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carbon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18초

Wiggle Matching for Radiocarbon Dating Korean Artifacts with Biannual Samples

  • Park, Won-Kyu;Nam, Tae-Kwang;Park, Jung-Hun;Hong, Wa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05-611
    • /
    • 2009
  • This paper reports the application of radiocarbon wiggle matching for Korean wooden artifacts such as furniture and Buddhist statues for precise dating. Ten biannual samples of 20 years (AD 1249-1268) for AMS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radiocarbon measurements were prepared from a board of the pedestal for Buddhist statue at Jeongsusa (temple) in Kangwhado, Korea, which was dendrochronologically dated. The average 95.4% confidence interval of radiocarbon dating without wiggle matching was 123 year. When wiggle matching technique was applied, it became 37 year, 3.3 times smaller than that without wiggle match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wiggle matching technique using the calibration curve for northern hemisphere (IntCal04: International radiocarbon calibration curve announced in 2004) can produce precise dates for Korean wooden artifacts which possess as much as 20 tree rings.

  • PDF

방사성탄소를 이용한 해양 유기탄소 순환 연구 동향 (Radiocarbon for Studies of Organic Matter Cycling in the Ocean)

  • 황점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3호
    • /
    • pp.189-201
    • /
    • 2012
  • 방사성탄소동위원소는 해양의 탄소순환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다. 현재 가속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분석 기술의 발달로 유기물전체 뿐만 아니라 특정 유기화합물에서도 방사성탄소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리뷰 논문에서는 방사성탄소의 측정 방법과 농도 표현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 방사성탄소를 해양의 유기탄소 순환 연구에 이용한 예들을 살펴보았다. 입자유기탄소와 용존유기탄소의 기원 물질 및 순환, 저서생물의 선택적 섭식, 입자유기물의 생화학적 화합물군의 거동, 분자크기에 따라 분류한 용존유기물군의 거동, 퇴적물의 수평 이동, 퇴적물의 연대측정, 육상기원 유기물의 거동, 미생물 유기물의 기원 물질, 할로겐화 유기물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예들을 통하여 유기물전체, 유기물군, 특정 유기화합물의 방사성탄소 측정이 어떻게 해양 유기탄소 순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지 기술하였다.

Formation of humus-bound residues in the course of BTX biodegradation in soil

  • Song, Hong-Gy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5권1호
    • /
    • pp.47-52
    • /
    • 1997
  • To examine whether the xylene component of BTX (benzene, toluene, xylene) mixture is cometabolized and residues are produced in soil, $\^$14/C-labeled-0-xylene was added to sandy loam in combination with unlabeled benzene and toluene. After 4 weeks of incubation in a sealed system connected to an oxygen reservoir, 55.1% of the radiocarbon was converted to $\^$14/CO$\sub$2/, 3.0% was to 95.8% radiocarbon recovery. Biomass incorporation of o-xylene radiocarbon which was detected by fumigation/extraction was usually low (5.6%), but 32.1% radiocarbon became associated with soil humus. Most of the numus-bound radiocarbon was found in humin fraction. In addition to o-xylene, p-xylene and toluene also showed similar results. The evidence shows that some of their reactive methylcatechol biodegradation intermediates attach to the humic metrix in soil in preference to mineralization and biomass incorporation.

  • PDF

방사성탄소연대측정 (Radiocarbon Dating)

  • 이현주;황진주;백현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3호
    • /
    • pp.197-214
    • /
    • 2002
  •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age of the Cultural Properties in archeology. In about 1950, W.F. Libby and a team of scientists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developed the Radiocarbon Dating technique. Radiocarbon($^14$C) Dating is probably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nd best known absolute dating methods. Radiocarbon ages are conventionally specified to the year 1950. This year is 0 BP year. BP is the initial of Before Present. The $^14$C within an organism is continually decaying into stable carbon isotopes. When $^14$C decays, it emits a $\beta$ - particle with an energy content of 156 KeV and becomes 14N. Only the $\beta$ - particle is detected by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14$C has a half life of 5730 years. It has been used to date samples as old as 50,000 years. Radiocarbon determinations can be obtained on organic material : wood, charcoal, shell, etc. The results of radiocarbon dating using Benzene Synthesizer and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are KCP539 $4030\pm60$BP year, KCP540 $3980\pm60$BP year, KCP575 $4870\pm50$, KCP576 $100\pm50$BP year, KCP577 $130\pm50$BP yea and KCP578 $210\pm70$BP year.

  • PDF

동해 용존무기탄소 중 방사성탄소의 분지별 비교 및 시간에 따른 변화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Dissolved Inorganic Radiocarbon in the East Sea)

  • 심보람;강동진;박영규;김경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6권2호
    • /
    • pp.111-11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동해의 해수 중 방사성탄소의 분지별 비교 및 시간에 따른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1999년 동해의 일본분지, 울릉분지, 야마토분지 3개 분지에서 총 5개의 정점에서 채취한 시료로부터 방사성탄소를 분석하였다. 동해의 방사성탄소는 일반적인 대양에서의 분포와 유사하게 표층에서 2000 m 수심까지 가파르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2000 m 보다 깊은 수심에서는 일정한 값을 보였다. 분지별로 방사성탄소의 수직분포를 비교해 보면, 3개의 분지의 표층(<200 m)에서 방사성탄소 값은 63~85‰ 이내로 유사하였으나 200~2000 m의 중층수에서는 분지별로 최대 60‰까지 차이가 나타났다. 중층수의 방사성탄소는 일본분지, 울릉분지, 야마토분지 순으로 높은 값이 나타나는데, 이는 중층수 순환의 형태와 그 분포가 일치한다. 2000 m 보다 깊은 수심의 저층수에서는 방사성탄소가 분지별로 뚜렷한 차이 없이 모든 분지에서 -80~-60‰ 내의 값을 보인다. 동해 표층수에서는 시간에 따라 매년 약 2‰씩 ${\Delta}^{14}C$ 값이 감소하였다. 반면, 동해 심층에서의 방사성탄소는 세개의 분지 모두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동해 중앙수의 방사성탄소는 매년 약 3.3‰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심층수나 저층수보다 시간에 따라 빠르게 증가한다. 심층수와 저층수에서는 방사성탄소가 1990년대 중반까지 증가하다가 1995년 이후로는 거의 증가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보인다. 심층수와 저층수에서의 ${\Delta}^{14}C$ 값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동해의 심층수 형성의 시간적 변화와 연관지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동해 해수순환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방사성탄소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방사성탄소연대 위글매칭에 의한 순천 송광사 불패의 연대측정 (Wiggle Matching Radiocarbon Dates of a Buddhist Wooden Tablet (Bulpae) at Songkwangsa Temple, Suncheon, Korea)

  • 연정아;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5-60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ate a Buddhist wooden Tablet (No. 271) at Songkwangsa Temple, Suncheon, Korea, using wiggle matching of radiocarbon dates. For wiggle matching, three samples (2nd, 16th and 34~35th rings from inner side) in the pedestal of the Tablet were selected among total of 37 tree rings. Wiggle matching the radiocarbon dates of three samples resulted in A.D. 1660~1679 (95.4% confidence interval) for the outermost ring. This interval suggested the age of this tablet as the late 17th century, which was almost at the same age as other early Buddhist tablets in Korea.

  • PDF

원주 구룡사 소통(疎筒)의 수종 및 방사성탄소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of a Container for Written Prayers, Sotong, from Guryongsa Temple in Wonju)

  • 김요정;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2-78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pecies of a wooden container for written prayers, Sotong, from Guryongsa Temple in Wonju, which is currently stored in the Museum of Woljeongsa, and to date it using wiggle matching of radiocarbon dates. It was made exclusively of basswood, Tilia spp. Wiggle matching the radiocarbon dates of three rings resulted in A.D. 1670 to 1691 (${\pm}2{\sigma}$) for the outermost ring. This interval suggested the age of 'Guryongsa Sotong' as the late $17^{th}$ or early $18^{th}$ century, which became a first date on 'Sotong' in Korea.

  • PDF

울산 천곡동 유적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연구 (The Study on the Radiocarbon Dating of Cheongok-dong Archeaological site, Ulsan)

  • 이현주;송희정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7호
    • /
    • pp.181-201
    • /
    • 2006
  • In this study, radiocarbon dating by the benzene synthesis method and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method were performed for the age determination of coal sample at the Cheongok-dong archaeologicalsite, Ulsan. The results of radiocarbon age(BP year) are section Ga #1 $2920\pm50$ BP year, section Ga #5 $3100\pm55$BP year, section Ga #6 $2820\pm60$ BP year, section Na #5 $2650\pm50$ BP year. These ages were converted to calibrated age(AD/BC year) using high precision curve. The products on the excavation of Cheongok-dong archaeological site, Ulsan, section Ga #1 BC 1260-980 BC, section Ga #5 BC1460-1200 BC, section Ga #6 BC 1110~830 BC, section Na #5 BC 920-760 BC. Comparison of samples with radiocarbon and archaeological ages for revealed the approximation.

  • PDF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의 불확실성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Bayesian Analysis for Uncertainty of Radiocarbon Dating)

  • 이영선;이재용;김장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3호
    • /
    • pp.371-383
    • /
    • 2015
  • 본 연구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방법에 내재되어 있는 변동성을 유발하는 요인과 그 크기를 파악하고, 측정치들을 기반으로 한 고고학적 연대의 합의값을 도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일한 샘플을 서로 다른 기관에 보내어 얻는 실험을 시행하였고,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는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측정기관, 메가샘플의 종류가 방사성탄소연대측정방법의 변동성을 야기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었으며, 각 요인으로 인한 변동성의 크기는 약 10년 내외임을 확인했다. 기관 내에 존재하는 탄소연대측정의 변동성은 각 기관에서 보고하는 측정오차로 간주해도 무방하다는 사실 또한 밝혀냈다. 자료의 실제 연대를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여러 개의 탄소연대측정치로부터 도출된 합의값은 실제 샘플의 연대와 일치했으며, 합의값의 변동성은 개별적인 탄소연대측정치의 변동성보다 훨씬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