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Satisfactio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의 웹기반 전자책 이용에 관한 연구 (The Use of Web-based Electronic Book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 장혜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3-256
    • /
    • 2006
  • 대학생의 전자책 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A대학교 학생들을 표집하여 설문조사와 면접을 수행하였다. 466명의 응답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대학생들의 전자책과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편이며, 약 30%가 이용경험을 가지고 있고, 접근경로는 대학도서관사이트가 지배적이다. 이용자의 73%가 3권 이하의 전자책을 읽었으며, 이용 분야는 다양하나 문학과 장르문학에 차져 있고, 목적은 학술적 독서와 개인적 독서로 양분되어 있다. 부가기능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 수준은 미약하다. 이용자들의 만족도 또한 낮고, 50%이상이 중립적 견해를 보이고 있다. 이용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비이용요인은 주로 불편함과 관련지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이용자의 약 88%가 향후 이용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면접조사 결과를 보면, 적극적 이용자들은 전자책의 유용성을 인식하고, 화면독서에 친숙하며, 실용도서를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부가기능 인지도 및 활용수준 그리고 만족도 또한 낮다 분석 결과에 따라,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생산의 다양화, 교육, 서비스 평가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법원도서관 법마루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the Beopmaru Public Service in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 곽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3-295
    • /
    • 2023
  • 일반 국민, 법률전문가 등이 재판 관련 자료를 열람·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법격차를 줄이고 사법접근성을 높이는데 일조할 수 있는 것은 사법부 국립도서관인 법원도서관 법마루가 유일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법원도서관 법마루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파악하고 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는 5점 만점에 직원응대 4.62점, 시설관리 4.48점, 행사 및 강좌 등 문화프로그램 4.33점 등의 순이었으며, 장서구성 만족도가 3.97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는 법 전문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는 부분이 장서구성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장서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던 만큼 앞으로 법마루가 강화해야 할 서비스 역시 장서확충이 44%(114명)로 가장 높았으며, 향후 이용자층에 따른 균형 있는 장서 수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일반 국민과 법률전문가의 법원도서관 법마루 열람 공간 및 서비스 이원화, 법률 전문도서관으로서의 정체성 강화, 시스템 개선, 홍보 및 직원응대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문헌정보학계의 연구를 통해 법원도서관 법마루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법학전문도서관을 비롯한 법학도서관계 전반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용자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ublic Library Service Scape on Customer Loyalty)

  • 김영희;조동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9-36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scape, flow,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r adults who use public libraries for academic purposes in a changing public library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s of public library service-scape, immersion,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th existing literature, propos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is, and empirically verified them.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data for adults using public libraries for the purpose of reading books or studying. The collected data were check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resul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atiality, aesthetics, and amenity of service-sca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low. Second, spatiality and amenity of service-sca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ird,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Fourth, Flow and user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strategic direction to enhance the service competitiveness of public libraries by strengthening the service-scape.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교육의 효과성 연구 (The Effectiveness Study of Education Connected to School Library Followed by Free-semester System)

  • 김보람;홍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5-208
    • /
    • 2018
  •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교육을 통한 학교도서관 활성화 및 사서교사, 교과교사의 역할 제고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에서의 실제적인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 73명과 학생 112명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와 학생의 수업 빈도는 독서교육,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순이었다. 교사와 학생의 효과성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는 특히 전문성의 영역에서, 교사의 만족도는 진로교육(형태측면), 창의성(요소측면)에서 높았다. 학생은 특히 상호작용 부문에서 유의미한 효과성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교육에서 활용할 독서교육의 다양한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앞으로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의 확대 추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셋째, 효과성에 기여하는 각 요소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넷째, 교사들의 만족도 증가를 위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여러 전략적인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 운영평가 -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 점령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 Focusing on '1318 Bookworm Program')

  • 하은혜;장윤금;권나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1-200
    • /
    • 2011
  •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청소년의 독서흥미를 고취하기 위하여 전국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운영을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0까지 이루어진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점령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경험이 풍부한 학교도서관 사서들과의 표적집단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첫째, 사업성과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에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기획과정,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 중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가 성과만족도를 예측하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서술형 문항에서 프로그램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성을 위해 전문인력 충원 및 연구와 조직 확대의 필요성이 거론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 및 매뉴얼 개발과 보급 등이 제언되었다.

유아를 위한 증강현실 그림책에 대한 사용성 연구 (Usability of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for Young Children)

  • 현은자;최경;연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82-189
    • /
    • 2011
  • 본 연구는 유아용 증강현실 그림책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사용성 평가를 위해 유치원 5세 학급의 유아 17명에게 증강 그림책을 읽게 하고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 대한 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 증강현실 그림책 읽기에서 유아의 실행정도, 2)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보이는 유아의 반응, 3) 증강 현실 그림책 읽기에 대한 유아의 만족도 연구 결과, 대부분의 유아들은 증강현실 그림책 읽기에서 웹캠과 그림책의 각도와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동영상 이미지를 떠오르게 할 수 있었고, 그림책 읽는 과정에서 유아들은 놀라움이나 기쁨을 표현하기, 질문하기, 실망과 좌절감을 표현하는 등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을 보였다. 유아는 증강현실 그림책에 대한 흥미도와 난이도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재미있고 쉽다는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개발될 증강현실 인터페이스의 개발과 성인-유아의 증강 그림책 읽기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SATS: Structure-Aware Touch-Based Scrolling

  • Kim, Dohyung;Gweon, Gahgene;Lee, Geehyuk
    • ETRI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1104-1113
    • /
    • 2016
  • Non-linear document navigation refers to the process of repeatedly reading a document at different levels to provide an overview, including selective reading to search for useful information within a document under time constraints. Currently, this function is not supported well by small-screen tablets.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ncept of structure-aware touch-based scrolling (SATS), which allows structural document navigation using region-dependent touch gestures for non-sequential navigation within tablets or tablet-sized e-book readers. In SATS, the screen is divided into four vertical sections representing the different structural levels of a document, where dragging into the different sections allows navigating from the macro to micro levels. The implementation of a prototype is presented, as well as details of a comparative evaluation using typical non-sequential navigation tasks performed under time constraints. The results showed that SATS obtained better performance, higher user satisfaction, and a lower usability workload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tructural overview interface.

Korean heritage students and language literacy: A qualitative approach

  • Damron, Julie;Forsyth, Justin
    • 비교문화연구
    • /
    • 제20권
    • /
    • pp.29-66
    • /
    • 2010
  • This paper is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Korean heritage language learners (KHLLs) with literacy (reading and writing), particularly before they enter the college-level heritage language classroom. Previous research,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has addressed the overall language background of KHLLs, including oral and aural proficiency and writing and reading ability, as well as demographic information (such as when the student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language test scores. This study addresses KHLL experiences in the following six areas as they relate to student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ir own heritage language literacy: language proficiency, motivation for learning, academic preparedness, cultural connectedness, emotion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Fourteen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a convenience sample by responding to a 10-question survey. Trends in responses indicated that KHLLs entered the classroom with high integrational motivation and experienced great satisfaction with perceived progress in literacy, but students also expressed regret for having missed childhood learning experiences that would likely have resulted in higher proficiency. These experiences include informal and formal instruction in the home and formal instruction outside of the home.

수요자 관점의 결혼이민자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실태 분석: 서울시 거주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Actual Condition for Developing A Married Immigrant Families Support Program from the Consumer' Viewpoint: Focused on Seoul Residing Married Immigrant Women)

  • 김양희;안진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4호
    • /
    • pp.1-1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base line research, which is based on requestion of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for developing social adaptation and family enrichment program for those population who reside in Korea.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42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who reside in Seoul to research program participate satisfaction and requestion. Analyze the study result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Duncan-post test were utilized. As a result, overall satisfaction toward program that offered by organization was highly ranked. Visiting service showed high score of satisfaction but mentor service that strongly possess sacrifice showed lower score of satisfaction. Vocational and job-related skill improvement education presented less satisfied degree of satisfaction but cooking class, computer class, training education for native-speaking instructor present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the requisition of target population, who did not participate program, presented lower than the satisfaction, still present high demand of variety area of program. Among them, assist child nurturing and vocational and job- related skill improvement education showed high demand. It enable to predict that they are eager to get support toward parent role and self-realization. Third, when the difference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subjective judgement toward life adaptation in Korea and the satisfaction for program user and the requisition of non-user,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ed; especially, individuals who possess confident degree of computer skills and Korean(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o vocation and job-skill related improvement education. This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which is based on the study results, on developing a program to support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to satisfactory settlement in Korea life and to maintain healthy families.

대학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 및 분석 (Learner's Satisfaction Survey and Analysis in the University Cyber Education)

  • 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476-1481
    • /
    • 2010
  • 사이버 교육은 디지털 시대에 사회 전 분야에 걸쳐서 진행되고 있는 지식 축적 속도의 가속화에 따른 재교육과 평생교육의 수요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서 21세기 주요 교육체제로 정착될 전망이다. 그러나 상호 작용을 제대로 하기 위한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한 피드백의 지연, 읽기와 쓰기 위주의 수업환경으로 인한 특정학생에게 불리한 방식, 그리고 컴퓨터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어 관련 기술이 부족한 학생에게 불리한 점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학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와 함께 사이버교육이 급격하게 요구받고 있는 실정에서 사이버 교육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 대학 사이버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