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0.5

검색결과 2,200건 처리시간 0.029초

Bacillus acidocaldarius가 생산하는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 Produced by Bacillus acidocaldarius)

  • 이건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6-262
    • /
    • 1993
  • Nine novel cyclodextrin glycosytransferase-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in a low acidic pH (3-4) medium at high temperature (45-60C). The isolated acidophilic bacteria were identified as Bacillus acidocaldarius. Highest yield of enzyme was obtained by using the following medium: 4% raw potato, 1% peptone, 0.1% yeast extract, 0.02% (NH4)2SO4, 0.05% MgSO4, 0.02% CaCl2, 0.3% KH2PO4. The crude enzyme showed a very broad pH-activity curve and had two optium pH ranges at 30 and 5.0-6.0. The crude enzyme was most active at 90C.

  • PDF

Comparison of Dietary Fiber and Free Sugar Content Between Raw and Cooked Cereal Grains

  • Lee, Rheeno;Kim, Yong-Suk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2-338
    • /
    • 2022
  • 곡류는 대한민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주요 식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여러 형태로 섭취되고 있지만 밥 형태로 익혀 먹는 방법이 가장 흔히 알려져 있다. 쌀과 밥 형태의 국내산 현미, 백미, 보리와 귀리의 식이섬유와 유리당 함량을 분석하고 이들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해당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식이섬유 함유량은 보리밥(11.62±1.26 에서 2.96±0.90 g/100 g)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귀리 (8.1±0.34 에서 8.1±0.32 g/100 g)는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정로도 차이가 없었다. 이는 귀리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2.1 g/100 g 정도 감소하였지만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2.2 g/100 g 정도 증가하여 총 식이섬유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와 백미에서는 표준당 6종류 중 sucrose만 검출되었으며 현미밥의 sucrose 함량이 약 0.6 g/100 g 감소하였고, 백미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ructose, sucrose와 raffinose가 보리 (0.09, 0.58, 0.22 g/100 g)와 귀리 (0.08, 0.83, 0.19 g/100 g)에서 검출되었으며, 추가로 보리에서는 maltose (0.09 g/100 g)도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후에 모든 곡물에서 유리당 함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곡류를 조리할 시 식이섬유와 유리당의 함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곡류의 조리에 따른 영양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일상 식단에 식이섬유 섭취량을 늘리고 싶거나 당분 조절이 필요한 소비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겨진다.

국내 도석 광물의 물리화학적 물성 및 도자기 원료로서 소결 특성 평가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intering behavior of pottery stone as a raw material in porcelain products)

  • 김종영;김응수;황광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92-202
    • /
    • 2019
  • 국내에서 생산되는 태백도석, 해남도석, 압해도석, 행남도석을 수집한 후, 정제되지 않은 원료는 산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도자기용 소지로 제조한 후, 산화 및 환원 소성하여 소성체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정제되지 않은 태백, 압해도석의 경우, 산처리 공정을 통하여 철분 함량을 1.0 % 이하로 감소시켰다. 또한, 산처리 전 도석의 입도는 mean size $8{\sim}18{\mu}m$으로 정제된 도석의 $5.7{\sim}10{\mu}m$에 비교하여 입도가 크고 굵은 입자가 많아 넓은 입도분포를 가졌다. X선 회절법을 이용한 결정상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도석은 소성 전에는 석영(Quartz)을 주상(main phase)로 하고 납석(Pyrophyllite)를 포함하는 결정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해남도석의 경우에는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결정상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성체의 흡수율은 태백A/B/C~압해A/B < 태백특A < 행남 < 해남 순으로 나타났으며 환원 소성한 경우가 더 낮은 흡수율을 보였다. 이러한 흡수율 경향은 도석 광물에 포함된 장석(융제)의 함량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소성체들의 색상을 비교하면 산처리 공정후, 정제원료(태백특A, 해남, 행남)가 산처리한 비정제 원료(태백A/B/C, 압해 A/B)에 비하여 백색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소성체의 비교에서 정제원료의 백색도의 인자인 L* 값이 95~97 %로 비정제 원료(산처리 공정후)의 82~96 %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비정제 원료를 산처리하여 철분을 제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철분 함량(0.41~1.91 %)이 정제원료의 철분함량(0.11~0.58 %) 보다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페놀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ed Ginseng Prepared b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rocess)

  • 정경희;홍희도;조장원;이민영;최웅규;김영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27-8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온고압 처리를 통한 홍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페놀산 성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온고압 처리 홍삼의 총 페놀 함량은 14.76 mg/g으로 기존의 수삼 3.59 mg/g과 홍삼 3.93 mg/g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은 농도 $1{\sim}100mg/m{\ell}$ 농도에서 고온고압 처리 홍삼 4.8~78.4%, 수삼 1.0~47.4%, 홍삼 1.8~56.5%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고온고압 처리 홍삼 8.9~99.8%, 수삼 3.4~96%, 홍삼 1.2~96.5%를 보였다. 신규 홍삼에서는 maltol, p-hydroxybenzoic acid, caffeic acid, vanillic acid, syringic acid, cinnam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등의 페놀산 성분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페놀산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mg/m{\ell}$의 농도에서 고온고압 처리 홍삼 81.5%로 수삼 16.6%와 홍삼 32.9%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내 시판 경옥고 제품의 품질 특성 및 항염증 활성 (Qualitie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Kyungokgos Sold in Local Markets)

  • 이가순;김관후;김현호;성봉재;김선익;한승호;강은주;유영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35-341
    • /
    • 2013
  • 시판 경옥고 제품의 품질 특성과 항염증 활성에 대한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10종에 대한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18.62~49.78%), 탄수화물(47.95~77.08%), 단백질(0.89~3.58%), 지질(0.16~1.14%) 및 회분(0.20~1.21%)이었고, 진세노사이드는 홍삼특유 사포닌인 Rg3, Rh1, Rh2 및 F1 등의 사포닌이 검출되어 총사포닌 함량은 0.24~0.76 mg/g이었으며, 생지황의 지표물질인 catalpol의 함량은 0.12~1.10 mg/g이었다. 유리당 조성 및 함량은 glucose가 11.00~22.38%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어서 fructose, sorbitol, maltose, 3당류 그리고 sucrose 순으로 검출되었고 총함량은 29.09~41.34%이었다. 색도는 백색도는 26.49~73.87, 적색도는 $30{\pm}10$, 황색도는 80~90의 범위에 있었다. 경옥고 제품의 물성은 점도특성으로 볼 때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 회전속도로 반복적으로 작동시킬 경우 비례적으로 점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졌으며, 본 시험에 이용된 경옥고 제품의 물성은 크게 3가지 구분으로 grouping 되었는데 정적인 상태에서 고체상을 가지는 제품은 3, 5 및 10번이었고, 제품 2, 6 및 4번은 4회 반복 시까지는 일정값으로 비례적으로 상승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일정한 값을 나타냈고, 7 및 8번은 한번 회전시킨 이후부터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주는 유동적인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은 것일수록 유동성이 큰 물성을 보여주었다. 시판 경옥고 제품의 열수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RAW 264.7 대식세포에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제품마다 약간씩 차이가 남을 볼 수 있었고, 제품 중 1, 2, 4, 5, 6, 7, 8번 제품이 세포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8번 제품은 가장 안전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LPS를 대식세포에 처리하기 전에 각 경옥고 제품의 추출물을 전처리하여 항염증 활성을 조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세포독성이 낮으면서 대식세포로부터의 염증 매개인자의 분비를 억제하는 항염증 활성은 1번과 7번 제품이 가장 우수하며, 2번 제품도 비교적 높은 안전성과 염증반응 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황련해독탕 및 발효황련해독탕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wangnyeonhaedok-tang and Fermented Hwangnyeonhaedok-tang)

  • 양현주;주현아;백상철;박진수;홍석훈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
    • /
    • 2011
  • Objective : Recently interest of fermented herb medicine has increased in Oriental medicine. Herb medicine fermented in a proper condition resultingly has better or new virtue by microb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al decoction and fermented herbal decoction in Hwangnyeonhaedok-tang (Huanglian fiedu-tang; HHT). Methods : The effects of HHT and FHHT on anti-inflammation were measured by production of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s including TNF-${\alpha}$ and IL-1${\beta}$, IL-6 in LPS induced RAW 264.7 cells. Results : 1. Cell viability in three doses of HHT extract (0.01, 0.05 and 0.10 mg/ml) and two doses of FHHT extract (0.01, 0.05 mg/ml) was more than 70% and 80% each. 2. In RAW 264.7 cells, LPS displayed significant stimula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NO. However, both HHT, FHHT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NO. 3. Pre-treatment by HHT in a various concentrations (0.01, 0.05, 0.10, 0.50mg/ml) reduc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TNF-${\alpha}$, IL-1${\beta}$, IL-1${\beta}$ mRNA, IL-6 mRNA. More than 0.05mg/ml concentrations of HHT reduced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alpha}$, IL-1${\beta}$ level of mouse serum reduced in a various dose(0.1, 0.5, 1.0g/kg). 4. Pre-treatment by FHHT in a various concentrations (0.01, 0.05, 0.10, 0.50mg/ml) reduc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TNF-${\alpha}$. More than 0.05mg/ml concentrations of FHHT reduced the expression of TNF-${\alpha}$ mRNA. 0.1, 0.50mg/ml concentrations of FHHT reduced the production of IL-6. And IL-1${\beta}$ level of mouse serum reduced in a various dose(0.1, 0.5, 1.0g/kg).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HHT and FHHT could have anti-inflammatory capacity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NO and cytokines in vitro. But HHT has more strong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that of FHHT in broad outlines.

Inhibitory Effect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Cho, Jae-Youl;Park, Ji-Soo;Kim, Pyung-Su;Chae, Sook-Hee;Yoo, Eun-Sook;Baik, Kyong-Up;Lee, Jong-Soo;Park, Myung-H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12-19
    • /
    • 1999
  • Eleven out of 118 herbal medicin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prescriptions for inflammatory diseases exhibited more than 50% of inhibition on $TNF-{\alpha}$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by their total ethanol extracts with 0.1 mg/ml as a final concentration. The active 11 total extracts were prepared from Angelica koreana, Coptis japonica, Cynanchum paniculatum, Magnolia frgesii, Magnolia officinalis, Panax ginseng, Patrinia scabiosaefolia, Pterocarpus santalius, Rhapontica uniflora, Saussurea lappa. Of them, Coptis japonica, Magnolia fargesii and Saussurea lappa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NF-{\alpha}$ production in vivo. These total extracts were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Among the solvent-fractionated extracts with 0.05 mg/ml as a final concentration, inhibitory effects of Angelica koreana, Magnolia fargesii, Magnolia officinalis, Pterocarpus santalinus, Rhapontica uniflora and Saussurea lappa markedly showed in one or two solvent fractions suggesting that the principles may be concentrated by subfractionation as the main compounds.

  • PDF

국내 무연탄과 미분을 성형한 무연탄의 순환유동층 연소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Korean Anthracite and Fabricated Anthracite Fines)

  • 선도원;배달희;오창섭;김헌창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53-558
    • /
    • 2010
  • 순환유동층에서 나타나는 국내 무연탄의 낮은 연소성을 극복하고 비산재로 배출되는 미연분의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분탄과 비산회를 혼합하여 성형한 성형탄과 무연탄의 혼소를 0.1 MW급 순환유동층에서 수행하였다. 비교 시험에서 원탄 연소는 다량의 미분의 비산과 연소로 상부에서의 과열을 일으켰으나 조립탄 연소의 경우 미분을 제거하였으므로 일정한 온도에서 연소되었고 운전이 가장 안정적이었다. 조립탄과 원탄이 혼합된 석탄은 다소 운전이 불안하였으나 원탄만을 연소시킬 때보다는 안정적 연소가 가능하였다. 조립탄에 성형탄을 혼합한 경우 조립탄 연소의 경우와 같이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상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성형탄 혼소가 국내 무연탄의 연소성 개선에 도움이 됨을 보여 주었다.

우리나라 지상중력자료의 일관된 전처리를 통한 프리에어이상값 (Free-air Anomaly from a Consistent Preprocessing of Land Gravity Data in South Korea)

  • 이지선;이보미;권재현;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9-386
    • /
    • 2008
  • 정확한 지오이드 결정을 위해서는 중력원시자료로부터 통일된 전처리를 수행하여 일관된 품질의 중력자료를 확보하여야 하며 또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보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중력원시자료와 GPS 측량을 통한 정밀한 관측위치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부산대학교의 지상중력원시자료를 통합하고, 일관성 있는 품질검증을 수행하여 정밀 지오이드 구축의 기본 자료인 프리에어이상 값을 최종 결과물로 산출하였다. 전처리 과정에서 기계값 환산, 기계고 보정, 조석보정 등을 수행하고, 이상치 검증을 작업별로 처리하였다. 이후, 모든 자료를 이용한 교차점조정계산을 수행하여 정밀도 0.488mGal의 프리에어이상값이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중력자료는5cm급 정밀지오이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먹이원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항산화활성 (Variations in antioxidant activity in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depending on the feeding source)

  • 김혜수;박현영;권현숙;이상호;하준;이상원;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1-2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원료로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이용 가능성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사료자원으로써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57.02±1.73 mg GAE/g과 75.33±0.43 mg GAE/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4.6±0.28 mg/g과 25.4±0.75 mg/g이었다. DPPH에 의한 라디칼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참나무톱밥을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에 비해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32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두 시료 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농도별 환원력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환원력은 증가하였으나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ORAC 지수는 각각 66.55±0.99 uM TE/g과 76.32±0.48 uM TE/g로 참나무톱밥을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에 비해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ORAC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각각 0, 2, 4, 8, 16, 32, 64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RAW 264.7 세포는 9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므로 참나무톱밥과 큰느타리버섯수확후배지를 각각 식이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