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ding Assessment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19초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 분석을 통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 방안 탐색 (A Study on Exploring Digit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rough Analysis of PISA 2018 Reading Literacy Assessment Framework)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35-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를 살펴보고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의 구성요인을 분석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 및 정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ISA의 독서 리터러시의 개념은 사회적 기술적 환경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둘째, PISA 독서 리터러시 개념과 평가틀에는 독서 전중후의 전 과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평가틀은 Big6 Skills와 같은 정보 리터러시 모형의 인지적 과정과 유사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였으나 차이점도 있었다. 넷째, 평가틀에는 디지털 독서가 반영되었다. PISA 2018 독서 리터러시 평가틀은 사서가 시민들의 독서와 정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 모형과 평가틀을 개발하고 시민들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독서토론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 in Reading Debate)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53-373
    • /
    • 2006
  • 본 연구는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를 명확히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도구와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토론수업에서 학습자에 대한 객관적인 수행평가를 실행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학교도서관 독서토론수업의 관점에서 독서토론과 평가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의 개념과 그 구성요소들을 고찰하였다. 독서능력과 토론능력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학교도서관의 독서토론수업 수행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기초로 하여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즉, 교육평가자 관점의 평가도구와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 PDF

독서 평가도구에 관한 연구 - 독자의 정서적 측면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Reading Assessment Tools from a Psychological Standpoint of Readers)

  • 최연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3-200
    • /
    • 2006
  • 현재 독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는 독서 관련 평가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소개와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여러가지 평가 영역 중에서도 독자를 중심으로 한 정서적 측면의 독서 평가는 학생들을 평생 독서가로 이끌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자의 정서적 측면에 기반한 독서 평가도구를 독서 태도, 독서 흥미, 독서 동기유발 그리고 독서에 대한 자아개념, 이 4가지로 나누어 문헌조사법을 사용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차후에 독서 평가도구 개발 시 참고할 사항을 밝혀놓았다. 정서적 측면의 독서 평가도구 개발 시에는 스스로를 독자로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항목이 가장 우선시되며, 독자 인근의 인간관계(교사, 학부모 그리고 친구)를 통한 평가 항목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적절한 항목의 설정뿐 아니라 평가도구 실시자를 위한 관리법과 해석 및 활용을 위한 지침서도 함께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델파이 조사법을 이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능력 평가 구성 요인 연구 (A Study of Using Delphi Survey on Constructive Factors of Korean Reading Ability Evaluation for Academic Purposes)

  • 장문정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149-17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Korean reading ability assessment category based on a reading comprehension theory, and to establish an evaluation framework for Korean reading ability after creating the evaluation factors corresponding to each category through expert Delphi survey. The three levels of reading comprehension that were constructed are the following: language knowledge, text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and comprehension of new ideas and appli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structs of Korean reading assessment reflected reading theory. This study has meaningful consequences which suggest verified constructs through Delphi surveys.

국제독서협회(IRA)의 독서교육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 Instruction Standards of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85-205
    • /
    • 2014
  • 이 연구는 국제독서협회에서 제시한 독서교육자 전문성 기준, 언어교육 기준, 읽기 쓰기 평가기준을 살펴보고, 이 기준이 우리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의 독서교육에 비추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하였다. 국제독서협회는 언어교육의 관점에서 독서교육을 접근하고 있는데, 이 협회는 독서교육자를 7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전문성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언어교육 기준은 독서를 포함한 언어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문서이며 독서교육을 계획, 전개, 실천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이다. 그리고 읽기 쓰기 평가기준은 언어평가의 목적과 방법을 규정함으로써 학생의 독서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준들이 우리 상황에서 지니는 의미는, 독서교육자 기준은 독서교육자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이들에게 책무성을 강화시키며, 양성과정을 정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언어교육 기준은 일관된 독서교육을 실천하고 구체적 교육방법을 구상하는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읽기 쓰기 평가기준은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독서교육을 실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Word Recogniti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AN Ability of the Korean Second-graders

  • Yoon, Hyo-Jin;Pae, So-Yeong;Ko, Do-Heung
    •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7-14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ding ability of Korean second-grad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and RAN (Rapid Automatized Naming) ability. A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battery was used. Children at the end of the Korean second-grade were still at the developmental stage of decoding skill and seemed to be at Chall's stage 1. Finding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y and phonological awareness and between reading ability and RAN abil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honological processing could be extended to syllable-based alphabetic languages.

  • PDF

두뇌타이밍 훈련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후향적 비교연구 (Effects of Brain-Timing Training on Reading Abilities: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 정미양;박지영;정효심;유연환;홍승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25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두뇌타이밍 능력이 낮은 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mome; IM)을 이용한 두뇌타이밍 훈련을 적용한 후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2021년에 아동발달연구소에서 IM 훈련을 시행한 아동 중 타이밍 능력이 자신의 연령 평균보다 낮은 아동 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 전-검사 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두뇌타이밍 훈련은 주당 2~3회기, 총 70회기 이상, 회기 당 40~50분으로 아동의 발달적 특성에 따라 적용되었다. 훈련 전후 두뇌타이밍의 변화는 IM의 전체형검사(Long Form Assessment; LFA), 읽기 능력은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Reading; BASA:R)로 측정하였다. 결과 : LFA의 두뇌타이밍 능력 평가결과 모든 아동의 전체 운동과제의 반응시간이 감소되어 두뇌타이밍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BASA:R의 읽기 검사와 빈칸채우기 검사의 원점수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두뇌타이밍 능력이 낮은 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두뇌타이밍 훈련의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Clinical Validation of a Deep Learning-Based Hybrid (Greulich-Pyle and Modified Tanner-Whitehouse) Method for Bone Age Assessment

  • Kyu-Chong Lee;Kee-Hyoung Lee;Chang Ho Kang;Kyung-Sik Ahn;Lindsey Yoojin Chung;Jae-Joon Lee;Suk Joo Hong;Baek Hyun Kim;Euddeum Sh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2호
    • /
    • pp.2017-2025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clinical efficacy of a hybrid Greulich-Pyle (GP) and modified Tanner-Whitehouse (TW)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del for bone age assessment. Materials and Methods: A deep learning-based model was trained on an open dataset of multiple ethnicities. A total of 102 hand radiographs (51 male and 51 femal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 10.95 ± 2.37 years) from a single institution were selected for external validation. Three human experts performed bone age assessments based on the GP atlas to develop a reference standard. Two study radiologists performed bone age assessments with and without AI model assistance in two separate sessions, for which the reading time was recorded. The performance of the AI software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between the AI-calculated bone age and the reference standard. The reading time was compared between reading with and without AI using a paired t test. Furthermore, th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study radiologists' bone age assessments was assess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reading with and without AI. Results: The bone ages assessed by the experts and the AI mod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11.39 ± 2.74 years and 11.35 ± 2.76 years, respectively, p = 0.31).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was 0.39 years (95% confidence interval, 0.33-0.45 years) between the automated AI assessment and the reference standard. The mean reading time of the two study radiologists was reduced from 54.29 to 35.37 seconds with AI model assistance (p < 0.001). The ICC of the two study radiologists slightly increased with AI model assistance (from 0.945 to 0.990). Conclusion: The proposed AI model was accurate for assessing bone age. Furthermore, this model appeared to enhance the clinical efficacy by reducing the reading time and improving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학교 독서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School Reading Instruction Policy)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9-23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교육당국이 주도하는 독서교육 정책의 현황을 점검하고 독서교육 정책을 둘러싼 논란과 비판의 실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교육 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독서교육 정책 및 독서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였다.

  • PDF

Korean EFL Learners' Reading Motivation and Their L2 Reading Behavior

  • Yang, Eun-Mi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4호
    • /
    • pp.217-235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ading motivation is related to their English (L2) reading behavior. The construct of the students' Korean (L1) and L2 reading motivation was investigated with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from 120 sophomore students.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major factors of motivation and determin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items in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6 factors were extracted: Intrinsic Motivation for English Reading, Extrinsic Motivation 1 (Immediate Goal Orientedness), Extrinsic Motivation 2 (Integrative Orientation), Importance of L1 Reading, Intrinsic Motivation toward L1 reading, and Importance of L2 Reading Skill.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assessment results on the L2 reading behavior (reading amount, time and speed) and motivation factors was measured by correlation coefficients. It wa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toward English Read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udents' reading amount and Intrinsic Motivation toward Korean Reading had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students' reading tim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Other 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tudents' reading behavior. In addition, the students' reading speed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reading amount as well, while reading time did not affect the speed g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