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With Library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28초

독서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전라북도교육청 독서교육 담당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Reading Education for Policy Development in Jeollabukdo, Korea)

  • 김성준;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70
    • /
    • 2013
  • 이 연구는 전라북도교육청의 효과적인 독서교육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단위학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주요 조사내용은 그동안의 독서교육 사업평가, 단위학교 독서교육 현황, 독서교육 정책개발의 고려요소이며, 전라북도교육청 소속 전체 학교의 31%에 해당하는 239개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와 효과성은 비교적 높고, 단위학교는 연간 4개 정도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독서교육 수준이 중 고등학교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독서교육 정책수립시 고려해야 할 우선순위로는 사서교사와 같은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충원과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장서와 같은 독서환경의 개선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의 기조유지와 개선, 학교도서관 환경개선 사업의 지속추진, 초등학생 대상의 전문화된 정책개발,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배치와 전문성 신장, 독서교육 정보의 공유체계 마련을 독서교육의 주요 정책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미국 대학의 "한 책" 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One Book" Reading Campaigns in Universities in the U. S. 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5-10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대학들이 수행하고 있는 "한 책" 독서운동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이 대학 자체와 지역사회라는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미국의 많은 대학들은 지역사회 "한 책" 독서운동에 파트너로서 혹은 주관기관으로서 참여하기도 하고, 또는 캠퍼스 내에서 전형적 "한 책" 운동 혹은 "공동독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대학은 "한 책" 독서운동을 통해 대학이 보유한 도서관 컬렉션, 전문적 인력자원 및 캠퍼스 시설 등의 다양한 자원의 제공자로서, 또한 그 자체가 대학의 "아웃리치" 활동으로서, 그리고 대학도서관 및 다양한 학과, 연구소 부서, 부속기관 등이 참여하는 전문영역의 독서진흥활동으로서 지역사회에 기여한다. 또한 대학 안팎에 "문학 독서(literary reading)"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보다 높이고, 캠퍼스 내에서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 독서에 따른 학업효과의 증진 등 효과를 달성하고 있다.

  • PDF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한 성장시기별, 자료유형별 독서량 간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 of Reading Quantities in Developmental Period and Reading Material Type-Centered on Jeonju Girls' High School Freshmen)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45-460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여학생들이 어릴 때부터 여고생 시절까지 성장하면서 각 시기별로 읽는 도서의 양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또 각 자료유형별 상관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하여 밝히고 이 결과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내용과 비교하여 신뢰성 있는 이론을 창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활용한 서베이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성장시기별 자료유형별 독서량 등을 조사하고 통계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정 시기에 특정 매체(일반도서, 만화, 잡지)를 많이 이용하면 다른 시기에도 동일 매체를 많이 이용할 가능성이 높고 어린 시절 만화의 독서량이 많은 학생들은 상급학교에서 일반도서를 읽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코로나19 발생 전·후 대학도서관 열람실 이용행태 비교 연구 - J대학교 중앙도서관 이용 로그를 기반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ge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i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Based on the Reading Room Log of J University Central Library)

  • 허상덕;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7-228
    • /
    • 2022
  • 학업 및 취업 준비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는 20대 대학생에게 있어 학습 공간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역할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코로나19 시기의 이용 행태 변화를 통해 도출된 이용자의 요구를 대학도서관 열람실 공간에 반영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코로나19 전·후의 대학도서관 열람실 이용 행태를 비교하여 변화와 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지역 거점 국립대학교인 J대학교를 선정, 중앙도서관의 코로나19 전·후 3개년도에 해당하는 2019~2021학년도의 열람실 이용로그 579,555건을 수집하여 열람실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120,090건의 자료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 방문 목적을 비교하였고 각 열람실별 특성과 이용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팬데믹 이후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 열람실 운영 및 공간 재구성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고대한다.

한국 독서운동의 현단계와 전망: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The Present Stage and Prospects of the Reading Campaign in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One Book, One City' Projects)

  • 이용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25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운동과 독서운동의 지평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최근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조명하였다. '한 책, 한 도시' 운동은 최근 수년 간 북미 전역에 확산되었으며, 많은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인 독서운동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여러 도시가 이러한 독서운동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한 책, 한 도시'운동의 의미와 의의를 살펴보고. 국내 '한 책, 한 도시'운동의 주요 도시별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국내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특징을 규명하고 한국 사회에 맞는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책 읽어주기 가치 인식이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도서연구회 책 읽어주기 활동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Reading Aloud' on the Reading Attitude of Listeners: Focusing on the Reading Activities of the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 박경희;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29
    • /
    • 2022
  •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를 들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책 읽어주기에 대한 가치 인식이 책 읽어주기 만족도와 독서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도서관 책 읽어주기 서비스의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대별로 책 읽어주기에 대한 가치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독서태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책 읽어주기 가치가 효능감, 사랑받는 느낌에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편안함에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이에 비해 낮았다. 셋째, 만족도가 긍정적인 응답자일수록 독서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가 어린이 책을 읽는 독서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응답자는 신뢰관계형성에 대한 가치 인식이 높고, 책 읽어주기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책 읽어주기 경험이 많을수록 독서태도의 행동적 측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연령대별로 가치 인식 유형과 만족도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한편, 학부모대상 독서모임을 적극적으로 운영하여 독서태도 향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독서지도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독서지도 담당 사서 직무 분석 (A Study on the Tasks Analysis for Special Librarians in Reading Guidance)

  • 황금숙;김수경;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1-13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에게 요구되는 독서지도 관련 전문성 강화를 위해 실무와 이론을 겸비한 독서지도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독서지도 담당 사서의 직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서지도 관련 직무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9개의 책무(Duty)와 34개의 작업(Task)을 도출하여 도서관 현장 사서를 대상으로 한 FGI 분석 방법을 통하여 독서지도 전문사서의 직무 정의 및 도출된 직무의 적절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직무분석 결과로 도출된 직무 정의, 책무, 작업의 전반적인 구조는 적절성 수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서지도 전문사서에게 추가로 요구되는 책무 6개와 작업 21개가 더 제시되었다.

교과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A Practice of Reading to Learn Linking the Subject Learning)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23-441
    • /
    • 2007
  • 독서능력은 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그리고 평생학습능력을 위한 핵심능력이며, 학습독서는 자원기반학습이나 탐구기반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독서의 한 방법으로서 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교과교사와의 협력을 통해서 완성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과정과 협동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학습모형으로서 독서기반 정보문제 해결모형을 소개한다.

  • PDF

전문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of the Junior College Library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 이수영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37-44
    • /
    • 2017
  • This study is about user satisfaction of the Junior College Library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For this,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targeting the libraries in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First, in case of study of characteristics of space composition for books and library data, student satisfaction for traditional and normal library areas was high. It means that the service based on library areas should start from normal library areas as well as there is a change about space as the type of data in libraries change to electric data and multimedia. Second, If we look at the space for a reader and a user, satisfaction for a normal reading room was high. we can also see that satisfaction for a computer room and a multimedia reading room was not higher but still high. Also, the reason why satisfaction for a multimedia reading room that provides various activities was high was that the complex of a library space is needed to provide users with various activities. Third, in case of space for programme function and meeting, satisfaction for the room of video information and the group study room was high. we can see that user satisfaction for the space got high basically when a user is satisfied with the proper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interaction Fourth, as a result of variance analysis of 3 spaces of Junior College Library and the services, the size of the space of service does not influence user satisfaction directly. Even the space is small, if it decorates variously like with a lighting for a user, a window seat to meet the nature of users and has specific factors such as space reservation using internet, user satisfaction is high. If we summarise the result of this study, to make user satisfaction for speace in a Junior College Library higher, not just we need to try to make it extend as a educational, a cultural place but we also need to accept the student's requirement that the space also needs to be exten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매체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읽기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edia Type)

  • 노경국;소병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21-240
    • /
    • 2023
  • 이 연구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원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매체별 읽기 성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읽기 자료의 완독 시간과 내용 이해도를 묻는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동일한 기사 내용을 3개 모둠으로 나누어 각각 매체 유형을 달리해 읽는 시간을 측정하고 평가 문항을 통해 매체에 따른 내용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 웹 페이지의 평균 완독 시간은 3분 28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3.99문제였으며, pdf 파일의 평균 완독 시간은 5분 23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4.35문제였다. 또한 인쇄자료의 평균 완독시간은 7분 14초이며 평균 평가 문항 정답 개수는 6.26문제로 나타났다. 실험에 참여한 학생 수는 144명으로 연구자의 실험 결과만으로 매체 유형에 따른 읽기 방식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