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ading Effect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25초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 analysis on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 on reading comprehension)

  • 이효진;오희화;최경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447-45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법을 이용하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연구된 독해력 관련 연구 70편을 종합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평균 효과크기는 0.763으로 큰 편이었다. 둘째, 초등학교의 효과크기가 1.030으로 가장 큰 가운데, 학교 급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술지의 평균 효과크기가 1.250으로 학위논문의 평균 효과크기인 0.700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과 측정방법에 대해서는 읽기방법의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다섯째, 적용언어에 대해서는 한국어가 영어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미발표된 연구결과물을 포함시키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려는 시도는 나름대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한국전래동화를 통한 활동중심 독서지도가 아동의 읽기 태도 및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vities-Centered Reading based on Korean Fairy Tales on Children's Reading Attitude and Comprehension)

  • 양연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12
    • /
    • 2005
  • This research analyzed the effect of activity-centered reading band on Korean fairy tales on children's reading attitude and comprehension. The reading altitude of the experimental-group children exhibited more meaningful change in such subordinate areas as academic reading attitude. The academic reading attitude of the male experimental-group had higher improvement than that of the female experimental-group. In addition, the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of the experimental-group childre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group children. The reading program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were more meaningful in girl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boys in the grou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demonstrat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Korean fairy tales program for reading and an activity-centered reading program.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아를 위한 읽기중재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Intervention on At-Risk Children in First through Third Grade)

  • 김명순;박찬화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01-319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reading intervention on at-risk readers from first through third grade. The 34 children below the 20th percentile on an oral reading fluency test participated in the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for 15 weeks. They received small group instruction in one 40-minute session per week.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paired t-test and effect size for individual cases. Upon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at-risk first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print concept, word recognition, oral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at-risk second and third graders improved only in oral reading fluency. Most of children who received the intervention demonstrated a large effect in oral reading fluency.

  • PDF

유아의 그림책 홀로 읽기 활동이 읽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유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의 효과 (The Influence of Children's Independent Picture Book Reading on Reading Activity: The Effect of Mother-children Interaction)

  • 김영희;박지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19-628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whether children's independent picture book reading affects their reading activities and whether the mother-child interaction during this reading improves their reading activities.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and policy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hildren's reading 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192 children aged 4 and 5 in Seoul and Anseong, where a survey of their mothers as well as their nurse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Variables of interest were analyzed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irst, children's reading recognized by their mothers was bipolarized as "very high" or "very low". Second, children's reading ac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dependent reading, indicating that children active in independent reading were likely to develop their, reading ability. Third, in addition to independent reading, the mother-child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reading ability,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mother's role in developing the child's reading ability.

독서교육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 및 독서태도에 대한 영향 - M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and Reading Attitude: the Case of M High School Students)

  • 강선숙;오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5-253
    • /
    • 2016
  • 이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 보드게임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10차시로 구성된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독서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자아존중감 및 독서태도의 사전-사후 차이 분석을 통하여 독서교육과의 영향 관계를 입증하고, 독서교육 전 과정에 대한 평가 절차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드게임 기반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한 독서교육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학생들의 독서태도 역량과 독서 동기 강화에 도움이 되었고, 만족도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책의 독서효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종이책과의 비교를 통하여 - (An Experimental Study on Reading Effect of E-book)

  • 황금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7-62
    • /
    • 2006
  • 본 연구는 전자책의 독서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해 보이기 위하여 종이책과의 비교를 통해 실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 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실험방법은 각 학생들이 2권의 문학작품을 종이책, 전자책으로 내용을 달리하면서 읽고 난 후, 독해력에 대한 독서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효과 면에서 종이책과 전자책이 별 차이가 없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요인으로는 학생들이 전자책을 독서할 때는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집중해서 읽는데 반해, 종이책의 경우 장소를 옮겨 다니며 편하게 읽다보니 다소 집중력이 떨어진 것에 기인하며. 종이책보다 전자책 매체를 더 선호하는 경우 전자책에 대한 독서효과가 매우 높은 것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에서의 전자책서비스 도입 및 운영과 전자책을 통한 독서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응용될 것이다.

PISA 2009에서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 및 독서방법과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ibrary Use Factor on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s of PISA 2009)

  • 박주현;사공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69-191
    • /
    • 2014
  • 이 연구는 OECD PISA 2009 원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영향력과 책무성을 확인하고 공교육의 내실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PISA 2009에 참여한 우리나라 만 15세 4,989명의 설문자료와 읽기성취도 점수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도서관방문이 독서태도와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방문은 독서태도,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으며, 독서태도는 독서방법 및 읽기성취도와, 독서방법은 읽기성취도와 인과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집단을 적용한 결과, 일부 개별 경로에서 집단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Elderly Reading Education Activity in Local Child Care Center)

  • 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5-214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아동을 위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효과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N지역에 위치한 14개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독서도우미의 독서교육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노인독서도우미 활동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들과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독서수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교육에 참여한 후에 아동의 독서흥미가 향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노인독서도우미의 활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읽기 유창성 중재 효과 (Intervention Effect on Reading Fluency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윤효진;신가영;배소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151-159
    • /
    • 2014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ading intervention to enhance reading fluency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participants were 20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ho are in grades 1 to 3. To qualify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all children had to score below 30 % ile on the Receptive vocabulary Test of the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Test or the Word reading fluency of the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n=10) or control (n=10)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in th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program using the guided repeated reading and the corrective feedback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performed better on reading fluenc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fter participating in the intervention program. Specifically, guided repeated reading with corrective feedback strategies produc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generalization to unpracticed passages as well as practiced pass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uided repeated reading with corrective feedback is effective for enhancing reading fluency for children in Korea. Further study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language-specific reading intervention.

독서역할모델 및 독서유효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Role Model, Reading Effectivenes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

  • 정대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39-160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역할모델(부모, 교사, 친구)과 독서유효성(독서지속의지, 독서몰입, 독서만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국어성적, 내신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국어성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독서역할모델 중 아버지(1.9%)와 어머니(3.4%)였으며, 독서유효성 요인 중에는 독서지속의지(8%)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쳤다. 내신성적의 경우 독서역할모델 요인 중 어머니(3.4%)만 유일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독서유효성은 독서지속의지(10.4%), 독서몰입(4.0%), 독서만족(1.9%)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독서지속의지를 제외하고는 그 영향력이 미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