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on Sciatic Nerve Regeneration

홍삼사포닌이 좌골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inseng total saponin (GTS) on the regeneration process of experimentally crush injured rat sciatic nerves. The bilateral sciatic nerves of fifty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compressed surgically with a straight hemostat for 30 seconds with 1 mm width. Twent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o test the dose-dependent effect of GTS (0, 50, 100, or 150 mg/kg, i.p.). Saline for vehicle control group or GTS dissolved in saline was administerd for three weeks. After that period of time, the numbers of total myelinated axon and degenerated myelin in the sciatic nerves of bilateral legs were examined and analyzed using image analysis system to confirm a morphological effect of GTS. We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GTS for the regeneration of damaged sciatic nerve was 150 mg/kg. In another set of experiment, thirty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saline-treated vehicle group and GTS-treated group (150 mg/kg, i.p.) for three weeks. Every week we examined the numbers of total myelinated axon and degenerated myelin in the sciatic nerves of bilateral legs using image analysis system to evaluate the effect of GTS on injured nerves. We found that the regeneration of damaged sciatic nerves was facilitated in GTS-treated group compared to saline-treated group until two weeks. However, after that period of time we could not obser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line-treated group and GTS-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GTS is a useful adjuvant therapy for the regeneration of the peripheral nerve injury in short period of treatment.

실험적으로 좌골신경에 압궤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홍삼사포닌을 투여하여 손상된 말초신경의 회복에 미치는 홍삼사포닌의 효과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통한 조직ㆍ형태학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손상된 신경재생에 가장 유효한 홍삼사포닌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50 mg/kg, 100mg/kg, 150mg/kg의 홍삼사포닌을 3주간 투여한 결과 150 mg/kg의 홍삼사포닌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2. 홍삼사포닌이 신경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50 mg/kg의 홍삼사포닌을 1주 간격으로 1주부터 3주까지 투여한 결과 총 유수신경섬유 수는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는 1주에서 2주 사이에 급격히 증가를 하고 3주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에서는 1주에서 3주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유수신경섬유 수가 홍삼사포닌 투여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현저히 적은 양이지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은 축삭절단만 시키고 신경 연결을 완전히 절단하지 않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자연회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는 대조군 보다 많은 수의 유수신경섬유 수를 가지고 이로 인해 홍삼사포닌은 말초신경 손상 시 재생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홍삼사포닌 투여군에서 1주와 2주 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신경 재생의 초기 단계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말초신경 손상 시 홍삼사포닌을 투여하는 것은 자연 회복의 속도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신경손상 시 홍삼사포닌을 투여하는 방법을 임상에 적용한다면 조기에 신경재생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다.X>$_4$ ratio도 대조그룹 대비 RFEY-1.0, RFEY-3.0, RFEY-5.0의 투여그룹은 각각 39.5%, 67.3% 및 96.3%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장미열매 추출물을 주재로 한 장미 요구르트의 항스트레스작용은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cetate, jupinene, $\delta$-cadinene, germa acrene, farnesol 등이 검출되었고 원자방출검출기 (AE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특이적인 황화합물 및 질소화합물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한 수술 전 평가 등을 통해 중장기 개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25^{\circ}C$에서 49.30% (76.66mg/kg)로 나타나 주로 $25^{\circ}C$ 이하에서 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양온도에서 검지 된 뷰틸산의 량은 6일 동안 돈분에서 1,463.87mg/kg, 계분에서 96.72mg/kg, 우분에서 129.18mg/kg이 발현되었으며 돈분의 경우 93.31%(1,365.95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7.92%가 3일령, 4일령과 6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계분의 경우 $37^{\circ}C$ 처리구에서 76.60%(74.09 mg/kg)로 발현되었고 이 중 88%가 1일령, 2일령과 5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우분의 경우 61.55%(79.51mg/kg)가 $25^{\circ}C$에서 발현되었고 이 중 89.6%가 1일령, 3일령과 4일령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4.

Keywords

References

  1. Dyck, P. J.: N. Engl. J. Med. 307(5), 283-286 (1982) https://doi.org/10.1056/NEJM198207293070504
  2. Havton, L. A., Hotson, J. R. and Kellerth, J. O.: Muscle Nerve 24(5), 662-666 (2001) https://doi.org/10.1002/mus.1052
  3. Seddon, H. J. : Brain 66, 237 (1943) https://doi.org/10.1093/brain/66.4.237
  4. Mosahebi, A., Fuller, P. Wiberg, M. and Terenghi, G. : Exp. Neurol. 173(2), 213-223 (2002) https://doi.org/10.1006/exnr.2001.7846
  5. Terzis, J. and Smith, K. J.: Exp. Neurol. 96(3), 672-680 (1987) https://doi.org/10.1016/0014-4886(87)90228-7
  6. Dezawa, M., Takahashi, I. Esaki, M. Takano, M. and Sawada, H.: Eur. J. Neurosci. 14(11), 1771-1776 (2001) https://doi.org/10.1046/j.0953-816x.2001.01814.x
  7. Yoshii, S. and Oka, M. : J Biomed. Mater. Res. 56(3), 400-405 (2001) https://doi.org/10.1002/1097-4636(20010905)56:3<400::AID-JBM1109>3.0.CO;2-7
  8. Kilmer, S. L. and Carlsen, R. C. : Exp. Neurol. 95(2), 357-367 (1987) https://doi.org/10.1016/0014-4886(87)90144-0
  9. Zorko, B., Rozman, J. and Seliskar, A. : Acta. Vet. Hung. 48(1), 99-105 (2000) https://doi.org/10.1556/AVet.48.2000.1.11
  10. Sisken, B. F., Walker, J. and Orgel, M. : J. Cell Biochem. 51(4), 404-409 (1993) https://doi.org/10.1002/jcb.2400510404
  11. 윤범철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12. Nah, S. Y.: Kor. J. Ginseng Sci. 21, 1-12 (1997)
  13. Nishiyama, N., Cho, S. I. Kitagawa, I. and Saito, H. : BioI. Pharm. Bull. 17(4), 509-513 (1994) https://doi.org/10.1248/bpb.17.509
  14. Himi, T., Saito, H. and Nishiyama, N.: Chem. Pharm. Bull. (Tokyo). 37(2), 481-484 (1989) https://doi.org/10.1248/cpb.37.481
  15. Sufan, W., Suzuki, Y. Tanihara, M. Ohnishi, K Suzuki, K. Endo, K. and Nishimura, Y. :J. Neuratrauma. 18(3), 329-338 (2001) https://doi.org/10.1089/08977150151070991
  16. Kim, Y. C., Kim, S. R. Markelonis, G. J. and Oh, T. H. : J. Neurosci. Res. 53(4), 426-432 (1998) https://doi.org/10.1002/(SICI)1097-4547(19980815)53:4<426::AID-JNR4>3.0.CO;2-8
  17. Koning, P. D., Brakkee, J. H. and Gispen, W H. : J. Neurol. Sci. 74(2-3), 237-246 (1986) https://doi.org/10.1016/0022-510X(86)90109-7
  18. Buchthal, F. and Kuhl, V. :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42(5), 436-451 (1979) https://doi.org/10.1136/jnnp.42.5.436
  19. 김호석, 박노부, 김진수 :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17(1), 96-104 (1995)
  20. Frykman, G. K., McMillan, P. J. and Yegge, S. : Orthop. Clin. North Am. 19(1), 209-219 (1988)
  21. 유석근 : 대한성형외과학회지 24(1), 32-44 (1997)
  22. Francisco, A., Robert, F. Dianne, D. Valerie, H. and Thim-othy, C.: J. Com. Neurol. 426(2), 229-242 (2000) https://doi.org/10.1002/1096-9861(20001016)426:2<229::AID-CNE5>3.0.CO;2-W
  23. 이광석, 심재학, 김태하, 주성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6(1), 17-2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