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wangnyeonhaedok-tang and Fermented Hwangnyeonhaedok-tang

황련해독탕 및 발효황련해독탕의 항염증 효과

  • 양현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
  • 주현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
  • 백상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
  • 박진수 (원광대학교부속 전주한방병원 침구과) ;
  • 홍석훈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 Received : 2011.06.10
  • Accepted : 2011.08.10
  • Published : 2011.08.25

Abstract

Objective : Recently interest of fermented herb medicine has increased in Oriental medicine. Herb medicine fermented in a proper condition resultingly has better or new virtue by microb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al decoction and fermented herbal decoction in Hwangnyeonhaedok-tang (Huanglian fiedu-tang; HHT). Methods : The effects of HHT and FHHT on anti-inflammation were measured by production of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s including TNF-${\alpha}$ and IL-1${\beta}$, IL-6 in LPS induced RAW 264.7 cells. Results : 1. Cell viability in three doses of HHT extract (0.01, 0.05 and 0.10 mg/ml) and two doses of FHHT extract (0.01, 0.05 mg/ml) was more than 70% and 80% each. 2. In RAW 264.7 cells, LPS displayed significant stimula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NO. However, both HHT, FHHT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NO. 3. Pre-treatment by HHT in a various concentrations (0.01, 0.05, 0.10, 0.50mg/ml) reduc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TNF-${\alpha}$, IL-1${\beta}$, IL-1${\beta}$ mRNA, IL-6 mRNA. More than 0.05mg/ml concentrations of HHT reduced the production of IL-6. And TNF-${\alpha}$, IL-1${\beta}$ level of mouse serum reduced in a various dose(0.1, 0.5, 1.0g/kg). 4. Pre-treatment by FHHT in a various concentrations (0.01, 0.05, 0.10, 0.50mg/ml) reduc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TNF-${\alpha}$. More than 0.05mg/ml concentrations of FHHT reduced the expression of TNF-${\alpha}$ mRNA. 0.1, 0.50mg/ml concentrations of FHHT reduced the production of IL-6. And IL-1${\beta}$ level of mouse serum reduced in a various dose(0.1, 0.5, 1.0g/kg).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HHT and FHHT could have anti-inflammatory capacity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NO and cytokines in vitro. But HHT has more strong anti-inflammatory effects than that of FHHT in broad outlines.

Keywords

References

  1. 허윤행, 송리라, 김재근, 강병태, 박인숙, 이응수. 식품미생물학. 경기도:지구문화사. 2004:297.
  2. 김기영, 송호준. 한약포제학. 서울:신일상사. 2002:547, 553-5.
  3. 김용미. 발효한약의 연구동향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4. 정동원. 人蔘, 紅蔘 및 발효紅蔘이 정상인의 뇌혈류 평균혈압 맥박수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6.
  5. 제지혜. 발효 홍삼의 항당뇨 및 산화 스트레스 개선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6. 박경호. 白芷와 발효白芷의 성분 및 항염활성비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7.
  7. 김동현, 한상범, 박주석, 한명주. 녹용발효와 생리활성. 생약학회지. 1994;98(9):25-6.
  8. 배명숙. 울금(Curcuma longa L.) 발효액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8.
  9. 김철희, 권민철, 김효성, 안주희, 최근표, 최영범, 고정림, 이현용. 오미자의 전통발효에 의한 면역활성 증진. 韓國藥用作物學會誌. 2007;15 (3):162-9.
  10. 윤철상. 陳皮의 효모 발효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11. 서영국. 어성초즙 발효제품의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활성.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5.
  12. 김난영. 물추출 발효 대황과 에탄올추출 발효대황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비교.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10.
  13. 이상봉. 발효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의 생리활 성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14. 강동희. Lactobacillus 균주로 발효시킨 한약의 기능성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15. 정현철. 미생물 발효처리 방법에 따른 가미온청 음의 항염증 효능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16. 葛洪. 肘後備急方. 上海:人民衛生出版社. 1996: 34-3.
  17. 방제학교수. 방제학. 서울:영림사. 1999:180.
  18. 국윤범.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자발적(自發的) 고혈압(高血壓) 백서(白鼠)의 혈압(血壓) 신장(腎臟) 기능(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2;10(1):113-29.
  19. 金承模. 黃蓮解毒湯이 斑猫의 독성에 미치는 영향. 경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
  20. 공민정, 하니나, 이하영, 김용태, 노승주, 김호철.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과 및 가미방의 인지기능회복에 대한 연구. 大韓本草學會誌. 2004;19 (4):161-8.
  21. 정재은. 黃連解毒湯이 저산소증에 의한 培養心筋細胞枯死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22. 성현경. 黃連解毒湯이 數種의 人間 癌細胞 增殖에 미치는 影響.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0.
  23. 홍성원, 김종우, 김은주, 김현주, 김현택, 황의완.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이 우울증(憂鬱症) 모형동물(模型動物)의 수중미로학습(水中迷路學習)과 뇌(腦)의 Tyrosine Hydroxylase 발현(發顯)수준(水準)에 미치는 효과(效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1):27-44.
  24. 차재영. 실험적 중성지질 축적 HepG2세포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약리적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3;32(4):586-90.
  25. 이정현. 接觸性 皮膚炎에서 黃連, 黃蓮解毒湯,金銀花가 림프구 活性에 미치는 影響.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0.
  26. Choi Jong-Min, Kim Hee-Taek. 사람 기관지상피 A549 세포에서 TNF-와 IL-4 자극 TARC,eotaxin, RANTES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20(6):1649-53.
  27. 안종환. 황련해독탕이 DSS로 유발된 흰쥐의 궤양성 대장염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6.
  28. 김보애. 황련해독탕이 NC/Nga Mice에서 유발된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8;23(2):59-65.
  29. 박수현. 黃連解毒湯과 乾薑附子湯이 Lipopolysaccharide의 뇌실 주입으로 유발된 생쥐의 혈중 IL-6와 TNF-a 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30. 김대희. 黃連解毒湯 물추출물의 항염증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9.
  31. 김호철. 한약리학. 서울:집문당. 2001:130-2, 134-5, 138-9.
  32. 이중근. 황금의 진통 및 항염증효과에 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8.
  33. 윤광로. 황련의 항염증효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34. 장종화. 黃柏 물 추출물의 항염효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35. 고광묵. 치자 엑스의 가수분해에 의한 피부투과 및 항염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2.
  36. 박영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rocin,a Major Component of Chunghyul-dan,and Its Metabolite Crocetin in Rat Brain Microglial Cells.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37. 권종훈. 梔子抽出物이 DNCB로 誘導된 생쥐의 Allergy性 接觸皮膚炎에 미치는 影響.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8.
  38. Kim, Hyun-Sung Kim, Jin-Yong Park, Myeong-Soo Zheng, Hua Ji, Geun-Eog. Cloning and Expression of $\beta$-Glucuronidase from Lactobacillus brevis in E. coli and Application in Bioconversion of Baicalin and Wogonoside.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09;19(12):1650-5. https://doi.org/10.4014/jmb.0904.04053
  39. Murphy MP. Nitric oxide and cell death. Biochim Biophys Acta. 1999;1411(2-3):401-14. https://doi.org/10.1016/S0005-2728(99)00029-8
  40. Kobayashi Y. The regulatory role of nitric oxide in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during the induction and resolution of inflammation. J Leukoc Biol.. 2010. (Epub ahead of print).
  41. Abul K. Abas. 세포분자면역학. 서울:범문사. 2004: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