태는 퇴축난포, 정상발달을 보이는 이차난포 및 황체형성 등 비교적 정상화된 난소의 소견이 관찰되어 다낭성난소의 현저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2. 홍삼 사포닌을 투여한 실험군의 신경성장인자 염색은 대조군에 비해 난소조직에서 내협막 세포들과 간질세포들이 현저하게 감소된 현상을 보였으나, 뇌하수체 및 해마체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홍삼 사포닌은 다낭성난소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압출성형에 의한 ginsenoside의 변환 (The Conversion of Ginsenosides by Extrusion Molding)

  • 류재형;이춘영;안문섭;김장원;강위수;이해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2호
    • /
    • pp.114-118
    • /
    • 2008
  • Ginseng treated with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of various acids to search hydrolysates on the basis of increased biological activity and modified structure. In the result of acid treatment, the conversion rate of ginsenoside Rg3, Rk1 and Rg5 was highest when ginseng treated with citric acid. After added citric acid to ginseng extract, boiled at l00$^{\circ}C$ for 1 hour and add enzyme, which is examined change by time. It compared with group which did not treated acid. Two groups became difference according to enzyme but the generation rate of ginsenoside Rg3, Rk1 and Rg5 did not show difference greatly. Also, the generation rate of ginsenoside Rg3, Rk1 and Rg5 by time passes did not show difference. The generation rate of ginsenoside Rg3, Rk1 and Rg5 increased when increased acid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time. We did exclusion molding to shorten treatment time. In the result of ginseng treated with citric acid of various concentrations at various temperatures as time passes by extrusion molding, the generation rate of ginsenoside Rg3, Rk1 and Rg5 was highest when ginseng treated with 3% citric acid at l60$^{\circ}C$ for 20 minutes. In addition, total saponin amount of ginseng treated with 3% citric acid at 160$^{\circ}C$ for 20 minutes was about 11% higher than ginseng heated at 120$^{\circ}C$ for 3 hou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ur exclusion molding process more effective, compared to traditional red ginseng manufacturing process.

홍삼사포닌이 좌골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on Sciatic Nerve Regeneration)

  • 한혜정;이해준;강성수;이수한;조익현;이종환;나승열;박창현;엄창섭;배춘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103-109
    • /
    • 2003
  • 실험적으로 좌골신경에 압궤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홍삼사포닌을 투여하여 손상된 말초신경의 회복에 미치는 홍삼사포닌의 효과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통한 조직ㆍ형태학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손상된 신경재생에 가장 유효한 홍삼사포닌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50 mg/kg, 100mg/kg, 150mg/kg의 홍삼사포닌을 3주간 투여한 결과 150 mg/kg의 홍삼사포닌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2. 홍삼사포닌이 신경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50 mg/kg의 홍삼사포닌을 1주 간격으로 1주부터 3주까지 투여한 결과 총 유수신경섬유 수는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는 1주에서 2주 사이에 급격히 증가를 하고 3주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에서는 1주에서 3주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유수신경섬유 수가 홍삼사포닌 투여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현저히 적은 양이지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은 축삭절단만 시키고 신경 연결을 완전히 절단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자연회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는 대조군 보다 많은 수의 유수신경섬유 수를 가지고 이로 인해 홍삼사포닌은 말초신경 손상 시 재생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 1주와 2주 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신경 재생의 초기 단계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말초신경 손상 시 홍삼사포닌을 투여하는 것은 자연 회복의 속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신경손상 시 홍삼사포닌을 투여하는 방법을 임상에 적용한다면 조기에 신경재생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다.X>$_4$ ratio도 대조그룹 대비 RFEY-1.0, RFEY-3.0, RFEY-5.0의 투여그룹은 각각 39.5%, 67.3% 및 96.3%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미열매 추출물을 주재로 한 장미 요구르트의 항스트레스작용은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cetate, jupinene, $\delta$-cadinene, germa acrene, farnesol 등이 검출되었고 원자방출검출기 (AE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특이적인 황화합물 및 질소화합물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한 수술 전 평가 등을 통해 중장기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25^{\circ}C$에서 49.30% (76.66mg/kg)로 나타나 주로 $25^{\circ}C$ 이하에서 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양온도에서 검지 된 뷰틸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1,463.87mg/kg, 계분에서 96.72mg/kg, 우분에서 129.18mg/kg이 발현되었으며 돈분의 경우 93.31%(1,365.95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7.92%가 3일령, 4일령과 6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계분의 경우 $37^{\circ}C$ 처리구에서 76.60%(74.09 mg/kg)로 발현되었고 이 중 88%가 1일령, 2일령과 5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우분의 경우 61.55%(79.51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9.6%가 1일령, 3일령과 4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4.

인삼엽차(人蔘葉茶) 제조방법(製造方法)이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Ginseng Leaf Tea)

  • 김상달;도재호;오훈일;이송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7-272
    • /
    • 1981
  •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하여 여섯가지의 다른 제조공정(製造工程)으로 인삼엽차(人蔘葉茶)를 제조(製造)하여 그 품질(品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완전추출(完全抽出)에 대한 30분(分) 추출물량(抽出物量)의 비(比)는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가장 컸으며 인공건조차(人工乾燥茶), $25^{\circ}C$ 발효차(醱酵茶)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2. 황색 색상, 오렌지 색상 및 적색 색상의 강도(强度)는 배집차(焙集茶)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30^{\circ}C$ 발효차(醱酵茶), $25^{\circ}C$발효차(醱酵茶)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추출(抽出)된 saponin 함량(含量)은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차(茶)에 비해 가장 많았으며 또한 관능검사 결과 $30^{\circ}C$ 발효차(醱酵茶)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증숙 횟수에 따른 고려인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C. A. Meyer during Repeated Steaming Process)

  • 홍희도;김영찬;노정해;김경탁;이영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22-229
    • /
    • 2007
  • 국내 인삼은 대부분이 수삼 또는 백삼, 홍삼 등의 1차 가공제품으로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서는 인삼의 효능 및 성분 강화를 위하여 발효, 가압처리, 고온처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5년근 수삼을 이용하여 9회의 증숙과 열풍건조를 반복 수행하면서 중량, 색도, 갈변도, 수분, 당류, 산성다당체, 총 페놀화합물, 조사포닌 및 주요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분의 경우 초기 73.4%에서 3회 처리 시 21.2%까지 감소하고 이후 9회 처리 시 13.7%까지 감소하였다. 최종 중량수율은 약 21.0%, 건물기준 최종수율은 79.0%이었다. 색의 경우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갈변도는 3회 증숙처리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총당은 초기 55.4%에서 9회 처리 시 38.6%로 감소한 반면 산성다당체 함량은 4.4%에서 6.8온까지 증가하였다. 총페놀함량은 초기 0.4%에서 3회 처리 시 0.9%로 9회 처리 시에는 3.6%까지 증가하였다. 물포화부탄올 추출물 즉 조사포닌 함량은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주요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ginseno-side $Rb_1$, $Rb_2$, $Rg_1$, Re 등의 함량은 감소하고 $Rg_2$, $Rh_1$, $Rg_3$ 등의 홍삼 특이성분 함량은 5번 증숙처리 이후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이화학적 성질 및 침출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Releas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Tissue Cultured Mountain Ginseng)

  • 한재윤;정기화;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18-10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에 의해 생산된 산삼배양근을 홍삼화하여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식품소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산삼배양근을 압출성형 하였다. 압출성형 산삼 배양근의 일반성분, 조사포닌, 말톨, 산성다당체, 페놀성화합물 등의 화학적 성분과 갈색도, 적색도, 침출특성의 물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주근의 함량이 높은 홍삼이 총당과 환원당 함량은 산삼배양근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총당과 환원당은 증가하였다. 반면 미세근으로 이루어진 산삼배양근의 총아미노산 함량이 주근으로 이루어진 홍삼과 비교하여 높게 측정되었으며, 압출성형 산삼배양근의 아미노산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효성분인 조사포닌 함량은 산삼배양근을 압출성형을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배럴온도 $120^{\circ}C$에서 압출성형한 산삼배양근이 9.60%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말톨은 홍삼에서만 확인되었으며, 산삼배양근의 경우 압출성형을 통해서도 말톨의 생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산성다당체는 산삼배양근($0.24\;{\mu}g/g$)이 가장 낮았지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 배럴온도 $120^{\circ}C$에서 $0.75\;{\mu}g/g$으로 홍삼의 $0.83\;{\mu}g/g$과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압출성형을 통해 감소하였다. 산삼배양근의 갈색도와 적색도는 압출성형으로 증가하였으며,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갈색도를 기준으로 한 침출특성과 침출속도상수 역시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압출성형은 유효성분인 조사포닌 및 산성다당체 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침출력을 향상시켜주므로 향후 고가의 산삼배양근을 더욱 효율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공정으로 확인되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홍삼주 발효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 for Red Ginseng Win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성호;강복희;노상균;김종국;이상한;이진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6-564
    • /
    • 2008
  • 인삼의 다양한 식품소재개발을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홍삼주의 최적발효조건을 모니터링하였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의하여 독립변수로서 발효온도, 발효기간 및 초기 pH를 설정하여 종속변수 홍삼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유효성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홍삼주의 알코올 함량과 총당 함량은 발효온도와 발효기간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포닌 함량은 발효기간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 후의 pH는 초기 pH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주의 유효성분인 Ginsenoside 함량을 조사한 결과 주로 발효온도보다는 발효기간 및 초기 pH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발효기간이 길고 초기 pH가 높을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유효성분 함량에 대하여 superimposed counter map으로 최적 조건을 예측한 결과 발효온도 $21{\sim}27^{\circ}C$, 발효기간은 $15{\sim}20$일, 초기 pH의 경우 $4.6{\sim}5.2$로 각각 예측되었다.

HPLC-ECD를 이용한 흰쥐의 뇌 중 감마 아미노부티르산 및 글루탐산의 정량 (Determina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and Glutamic Acid in Rat Brai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 강종성;이순철
    • 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00-305
    • /
    • 1999
  • A sensitive and efficient assay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level of glutamic acid (GA) and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n frontal cortex and hippocampus of rat administrated with ethanol and drugs. The compounds were derivatized with ο-phthalaldehyde (OPA) and 2-mercaptoethanof for precolunm analysis. The condition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A, GABA and $\beta-aminobutyric$ acid (BAB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was reverse phase $C_{18}$ column as stationary phase, 0.1 M phosphate buffer containing 0.1 mM $Na_4EDTA$ : methanol = 55:45 (v+v) pH 3.8 as mobile phase and 0.7V electrode voltage. The stability of reaction product of GA, GABA and BABA with OPA could be increased by adding the same volume of polyethylene glycol 400 to reaction mixture. The GABA level in frotal cortex of r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administration of picrotoxin and diazepam, but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N-methyl-D-glucamine and (-)-depreny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