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Ginseng Extract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4초

추출 및 농축조건에 따른 인삼엑기스중 유리당 함량변화 (Effect of Extraction and Evaporating Conditions on the Free SuEar in Contents Ginseng Extract)

  • 김해중;조재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15-122
    • /
    • 1982
  •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raction and evaporating conditions on the free sugar in ginseng extracts. Raw ginseng roots were extracted with water or various concentration of water-ethanol solutions. Then the extracts were evaporated by boiling or vacuum evaporated at 50 $^{\circ}C$ and 70 $^{\circ}C$. The results are as follows Sucrose and maltose contents were 7.95% and 12.8% in water extracts and 19.96%, 0.34-0.93% in 90%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On the otherhand, glucose and fructose contents were not affected by the solvents. Evaporating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were rarely effected to the sugar contents.

  • PDF

Inhibitory Effects of Ginsenoside Rb1,Rg3, and Panax ginseng Head Butanol Fraction on Inflammatory Mediators from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Lee, Je-Hyuk;Jeong, Choon-Si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3호
    • /
    • pp.277-285
    • /
    • 2008
  • Panax ginseng C.A. Mayer (Araliaceae, P. ginseng) has been used for the enhancement of vascular and immune functions in Korea and Japan for a long time. Ginsenoside $Rb_1$ and $Rg_3$ isolated from P. ginseng head-part butanolic extract (PGHB) were investigated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Ginsenosides and PGHB did not affect the cell viability within $0\;-\;100\;{\mu}g/ml$ concentration to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Ginsenosides and PGHB inhibited partly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te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ginsenosides and PGHB showed partially chemical nitric oxide (NO) quenching (maximum 40%) in the cell-free system. Also, ginsenoside $Rb_1$ and $Rg_3$ inhibited markedly approximately 74 and 54%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mRNA transcription from LPS-induced RAW 264.7 cells. Taken together, the inhibitory effect of ginsenosides and PGHB on NO production did not occur as a result of cell viability, but was caused by both the chemical NO quenching and the regulation of iNOS. Additionally, the ginsenoside $Rb_1$ and PGHB inhibited prostaglandin $E_2$ ($PGE_2$) synthesi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showed approximately 70-98% inhibition at $100\;{\mu}g/ml$ concentration. And the treatment with ginsenosides and PGHB attenuated partially LPS-upregulated cyclooxygenase-2 (COX-2) gene transcription. Ginsenoside $Rg_3$ suppressed LPS-stimulated interleukin-6 (IL-6) level to the basal in RAW 264.7 cells. From these results, ginsenoside $Rb_1,\;Rg_3$, and PGHB may be useful for the relief and retardation of immunological inflammatory responses and its action may occur through the re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NO, $PGE_2$, and IL-6 production.

Anti-cancer Activities of Ginseng Extract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 Lee, Jong-Jin;Kwon, Ho-Kyun;Jung, In-Ho;Cho, Yong-Baik;Kim, Kyu-Joong;Kim, Jong-Lae
    • Myc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21-27
    • /
    • 2009
  • In the present study, the anti-cancer effects of ginseng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GFPL) extract were examined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assays. GFPL was produced by co-cultivating ginseng and Phellinus linteus together. Ginsenoside Rg3, Rh1 and Rh2 are important mediators of anti-angiogenesis and their levels in GFPL were enriched 24, 19 and 16 times, respectively, more than that of ginseng itself through the fermentation. GFPL exhibited distinct anti-cancer effects, including growth inhibition of the human lung carcinoma cell line A549, and promotion of immune activation by stimulat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Further evidence supporting anti-cancer effects of GFPL was its significant prolongment of the survival of B16F10 cancer cell-implanted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FPL may be a candidate for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through immune activation and anti-angiogenic effects by enriching Rg3, Rh1 and Rh2.

시호(柴胡)함유 생약제제(生藥製劑)중 인삼(人蔘) Sapogenin의 확인 및 $Ginsenoside-Rb_1$의 분리 정량 (Identification of Ginseng Sapogeni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insenoside-Rb_1$ from Crude Drug Preparation Containing Bupleuri Radix)

  • 최강주;고성룡;전병선;성현순
    • 생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5-179
    • /
    • 1989
  • From crude drug preparation(Soshiho-Tang) ginseng sapogenins were identified by TLC and $ginsenoside-Rb_1$ was determined quantitatively by HPLC. Panaxadiol, pandaxatriol, acid-hydrolysates of ginseng saponin, were identified by TLC with benzene/acetone(4 : 1, v/v). Rf values of which were measured as 0.26 and 0.14, respectively. The content of $ginsenoside-Rb_1$ was determined by HPLC on $Lichrosorb-NH_2$ column with $CH_3CN/H_2O/n-BuOH$(80 : 20 : 10, v/v). Its recovery rate in the extract granules, was as relatively low as $19.8{\pm}1.4%$ compared to the content in raw red ginseng.

  • PDF

추출조건(抽出條件)에 따른 인삼(人蔘)엑기스의 무기성분정량(無機成分定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pproach to the Extraction Method on Minerals of Ginseng Extract)

  • 조한옥;이중화;조성환;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5-106
    • /
    • 1976
  • 인삼중에는 약리학적면에서 뿐 아니라 생화학적 및 영양학적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무기질 및 미량원소가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생체를 구성하거나 각 조직의 기능을 촉진시키는 생물학적 활성물질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인삼 무기질의 효율적 이용을 목적으로 추출조건에 따른 엑기스의 수량과 추출된 인삼 엑기스의 무기질 및 미량원소를 미색법 및 원자흡광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장 효율적인 추출방법은 인삼원료량의 $10{\sim}20$배 되는 $60{\sim}80%$ ethanol로 60시간 이상 연속추출하는 것으로서 그 수량은 60% ethanol의 경우가 16.5%, 80%의 경우가 13.5%로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2. 6년근 수삼과 백삼및 미삼의 수분함량은 각각 66.37%, 12.61%, 12.20%였으며 회분은 1.56%, 3.52%, 6.04%였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20.75%, 61.00%, 45.00%였으며 조단백질은 6.30%, 13.69%, 12.69%였고 순단백질은 2.26%, 5.94%, 5.76%였으며 조지방은 1.11%, 2.02%, 2.50%였고 조섬유는 2.41%, 8.74%, 8.87%였다. 3. 무기질 및 미량원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함량은 미삼, 백삼, 수삼이 각각 1.318%, 1.362%, 0.713%였고 인삼엑기스의 그것은 미삼, 백삼, 수삼이 각각 0.038%, 0.063%, 0.036%로서 비교적 낮은추출율을 보이고 있다. 2) Ca함량은 미삼, 백삼, 수삼이 각각 0.147%, .238%, 0.126%이고 그 엑기스는 미삼, 백삼, 수삼이 0.023%, 0.011%, 0.016%여서 미삼은 15.6%이상이 ethanol로 추출된데 비해 백삼은 4.6%로 추출율이 극히 낮았다. 3) CI함량은 미삼 0.11%, 백삼 0.07%, 수삼 0.09%로 시료간에는 뚜렷한 함량차가 없었으며 미삼은 그 함량의 36.4%가 백삼은 67.1%가 ethanol로 추출된데 반하여 수삼은 84.4%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다. 4) Fe함량은 미삼이 125.0ppm으로 가장 많고 백삼은 32.5ppm, 수삼은 20.0ppm이었는데 그 추출수율은 극히 낮아서 미삼은 1.33%, 백삼은 0.83%, 수삼은 1.08%에 불과하였다. 5) Cu, Zn 및 Mn은 미량원소로서 이중 Mn은 미삼 62.5ppm, 백삼 25.0ppm, 수삼 5.0ppm으로 비교적 많은 양이 함유되었으나 ethanol로 추출한 엑기스에서는 정량되지 않았으며 Cu는 미삼, 백삼, 수삼이 각각 15.0ppm, 20.0ppm, 5.0ppm이고 인삼 엑기스에는 7.5ppm, 6.5ppm, 4.5ppm으로서 50%, 32.5%, 90%의 추출율을 보였다. Zn은 다른 작물체에 비하여 많은 양이 함유되었고 미삼이 47.5ppm, 백삼이 27.5ppm, 수삼이 5.5ppm이고 그 인삼 엑기스에는 각각 4.5ppm, 1.25ppm, 15.0ppm의 Zn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Lactobacillus brevis를 활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산양삼의 발효물에 대한 특성 연구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 and Mountain Ginseng Fermented by Lactobacillus Brevis)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69-3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L. brevis SM61을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산양삼 분말을 L. brevis SM61을 이용하여 48시간동안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L. brevis SM61을 사용한 발효물에 대해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L. brevis SM61을 사용한 발효물에 대해 발효 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발효 초기에는 약 $1.49{\mu}g/mL$ 비해 48시간 이후 약 $5.09{\mu}g/m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항산화능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이 약 60%였으나, L. brevis SM61을 이용한 발효물이 약 98%로 높아졌다. 항균 활성의 경우 L. brevis SM61을 이용한 발효물에서만 항균 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신규 L. brevis SM61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발효물은 식용 곤충의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해당 유산균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용 곤충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조건(抽出條件)이 홍삼(紅蔘)엑기스의 무기성분(無機成分)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Mineral Conten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 성현순;조시형;박명한;양차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7-390
    • /
    • 1985
  • 홍미삼엑기스를 제조할 때 추출용매와 그 농도 및 추출온도와 추출시간 등의 추출조건이 홍삼엑기스의 조회분 함량과 무기성분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무기성분의 용출량과 이행율은 추출용매에탄올의 농도가 증가 될수록 낮아 졌으며 특히 70% 이상 농도에서 현저하였다. 물 추출구(區)의 경우 용출량은 K의 1.55%로 가장 높았고 Cu가 11ppm으로 가장 낮았으며 원료함량대비로는 Ca의 91.41% 용출이행으로 가장 높았고 Mg이 30.14%로 가장 낮았다. 추출온도 상승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소량씩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초기용출이행이 커 $1{\sim}3$회 추출에 80%이상이 용출되었다. 조회분의 경우도 같은 경향이었고 몰 추출구(區)의 경우 3회 추출에 92.38%이상의 용출되어 70% 에탄올추출구(區)에 비하여 훨씬 높았다.

  • PDF

화장품소재로서의 인삼복합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 검증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ginseng complex as a cosmetic material)

  • 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35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인삼복합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인삼복합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는 인삼(A), 상황(B), 리기다소나무(C)를 각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A)1 : (B)1 : (C)0.5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 cells)내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및 멜라닌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71.2%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실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인삼복합물의 농도 $50{\mu}g/mL$에서 36.8%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결과에서 농도 $50{\mu}g/mL$에서 47.8%의 감소를 나타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인삼복합물의 우수한 항염증,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uppression of Inflammation, Osteoclastogenesis and Bone Loss by PZRAS Extract

  • Li, Liang;Park, Young-Ran;Shrestha, Saroj Kumar;Cho, Hyoung-Kwon;Soh, Yunj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0호
    • /
    • pp.1543-1551
    • /
    • 2020
  • Panax ginseng has a wide range of activities including a neuroprotective effect, skin protective effects, enhanced DNA repairing, anti-diabetic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vascular 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sought to discover the inhibitory effects of a mixture of natural products containing Panax ginseng, Ziziphus jujube, Rubi fructus, Artemisiae asiaticae and Scutellaria baicalensis (PZRAS) on osteoclastogenesis and bone remodeling, as neither the effects of a mixture containing Panax ginseng extract, nor its molecular mechanism on bone inflammation, have been clarified yet. PZRAS upregulated the levels of catalase (CAT),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reductase (GSH-R)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reduced malondialdehyde (MDA) in LPS-treated RAW264.7 cells. Moreover, treatment with PZRAS decreased the production of IL-1β and TNF-α. PZRAS also inhibi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rough inhibiting osteoclastspecific genes like MMP-2, 9, cathepsin K, and TRAP in RANKL-treated RAW264.7 cells. Additionally, PZRAS has inhibitory functions on the RANKL-stimulated activation of ERK and JNK, which lead to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NFATc1 and c-Fos. In an in vivo study, bone resorption induced by LPS was recovered by treatment with PZRAS in bone volume per tissue volume (BV/TV) compared to control. Furthermore, the ratio of eroded bone surface of femu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LPS-treated mice compared to vehicle group, but this ratio was significantly reversed in PZRAS-treated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ZRAS could prevent or treat disorders with abnormal bone loss.

산양삼(Korean Panax ginseng)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PS로 염증이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 (Antioxidant and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Panax ginseng Extract on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 김예진;손대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71-1377
    • /
    • 2012
  • 산양삼 55%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매개 물질의 억제능력을 측정하여 항염증 효과를 살펴보았다. 폴리페놀 함량, DPPH, ABTS sytem 및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높은 폴리페놀 함량(357.45 mg/100 g)이 확인되었고,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KPGE는 농도 의존적으로 free radical을 소거하였으며, 대조군인 BHT와 유사한 소거활성이 확인되어 KPGE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된 최고 농도(1,000 ${\mu}g/mL$)에서 DPPH(80%)와 ABTS(86%)는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은 1, 10, 100 ${\mu}g/mL$ 농도에서 22%의 활성이 확인되었고, 500, 1000 ${\mu}g/mL$ 농도에서 33%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KPGE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NO, $PGE_2$ 및 전염증성 cytokine(TNF-${\alpha}$, IL-$1{\beta}$, IL-6)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PGE_2$ 생성 및 전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산양삼 55% 에탄올 추출물 KPGE는 높은 항산화 활성과 염증매개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