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reational Forest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휴양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current Barrier-Free facilities in Leisure Building)

  • 성기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25-32
    • /
    • 2010
  •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recreation as one of the ways to mainta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modern society, access to leisure facility is an issu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is paper identifies inaccessible features to propose the ways to promote participation and usage of the leisure faciliti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survey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conducted to determine preferred leisure facilities depending on types of disabilities. The result of this survey is used to evaluate current condition of regulated National leisure facility and forest, which include barrier-free facilities (e.g. interconnecting zones, interior spaces, lavatories and other facilities), signage, approachable information kiosks, emergency egress, and detectable warnings. The common issues (e.g. guiding mechanism, accessible route, safety factors, and barrier-free facilities/services) in various types of recreational facilities (e.g. forest recreational center, spa and hot springs, Amusement Park, ski resort)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휴양자원가치(休養資源價値) 평가(評價)를 위한 CVM 질문형(質問型) 비교(比較) (A Comparison of the Different Question Formats in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Recreational Benefit)

  • 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400-40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가치평가를 위한 설문내용은 일치하지만 상이한 질문형에 따라 평가된 휴양가치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속리산 국립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폐쇄형인 양분선택 방식과 개방형인 직접지불 방식, 두 가지 질문형에 대해 동일한 피설문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 얻고자 하는 방문객의 휴양가치는 동등변이에 기초한 최대지불의사액이었다. 분석에서 사용된 독립변수는 여행비용과 월 개인소득이다. 가치평가를 위한 기본모형은 단순선형을 가정하였으며 폐쇄형은 프로빗, 개방형은 토빗모형에 근거한 이변량정규분포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가 동일한 경우에 산출된 지불의사액은 질문형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인 방문객 1인의 5년간 속리산 국립공원에 대한 휴양가치는 25,556원으로 산출되었다.

  • PDF

Forestry Administration and Forestry Research in Korea

  • Shim, Sang Yu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3호
    • /
    • pp.295-302
    • /
    • 1987
  • Korea is a small country with extremely high population density. Industrialization of the nation resulted GNP per capita of over 2,000$ in 1986 with an inevitable by-product, high level of pollution in many areas. Forest land is now acknowledged as not only a wood production site but also an origin of much more important intangible values, water and clean air, soil conservation, and recreational and scenic values. Mostly devastated forest land from Korean War has been recovered under the strong afforestation drive from the government. The first Forest Development Plan was mostly reforestation phase and the second Forest Development Plan is foundation establishment phase. The third and later Plans are to enlarge economical forest and to maintain sustatined yield phase. Forestry administration as well as forest research certainly played a great role in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two Forest Development Plans. For effective planning and accomplishment of the third Forest Development Plan close cooperation among policy makers, forest managers and research workers are mostly required.

  • PDF

자연휴양림의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 연구 - 경기도 축령산자연휴양림을 사례로 - (Planting Managements for Improvement of Species Diversity in Recreational Forest - A Case Study of Chukryongsan Recreational Forest, Gyeonggi-do -)

  • 이태선;이경재;최병언;박석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1-362
    • /
    • 2010
  • 본 연구는 휴양림의 기능 향상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외방리 축령산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휴양림 내 등산로 및 산책로 주변의 주요 분포종인 잣나무 인공식생지와 자연식생지인 낙엽활엽수림의 생물다양성 조사 및 분석 등을 실시하여 휴양림 기능향상을 위해 식생유형별 관리를 위한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식생관리, 현존식생 및 비오톱 현황, 식생유형 구분, 식생구조, 야생조류 서식구조 등의 기능검토를 실시하였다. 휴양림내 식생유형 구분은 현존식생과 비오톱현황을 기초로 잣나무 인공조림지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등산로 및 산책로 주변 대표식생 조림여부, 식생관리 등에 따라 4개의 유형(관리되지 않은 인공 잣나무림, 관리된 인공 잣나무림, 단풍나무 비율이 높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관리된 낙엽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종다양도는 낙엽활엽수림이 인공 잣나무림 보다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고 관리되지 않은 상태가 관리된 상태보다 종다양도지수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야생조류 서식구조 분석결과 관리된 잣나무림은 층위구조가 빈약한 단층으로 식재되어 다양한 야생조류의 이동통로로서 부적합한 구조이고, 관리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잣나무림 등이 양호한 야생조류 서식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물다양성 기능 검토에 근거하여 관리유형을 크게 보전관리와 복원관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보전관리 중 기존낙엽활엽수림 유지유형은 자연상태의 낙엽활엽수림 지역, 관리된 낙엽활엽수림 지역 등이 속하며 생태적 관리유형은 관리되지 않은 인공 잣나무림 지역을 설정하였고, 복원관리지역인 생태적 복원유형은 관리된 인공 잣나무림 지역으로 설정하여 식생관리 유형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한 홍릉숲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Hongneung Forest Based on Visitor Monitoring)

  • 최가영;김통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43-453
    • /
    • 2015
  • 1922년 임업시험장으로 조성된 홍릉숲은 한국 임업연구의 요람이면서 도시민에게 휴식의 장소를 제공하는 도시숲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홍릉숲을 대상으로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홍릉숲 관리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주말 홍릉숲을 방문한 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이용객 연령대는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홍릉숲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휴양목적으로 방문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홍릉숲을 시험림보다는 쉼터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용객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향후 홍릉숲 보전을 위한 적극 홍보와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홍릉숲의 관리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홍릉숲이 시험림과 도시숲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숲 해설 프로그램의 확대와 홍보를 통해 홍릉숲의 가치와 중요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알려 이용객들의 인식을 제고하여야 한다. 둘째, 주말 이용객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수행을 통해 수요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용객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홍릉숲의 엄격한 자원보전과 만족스러운 휴양기회 제공이라는 사회적 수요를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도록 이용객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자원과 서비스 관리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GIS와 설문분석에 의한 강원대 학술림의 비목재생산기능 평가 (Evaluation of Non-Timber Forest Functions in the Research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Using GIS and Questionnaire Analysis)

  • 최상현;김진국;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1호
    • /
    • pp.99-10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on-timber forest functions of the Research Forest area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tudy, forest recreation func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survey method answered by forest management experts. The evaluation factors for forest recreation function were separat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Each factor was classified into intermediate element and detailed el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factors of forest recreation func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potential of external factors and the suitability of internal factors. Potential of the external factors were divided into accessibility, location, landscape and induction factors while the suitability of internal factor was divided into stand structure, forest structure and human impact. The priority of the potential of external factors was in order that location, accessibility, induction factors and landscap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location, accessibility, induction and landscape factors are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봄철 소나무숲의 NVOC 농도와 숲환경과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NVOCs Concentration and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Environment in Spring Season)

  • 김건우;권치원;염동걸;정다워;최윤호;박범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483-489
    • /
    • 2014
  • 본 연구는 봄철 소나무숲의 NVOC 농도와 숲의 물리환경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과학적으로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소나무숲의 대기중 NVOC의 포집을 위해 2013년 3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총 5회의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Tanax-Ta가 충진된 1회용 튜브와 미니펌프를 사용하여 포집하였다. 매회의 실험마다 일중시간동안 총 세 번의 시간(일출, 남중, 일몰)에 측정을 하였으며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같은 지점에서 두 개의 튜브를 사용하여 측정 후 분석한 평균값을 사용 하였다. 포집된 NVOC 물질 분석은 HS-SPME법을 사용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봄철 소나무숲의 NVOC 농도와 숲의 물리환경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alpha}$-pinene, ${\beta}$-pinene 등 대부분의 물질에서 온도, 이슬점이 높아질수록 농도가 높아졌으며 풍속이 클수록 농도가 낮아졌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들은 치유의 숲, 자연휴양림 조성 및 숲 환경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국민들의 건강증진과 여가활동에 유익한 정보로 사용 될 것이라 기대된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림휴양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 연구 - 유명산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Universal Design Principles for Forest Welfare Service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the Yumyeongsan Natural Recreational Forest -)

  • 이재혁;민경훈;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51-61
    • /
    • 2015
  • The necessity of universal design for forestry is increasing. Although several studies applied universal design in forest site, they had been only concentrated on the barrier-free design for the limited activities rather than overall utilization for considering all visitors from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infirm to the baby an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inciple of the universal design within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by analysing how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perceive overall usag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area. This study figures out the mai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in forest welfare through analyzing usage of children and disabilities in Yumyeo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where is one of the popular type of forest welfare area. By doing focus interviews targeted on children and disabilities, the results are analyz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objectively. The result proves that universal design in forest welfare area contains four principles; convenience, safety, diversity and amenity. Also it confirmed that disabilities need better internal space facilities and priority care. Through those characters of universal design, forest area will be able to cover more various type of users as forest welfare area.

삼림자원화(森林資源化)를 위한 산촌문제연구(山村問題硏究) -강원도(江原道)를 중심으로- (A study on mountain village problems for making forest resources - with Kangwon province as the central region -)

  • 권오복;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9-32
    • /
    • 1993
  • 우리나라에서 국내목재소비량(國內木材消費量)은 과거 20-30년 동안에 급격하게 증가했고 최근에는 휴양(休養)을 위한 삼림이용(森林利用), 수원함양(水源涵養)과 국토보전(國土保全)을 위한 보안림(保安林)의 필요성(必要性)이 점차로 증대해가고 있다. 그러나 삼림(森林)을 조성해야할 삼림소유자(森林所有者)들이 산촌(山村)에서 도시(都市)로 이동(移動)하고 있으므로 삼림(森林)에 대한 사회(社會)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삼림활동(森林活動)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따라서 도비화문제(都鄙化問題)가 중요한 정책과제(政策課題)로 되어 있다. 본(本) 논문(論文)은 삼림자원화(森林資源化)를 위하여 산촌문제(山村問題)를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 PDF

도시휴양림의 포지셔닝 검토를 통한 적정시설기준 탐색 (A Study on the Facility Regulations of Urban Recreation Forest by the Positioning Concept)

  • 김태진;홍윤순;안승홍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04
  •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out the character of urban recreation forest and investigating facilities regulations of forest resources around urban areas to meet future recreation need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compare urban recreation forests with similar facilities like urban parks and natural recreation forests. By this way,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creation forest as emerging recreational facility, but also outputs regulations that can be adapted to real environment. Urban recreation forest is defined as follows: It has forest with good natural landscape and easy access. It makes emotion rich and its function is focused on outdoor recreation nature education, and experiences for family group mainly within a day or on weeken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inimal area of urban recreation forest should be over 100,000$m^2$, with a facility ratio less than 20%. Building coverage should be less than 7% when the urban recreation forest is under 300,000$m^2$, less than 5% when 300,000∼500,000$m^2$, and less than 3% when over 500,000$m^2$ The limits of building height is 3 stories, or under 12m. This study finds out the character, the needs of urban recreation and the criterion for project feasibility. significance of the result is supplying theoretical basement on related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s, further study will establish landscape management method and legislation & application in a detailed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