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dom Sampling

검색결과 1,330건 처리시간 0.034초

SPATIAL AND TEMPORAL INFLUENCES ON SOIL MOISTURE ESTIMATION

  • Kim, Gwang-seob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31-44
    • /
    • 2002
  • The effect of diurnal cycle, intermittent visit of observation satellite, sensor installation, partial coverage of remote sensing, heterogeneity of soil properties and precipitation to the soil moisture estimation error were analyzed to present the global sampling strategy of soil moisture. Three models, the theoretical soil moisture model, WGR model proposed Waymire of at. (1984) to generate rainfall, and Turning Band Method to generate two dimensional soil porosity, active soil depth and loss coefficient field were used to construct sufficient two-dimensional soil moisture data based on different scenarios. The sampling error is dominated by sampling interval and design scheme. The effect of heterogeneity of soil properties and rainfall to sampling error is smaller than that of temporal gap and spatial gap. Selecting a small sampling interval can dramatically reduce the sampling error generated by other factors such as heterogeneity of rainfall, soil properties, topography, and climatic conditions. If the annual mean of coverage portion is about 90%, the effect of partial coverage to sampling error can be disregarded.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fields is very important in the sampling error. The smaller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the field (small soil porosity and thin active soil depth), the greater the sampling err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ampling error is very sensitive to water retention capacity. Block random installation gets more accurate data than random installation of soil moisture gages. The Walnut Gulch soil moisture data show that the diurnal variation of soil moisture causes sampling error between 1 and 4 % in daily estimation.

  • PDF

THE AVERAGING VALUE OF A SAMPLING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ON THE CRITICAL LINE USING POISSON DISTRIBUTION

  • Jo, Sihu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287-293
    • /
    • 2018
  • We investigate the averaging value of a random sampling ${\zeta}(1/2+iX_t)$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on the critical line. Our result is that if $X_t$ is an increasing random sampling with Poisson distribution, then $${\mathbb{E}}{\zeta}(1/2+iX_t)=O({\sqrt{\;log\;t}}$$, for all sufficiently large t in ${\mathbb{R}}$.

계통표집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박진우;김영원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7-168
    • /
    • 2000
  • 본 논문은 계통표집법의 장점 중 거의 주목되지 못하고 있는 한 가지 장점을 다룬다. 특정한 확률표집법에 의해 표본이 추출되었을 때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표집법을 평가할 때 모집단을 잘 대표하지 못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표본이 추출될 가능성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모의실험을 통해 모집단이 순서모집단에 가까울수록 계통표집법은 무작위표집법에 비해 바람직하지 못한 표본을 추출할 확률을 적게 하는 표집법이라는 사실을 보인다.

  • PDF

층화추출과 계통추출을 이용한 효율적인 보조정보 사용 (Efficient Use of Auxiliary Information through the Stratified Sampling and Systematic Sampling Design)

  • 김관수;박민규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5-168
    • /
    • 2009
  • 표본설계 단계에서 이용 가능한 보조정보가 있는 경우 효율적인 표본추출방법으로 층화추출법이 흔히 고려된다. 특별히 층화변수로 이용할 수 있는 변수가 많은 경우 전체 층의 숫자가 커지게 되며, 이때 각 층으로부터 한 단위를 추출하는 층 표본크기가 1인 층화추출이 효율적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각 층으로부터 하나의 추출단위를 추출하는 층 표본크기가 1인 층화추출의 경우 불편 분산 추정량의 계산이 불가능하다. 불편 분산 추정량의 계산은 층의 수를 줄이고 각 층으로부터 두 개의 표본추출단위를 표집하는 층 표본크기가 2인 층화추출에서 가능하나 중요 층화변수가 누락될 경우 층 표본크기가 1인 층화추출에 비해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Park & Fuller(2008)에 의해 제시된 층 표본크기가 2인 균형 층화추출과 호르비츠-톰슨 추정량의 불편 분산 추정량을 살펴보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여러 가지 층화추출법과 계통추출법을 비교한다. 또한 제시된 표본추출법을 2006년 청년패널 자료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평가한다.

  • PDF

임분재적(林分材積)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Estimate of Stand Volume in the Pitch Pine Forest)

  • 이여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
    • /
    • 1973
  • 본시험(本試驗)은 리기다소나무 인공단순림(인공단순림)에 있어서 임분재적추정(林分材積推定)을 단급법(單級法) 단순임의추출법(單純任意抽出法) 복합비추정법(複合比推定法) 분리비추정법(分離比推定法) 표준목비추정법(標準木比推定法)등의 방법(方法)으로 조사비교(調査比較)한 것이다. 비추정(比推定)에 의하여 얻은 결과(結果)는 표(表) 8과 같아 실제임분재적(實際林分材積)이 추정임분재적내(推定林分材積內)에 포함(包含)되어 있는 것은 단순임의추출법(單純任意抽出法)과 복합비추정법(複合比推定法)뿐이다. 단순임의추출법(單純任意抽出法)이 좋은 결과(結果)를 갖어온 것은 임분(林分)의 구성상태(構成狀態)가 단순동령림(單純同齡林)이기 때문이라 추측(推測)된다. 추정시(推定時) 측정(測定)이나 계산(計算)이 간편한것은 (1) 단급법(單級法) (2) 단순임의추출법(單純任意抽出法) (3) 표준목비추정법(標準木比推定法) (4) 분리비추정법(分離比推定法) (5) 복합비추정법(複合比推定法)의 순(順)으로 되어 정도면(精度面)이나 실제임분(實際林分) 재적(材積) 측정시(測定時) 시간경비(時間經費) 노력(勞力)을 비교적(比較的) 적게 들이고 측정(測定)할수 있는 방법(方法)은 적어도 인공일제림(人工一齊林)에서는 단순임의추출법(單純任意抽出法)이 가장 좋은 결과(結果)를 가져왔다고 본다.

  • PDF

Worst Case Sampling Method with Confidence Ellipse for Estimating the Impact of Random Variation o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 Oh, Sangheon;Jo, Jaesung;Lee, Hyunjae;Lee, Gyo Sub;Park, Jung-Dong;Shin, Changhwa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5권3호
    • /
    • pp.374-380
    • /
    • 2015
  • As semiconductor devices are being scaled down, random variation becomes a critical issue, especially in the case of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tatistical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impact of random variations on the SRA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concept of a confidence ellips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estimates the SRAM margin metrics in high-sigma regimes more efficiently than the standard Monte Carlo (MC) method.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에서 편향 보정을 이용한 무응답 대체 (Bias corrected imputation method for non-ignorable non-response)

  • 이민하;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4호
    • /
    • pp.485-499
    • /
    • 2022
  • 표본오차와 비표본오차를 포함하는 총오차(total survey error)를 관리하는 것은 표본설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무응답으로 인해 발생한 비표본오차는 총오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인 무응답 대체에 관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최근 전통적 통계학 관련 기법에 추가하여 기계학습 관련 기법을 이용한 무응답 대체법이 다수 연구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발표된 다수의 방법은 MCAR(missing completely at random) 또는 MAR(missing at random) 가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관심변수에 영향을 받는 MNAR(missing not at random) 또는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non-ignorable non-response; NN)은 편향을 발생시켜 대체 결과의 정확성을 크게 떨어뜨리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이 발생한 경우에 적용 가능한 무응답 대체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편향을 추정한 후 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무응답 대체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의 개선방안 -기업부문을 중심으로- (Policies for Improving the Surve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Case of Industrial Sector)

  • 유승훈;문혜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28-244
    • /
    • 2002
  • The surve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 science and technology (S&T) covers the current status of R&D activities in S&T in Korea, and provides a basis for decision making regarding S&T policy.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survey is widely needed to present reliable national basic stat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to introduce sampling survey method in industrial sector and to make statistical technique to deal with non-response data from industrial sector. To these ends, first, case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illustrated. A new sampling design for the R&D survey is proposed and implementing stratified random sampling scheme is suggested. Moreove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non-response data is dealt with. Based on several screening criteria, we develop a new imput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R&D survey and also provide more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Various solutions to a problem arising from non-response item are also presented. Finally, som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 PDF

A Generalized Ratio-cum-Product Estimator of Finite Population Mean in Stratified Random Sampling

  • Tailor, Rajesh;Sharma, Balkishan;Kim, Jong-Mi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1호
    • /
    • pp.111-118
    • /
    • 2011
  • This paper suggests a ratio-cum product estimator of a finite population mean using information 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the fcoefficient of kurtosis of auxiliary variate in stratified random sampling. Bias and MSE expressions of the suggested estimator are derived up to the first degree of approximation. The suggested estimator has been compared with the combined ratio estimator and several other estimators considered by Kadilar and Cingi (2003). In addition, an empirical study is also provided in support of theoretical findings.

주기적 Sample Skipping과 표준화주파수 축소에 의한 TDM 회선증가방식에서의 불특정 해석 (Distortion Analysis for two TDM Channel Expansion Methodsperiodic Sample Skipping and Sampling Frequency Reduction)

  • 안병성;이재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0-36
    • /
    • 1975
  • TDM 회선을증가하기 위한 두가지 방식-주기적 sample skipping방법과 표본화주파수 축소 방법-에 대한 불특성을 해석비교하였다. 신호는 통계적으로 stationary인 random신호로 가정했으며, 선로의 잡음과 각랑 상호 간의 간섭효과는 고려하지 않았다. 음성신호에 대한 구체적 비교 결과, 주기회 sample skipping방법이 실제적 설계조건에서 훌륭한 선택이 될 수 있음을 보였다. Distortions are analyzed and compared for two TDM channel expansion methods- periodic sample skipping and sampling frequency reduction. Signal is assumed to be stationary random signal with zero·mean. Channel noise and interference are not considered in the analysis. For speech signal, it is shown that the periodic sample skipping method could be a better choice under practical design constrai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