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GP Contact Len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다목적 용액 및 세척제를 이용한 RGP 렌즈 소독방법의 비교 (A Comparision of Disinfection Efficacy for RGP Lens by Using Multi-purpose Solution and Cleaner)

  • 박미정;곽재숙;박상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41
    • /
    • 2007
  • 본 연구는 RGP 렌즈용 다목적용액과 세척제를 이용한 RGP 렌즈 관리방법의 정립을 위해 수행하였다. 각 RGP 렌즈를 녹농균주 용액에서 배양한 후 RGP 렌즈용 다목적용액과 계면활성제 성분이 함유된 세척제로 처리한 후 렌즈에 남아있는 녹농균 수를 측정하였다. 30분 동안 다목적 용액에 침윤시키는 것만으로도 녹농균의 수가 50% 감소되었다. 4시간 동안 침윤시켰을 경우는 95%의 균이 제거되었으며, 6시간 동안 침윤시켰을 경우 녹농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세척제만을 사용하여 관리한 경우에는 79%의 녹농균이 제거되어 세척제를 사용하는 것이 30분간 침윤시키는 것보다 소독효과가 월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척제를 사용한 후 30분간 RGP 렌즈용 다목적 용액에 침윤하였을 때의 녹농균의 수는 30분간 다목적 용액으로 침윤만 하였을 때의 녹농균 수의 36%에 불과하여 짧은 시간 동안 침윤에 의한 소독효과의 미비가 세척제를 이용한 관리로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UV-A로 유발된 효소 변성에 대한 콘택트렌즈의 차단 효과 (Effects of UV-A Blocking Contact Lenses on the Enzymes Denaturation Induced by UV-A Irradiation)

  • 박미정;이금희;이은경;박상희;김소라;이흠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3-49
    • /
    • 200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UV-A 차단 콘택트렌즈의 UV-A 차단효과를 일반 콘택트렌즈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RNase A, catalase 및 superoxide dismutase(SOD)를 일반 콘택트렌즈(UV-A 차단율 20%) 및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UV-A 차단율 85%)로 차단하였을 때의 UV-A에 의한 변성을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법으로 확인하였다. 효소의 용액은 각각 1, 3, 6, 24 및 96시간 동안 365 nm의 UV-A에 노출시켰으며, 콘택트렌즈에 의한 UVA차단 범위는 전안구를 덮는 RGP 렌즈, 소프트 콘택트렌즈, 안경의 크기를 계산하여 각각 50%, 70% 및 100%로 변화를 주었다. 결과: RNase A, catalase 및 SOD의 변성은 UV-A에 노출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심하여졌다. 자외선차단 콘택트렌즈의 자외선 차단 효과는 일반 콘택트렌즈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모든 효소에서 차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콘택트렌즈로 차단된 범위가 줄어들수록 또한 UV-A에 노출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의 차단 효과는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UV-A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경우 자외선 차단 콘택트렌즈는 안구 내의 존재하는 효소를 보호하는 효과가 미흡할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햇볕 아래에서의 장시간 콘택트렌즈 착용은 충분한 고려를 하여야 할 것으로 제안할 수 있다.

  • PDF

안경사의 RGP콘택트렌즈 처방 실태조사 (A Study on Prescription of RGP Contact Lens in Korean Optometrist)

  • 김영훈;박상배;김광배;김대현;임병관;선경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17
    • /
    • 2007
  • 1995년 이후 점차 증가 추세를 보이는 콘택트렌즈 분야에서 안경사의 콘택트렌즈 처방과 관련한 전문지식 습득정도와 검안기기, 환자에 대한 교육 정도, 콘택트렌즈 연장 교육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안경원의 콘택트렌즈 처방 및 관리에 관한 문제점을 알고, 안경사 및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법률적인 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종사 안경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답자의 분포는 남자가 270명(67.5%), 여자가 130명(32.5%)이었으며, 안경광학 전공자가 89%를 차지하였고, 72.5%의 안경사가 RGP콘택트렌즈를 처방하고 있었으며, 27.5%는 경험이 전혀 없어 처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렌즈 처방 및 피팅 평가를 위해서는 세극등 현미경, 버튼램프와 플루레신 페이퍼와 같은 최소한의 검안기기가 필요한 것으로 응답했다. 정기검사(Follow-up)에서는 응답자의 83%에서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매우 낮은 결과 값을 보였고, 전체의 83.5%에 해당하는 334명이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임상위주의 연장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 PDF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Contact Lenses)

  • 유동식;문병연;김도형;백선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7-45
    • /
    • 2007
  • 자외선 차단 소프트렌즈, 통상의 소프트렌즈 및 RGP렌즈에 대한 광투과율 스펙트럼을 ANSI Z80.20 기준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가시광선 및 자외선에 대한 광투과율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특정 스펙트럼 파장 영역별, 즉 가시광선, UVA, UVB 및 UVC 영역별로 적분하여 계산하였다. 가시광선 영역의 평균 투과율은 3종류의 콘택트렌즈 모두 90% 이상으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허용 범위 내에 들었다. 자외선 차단 소프트렌즈의 경우 몇 개의 렌즈를 제외하고 UVA와 UVB 영역의 광투과율은 제시된 기준에 적합하였다. 통상의 소프트렌즈와 RGP 렌즈의 자외선 차단성은 예상했던 대로 낮았다. 이런 결과들은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특성에 관한 정보 활용에 있어 현장의 안경사나 실무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연마상태가 다른 RGP렌즈의 일정기간 착용 시 렌즈착용자의 자각적 증상, 눈물막 안정 및 순목횟수 변화 (Changes in Subjective Symptom, Tear Film Stabilization and Blinking Rates when Wearing RGP Lenses with Different Polishing Conditions for Certain Period of Time)

  • 박미정;김효겸;배준섭;박정주;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42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RGP렌즈 제조 시 렌즈물성과 렌즈착용자 요인과의 관계를 밝힌 선행연구의 후속 연구로 RGP렌즈 연마로 유발된 렌즈물성의 차이가 일정기간 착용 후 착용자가 느끼는 주관적 착용감 및 눈물막 파괴시간, 순목횟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나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는 20대 17명(남자7명, 여자 10명)의 28안에게 각기 다른 연마조건(25초, 50초 및 100초)으로 제조된 3 종류의 렌즈를 각각 1주일 이상 착용하게 하였으며 매일 설문지를 통하여 착용 중의 착용감을 조사하였고, 자각적 및 타각적 눈물막 파괴시간과 순목횟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연마조건이 다르게 제조된 RGP렌즈를 일주일 이상 착용하였을 때 렌즈 착용자의 주관적 착용감은 렌즈 별로 불편감의 종류나 착용감 점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RGP렌즈 착용 경험자의 경우는 RGP렌즈 착용 미경험자와 비교하여 연마조건에 따른 착용감 점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RGP렌즈 착용 경험자의 경우 착용시간이 증가할수록 착용 미경험자에 비하여 렌즈에 더 잘 적응하는 양상을 보여 자각적 및 타각적 눈물막 파괴시간은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순목횟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RGP렌즈 착용 경험 유무와는 관계없이 100초 연마렌즈 착용 시는 착용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자각적 및 타각적 눈물막 파괴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렌즈물성의 최적화가 실제 착용 시에는 착용자의 자각적 및 타각적 증상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내는 요인이 되지 못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현재 식약처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프트콘택트렌즈/하드콘택트렌즈의 제조 기준규격'에 따라 제조된 RGP렌즈는 실제 착용 시 착용자의 눈물막 안정화나 착용감, 렌즈 착용 경험 유무와 같은 생리적 요인에 따라 착용성공률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다.

근시성 난시안에서 구면 RGP 콘택트렌즈의 난시교정 효과 (A Study of a Correction Effect of Astigmatism using Spherical RGP Lens)

  • 주석희;박혜정;신철근;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5-89
    • /
    • 2003
  • 구면 RGP 렌즈는 렌즈 후면과 각막 사이에 눈물이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면서 뛰어난 난시교정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RGP 렌즈의 난시교정 효과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임상 구면 RGP 렌즈처방에 활용하고자 렌즈착용 전후의 전체난시량 변화 각막난시량의 변화, 잔여난시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면 RGP 렌즈의 교정 전 후 전체난시량이 2.00D 이하에서는 교정이 거의 모두 이루어졌으나, 전체 난시량이 2.50D 이상에서 미교정된 상태를 보였으며, 특히 3.00D 이상에서는 난시 교정효과가 급격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구면 RGP 렌즈의 교정 전 후 각막난시량은 2.50D 이하에서 약도의 저교정 상태로 나타났으나, 3.00D이상에서는 전체난시와 마찬가지로 난시 교정효과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구면 RGP 렌즈 처방시 잔여난시량은 그대로 발현하는 것이 아니고, 잔여난시 도수가 일정부분 감소하여 전체난시 상태로 나타났다.

  • PDF

구면 RGP렌즈 Fitting시 누액렌즈 굴절력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Changed Power of Tear lens at Spherical RGP lens Fitting)

  • 박성종;주석희;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55-462
    • /
    • 2004
  • 근시성 굴절이상자 85명 170안을 대상으로 구면 RGP렌즈를 피팅(Fitting)하여 RGP시험렌즈 BCR별, 각막난시량별, 각막의 만곡도별 누액렌즈굴절력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GP시럼렌즈 BCR의 변경에 의한 누액렌즈 굴절력은 "on-k"에서 -0.25D, 0.05Ft는 -0.46D, 0.10Ft는 -0.63D, 0.05St는 +0.07D, 0.10St는 +0.26D를 보였다. 2. 각막난시량별 RGP렌즈 BCR의 변경에 의한 누액렌즈 굴절력은 "on-k" 상태에서 각막난시 0.75D이하는 -0.25D, 1.00~1.25D는 -0.18D, 1.50~1.75D는 -0.09D, 2.00D이상에서는 -0.39D를 나타냈다. 3. 각막난시량별 시험렌즈 BCR을 0.05mm단계로 변경함에 따른 누액렌즈 굴절력의 변화량은 0.05St와 0.05Ft에서는 ${\pm}0.25D$에 근사한값을 나타냈지만 0.10St와 0.10Ft에서는 ${\pm}0.25D$이하의 불안정한 누액렌즈값을 나타냈다. 4. 각막의 만곡도별 RGP렌즈 BCR의 변경에 의한 누액렌즈 굴절력용 "on-k" 상태에서 7.50mm이하는 -0.40D, 7.55~7.80mm는 -0.11D, 7.85~8.20mm는 -0.20D, 8.25mm이상은 -0.19D를 나타냈다. 5. 각막만곡도별 시험렌즈 BCR을 0.05mm단계로 변경함에 따른 누액렌즈 굴절력의 변화량은 각막의 만곡도가 클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8.25mm이상은 평균 ${\pm}0.17D$${\pm}0.25D$이하의 낮은 굴절력을 보였다.

  • PDF

각막형상 및 각막난시도가 RGP렌즈와 각막사이의 눈물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neal Type and Corneal Astigmatism on Tear Volume between Rigid Gas Permeable Lens and the Cornea)

  • 김지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1-150
    • /
    • 2015
  • 목적: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의 양호한 피팅상태에서 각막형상과 각막난시도에 따른 각막과 렌즈 사이의 부분별 눈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대 77명(135안)을 대상으로 양호한 상태로 피팅된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를 중심부, 중간주변부, 주변부로 나눠 플루레신으로 염색된 눈물의 농도를 분석하여 눈물양을 정량화하였다. 결과: 모든 각막형상에서 구면 RGP렌즈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대칭나비형과 비대칭나비형 각막에서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있었으나, 원형과 타원형 각막은 중심부에서 주변부까지 눈물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1.25 D 이하의 각막난시군에 구면 RGP렌즈를 피팅하였을 때는 중심부와 주변부, 중간주변부와 주변부간의 눈물양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1.50 D 이상의 각막난시군에서는 부분별 눈물양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막난시가 증가할수록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모두 중심부 및 중간주변부의 눈물양이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비구면 RGP렌즈의 경우가 증가폭이 더 컸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구면 RGP렌즈에 비해 비구면 RGP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양 차이가 적었으며, 각막형상과 난시도에 따라 각막과 렌즈사이의 눈물양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정립된 RGP렌즈와 각막사이의 상대눈물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콘택트렌즈와 각막 사이의 눈물양 평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구면과 토릭 소프트 렌즈로 교정한 약도 난시안의 대비감도와 눈부심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with Spherical and Toric Soft Contact Lenses in Low-astigmatic Eyes)

  • 이민아;김현정;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약도의 근시성 난시안의 토릭 소프트 렌즈와 다른 교정 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비감도 검사와 눈부심 장애 검사를 이용하여 시력의 질을 비교하였다. 방법: 1.50D이하의 경도 난시의 근시안인 남녀 대학생 20명(40안)을 대상으로 5가지 다른 방법(소프트렌즈 등가구면, 토릭 소프트 렌즈, RGP 렌즈, 난시교정 안경, 안경 등가구면)으로 교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교정시력이 20/20(1.0) 이상이었다. 대비감도 검사와 눈부심 장애 검사는 OPTEC$^{(R)}$ 6500을 이용하여 밝은 조도과 어두운(글레어) 조도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밝은 조도 하에서 난시교정 안경이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가장 높은 대비감도를 나타내었고, 토릭 소프트 렌즈, RGP 렌즈, 안경 등가구면, 소프트 콘택트렌즈 등가구면 처방 순으로 대비감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두 정상 범위의 대비감도 영역에 포함되었다. 어두운 조도(글레어) 하에서는 토릭 소프트 렌즈 착용자가 가장 높은 대비감도를 나타내었고, RGP렌즈, 안경 등가구면, 난시교정 안경, 소프트 렌즈 등가구면 처방 순으로 대비감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면 소프트렌즈 착용자는 어두운 조도(글레어) 하에서 정상 영역보다 낮은 대비감도 값을 보였다. 결론: 약도의 근시성 난시안의 교정으로 토릭 소프트 렌즈 교정이 구면 소프트렌즈보다 좋은 시력의 질(대비감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어두운 조명에서 콘택트렌즈를 착용해야할 경우에는 토릭 소프트렌즈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GP lens 다목적 용액의 습윤성에 관한 비교 연구

  • 박현주;김재민;이기영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428-433
    • /
    • 2003
  • 소수성인 RGP lens의 관리용액인 6개사의 다목적용액(multipurpose solution, MPS)의 습윤성 접촉각과 표면장력, 점도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았다. 결과는 RGP 렌즈를 8시간 MPS에 담근 후 인공누액을 떨어뜨려 측정한 접촉각은 $25^{\circ}-36^{\circ}$의 범위로 렌즈와 MPS는 비교적 우수한 습윤성을 보여주었으며, 표면 장력은 19.8-31.3 mN/m의 값이 얻어졌다. 각각의 다목적용액에 렌즈를 홀더에 얹은 상태로 계면과 렌즈가 분리될 때의 표면장력을 측정하였을 때는 26.5-33.5 mN/m의 값이 측정되었다. 점도는 4^{\circ}C$28^{\circ}C$에서 측정했으며 측정온도에 따라 온도가 낮을수록 높게 측정되었고, MPS의 온도 28^{\circ}C$에서 점도는 9.5-65.5 cps를, 4^{\circ}C$에서는 6.5-13.7 cps의 값을 보였다. RGP lens MpS는 soft lens MPS에 비해 접촉각과 표면장력은 낮고, 점도는 높아서 습윤성이 더 우수하였고 제조회사에 따라 습윤성의 차이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