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Y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6초

Properties of Galaxies in Cosmic Filaments around the Virgo Cluster

  • Lee, Youngdae;Kim, Suk;Rey, Soo-Chang;Chung, Jiwon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64.2-64.2
    • /
    • 2020
  • We present the properties of galaxies in filaments around the Virgo cluster with respect to their vertical distance from the filament spine. Using the NASA-Sloan Atlas and group catalogs, we select galaxies that do not belong to groups in filaments. The filament member galaxies are then defined as those located within 3.5 scale length from the filament spine. The filaments are mainly (~86%) composed of low-mass dwarf galaxies of logh2M∗/M⊙ < 9 dominantly located on the blue cloud in color-magnitude diagrams. We observe that the g - r color and stellar mass of galaxies correlate with their vertical distance from the filament spine in which the color becomes red and stellar mass decreases with increasing vertical filament distance. The galaxies were divided into two subsamples in different stellar mass ranges, with lower-mass (logh2M∗/M⊙ ≤ 8) galaxies showing a clear negative g-r color gradient, whereas higher-mass (logh2M∗/M⊙ > 8) galaxies have a flat distribution against the vertical filament distance. We observe a negative EW(Hα) gradient for higher-mass galaxies, whereas lower-mass galaxies show no distinct variation in EW(Hα) against the vertical filament distance. In contrast, the NUV - r color distribution of higher-mass galaxies shows no strong dependence on the vertical filament distance, whereas the lower-mass galaxies show a distinct negative NUV - r color gradient. We do not witness clear gradients of HI fraction in either the higher- or lower-mass subsamples. We propose that the negative color and stellar mass gradients of galaxies can be explained by mass assembly from past galaxy mergers at different vertical filament distances. In addition, galaxy interactions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contrasting features of EW(Hα) and NUV - r color distributions between the higher- and lower-mass subsamples. The HI fraction distributions of the two subsamples suggest that ram-pressure stripping and gas accretion could be ignorable processes in the Virgo filaments.

  • PDF

Comparative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Abexol (suspension versus tablets)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 Alfredo Hierro Gonzalez;Julio Cesar Fernandez Travieso;Yoandy Hernandez Casas;Susana Borges Gonzalez;Maria de los Angeles Camacho Morales;Elena Ferrer Batallie;Anaisa Roja Carralera;Yenney Reyes Nunez;Sarahi Mendoza Castano;Maytee Robaina Garcia;Diana Margarita Rey Kaba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9권1호
    • /
    • pp.57-67
    • /
    • 2024
  • Background/Aims: Abexol is a mixture of primary aliphatic alcohols purified from beeswax (Apis mellifera), that produce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gastroprotective effects, as well as it is safe and well tolera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Abexol (suspension versus tablets)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Methods: Monocentric study, open-label, randomized design, with two parallel groups receiving Abexol tablets (150 mg/d) or Abexol suspension (75 mg/d) for 8 weeks. Primary efficacy variabl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otal score of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GSRS]).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intensity of the gastrointestinal-symptoms and the reduction in the consumption of antacids are considered secondary efficacy variable. Short form-36 (SF-36)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was evaluated as collateral variable. Data were analyzed as per intention to treat. Results: A significantly decrease in the overall score of the survey was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baseline level (p < 0.001) of 81.4% in the Abexol suspension group and 77.9% in the Abexol tablets group. At the end of the trial, most gastrointestinal-symptoms disappeared or reduced significantly.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neutralizing antacids was low. The significantly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the state of health obtained in the Abexol is in correspondence with the improvement achieved in some of the components evaluate in the SF-36 questionnaire. Both treatments were safe and well tolerated. Conclusions: Abexol suspension showed efficacy and safety similar to Abexol tablets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but using half the dose.

A Bicentric Propensity Matched Analysis of 158 Patients Comparing Porcine Versus Bovine Stented Bioprosthetic Valves in Pulmonary Position

  • Bunty Ramchandani;Raul Sanchez;Juvenal Rey;Luz Polo;Alvaro Gonzalez;Maria-Jesus Lamas;Tomasa Centella;Jesus Diez;Angel Aroca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2권8호
    • /
    • pp.623-631
    • /
    • 2022
  • Background and Objectives: Pulmonary valve replacement (PVR) is the most common operation in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There is controversy regarding the best bioprosthesis.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stented bioprosthetic valves (the Mosaic [MedtronicTM] porcine pericardial against Carpentier Perimount Magna Ease [EdwardsTM] bovine) in pulmonary position in patients with CHD. Methods: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2019, all the PVRs were identified from hospital databases in 2 congenital heart centres in Spain. Valve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clinical and echocardiographic criteria.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used to balance the 2 treatment groups. Results: Three hundred nineteen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identified. After statistical adjustment, 79 propensity-matched pairs were available for comparison Freedom from reintervention for the porcine cohort was 98.3%, 96.1%, and 91.9% at 3, 5, and 10 years and 100%, 98%, and 90.8% for the bovine cohort (p=0.88). Freedom from structural valve degeneration (SVD) for the porcine cohort was 96.9%, 92.8% and 88.7% at 3, 5, and 10 years and 100%, 98%, and 79.1% for the bovine cohort (p=0.38). Bovine prosthesis was associated with a reintervention hazard ratio (HR), 1.12; 95% confidence intervals (CIs), 0.24-5.26; p=0.89 and SVD HR, 1.69 (0.52-5.58); p=0.38. In the first 5 yea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utcomes. After 5 years, the recipients of the bovine bioprosthesis were at higher risk for SVD (reintervention HR, 2.08 [0.27-16.0]; p=0.49; SVD HR, 6.99 [1.23-39.8]; p=0.03). Conclusions: Both bioprosthesis have similar outcomes up to 5 years, afterwards, porcine bioprosthesis seem to have less SVD.

태풍 내습 시 자갈 해빈의 지형반응 - 부산 태종대 감지 해빈의 사례 (Morphologic Response of Gravel Beach to Typhoon Invasion - A Case Study of Gamji Beach Taejongdae in Busan)

  • 이영윤;장태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30
    • /
    • 2020
  • 자갈해빈에 대한 태풍의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태종대 감지 자갈해빈에서 2018년 10월에 내습한 태풍 '콩레이'와 2019년 7월의 태풍 '다나스'에 대하여 VRS-GPS, 드론 측량을 수행하였다. 감지해빈의 전반적인 퇴적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입도분석을 하였으며, 자갈해빈의 회복력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감지해빈의 지형측량을 수행하였다. 감지해빈의 자갈퇴적물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평균 -6.2Φ에서 -5.4Φ로 세립해지며, 해안선의 수직방향으로는 포말대(swash zone)에서 상대적으로 세립한 구형의 퇴적물(-4.5Φ)이, 범(berm)에서는 상대적으로 조립하고 편평한 퇴적물(-5Φ - -6Φ)이 나타난다. 감지 자갈해빈은 특징적으로 2열의 범을 갖는데, 해빈의 전방에 정상조건에서 형성되는 하부 범(lower berm)과 약 10 m 후방에 상부 범(upper berm)이 존재한다. 태풍 콩레이 내습 후 감지해빈은 육지쪽에 위치한 상부 범에서 약 1.4 m의 침식이 발생하여 상부 범이 사라졌고, 상부 범의 배후지에서는 평균 약 50 cm 침식되어 그 고도가 낮아졌으나, 하부 범에서의 침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상대적으로 위력이 약한 태풍 다나스의 경우, 내습 직후 감지해빈은 하부 범과 상부 범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평균 80 cm 높이의 퇴적물이 침식되었으나, 반면 배후지에서는 50 cm 높이의 퇴적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내습 후 하부 범에서 빠른 속도로 퇴적이 발생하여 내습 약 3일내에 소실되었던 하부 범이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지 자갈해빈이 태풍에 의한 지형변화가 일시적으로 발생하지만, 이후 정상조건에서 태풍 이전의 지형으로 매우 빠르게 회복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갈해빈의 경우 태풍침식에 대한 복원력이 매우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기면병 환자의 주의집중 저하와 주간졸음증 간의 상관관계 부재 (Decreased Attention in Narcolepsy Patients is not Rel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 김석주;류인균;이유진;이주영;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122-132
    • /
    • 2005
  • 배 경:본 연구에서는 청년기 기면병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청년기 기면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면 증상과의 관계도 관찰하였다. 방 법:17세 이상 35세 이하의 기면병 환자 18명과 정상대조군 18명을 모집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탈력발작이 있고, HLA $DQB_1$ *0602 양성인 경우만을 기면병 대상군으로 하였다. 기면병 대상군과 정상대조군에게 13종의 신경심리검사(Wisconsin 카드분류, Trail making, Stroop, Ruff, 청각순차합산, 바꿔쓰기, 숫자 외우기, 공간 외우기, Rey 기억력, California 언어학습, 통제단어연상, Boston 이름대기, 굽은 막대 검사)를 시행하여 양군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기면병 대상군의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Epworth 졸음증 척도, Ullanlinna 기면병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입면 잠복시간 반복검사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기면병 대상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2.0초 간격과 2.4초 간격의 청각순차합산, 바꿔쓰기, 공간 외우기 정방향 검사에서 수행능력이 저조하였다(t=3.86, p<0.001;t=-2.47, p=0.02;t=-3.95, p<0.001;t=-2.22, p=0.03). 다른 신경심리검사에서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면병 대상군에서 저하된 신경심리검사 결과는 Epworth 졸음증 척도나 Ullanlinna 기면병 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야간수면다원검사나 입면잠복시간 반복검사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군의 주의력이 저하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주의력 저하는 주간 졸음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기면병 환자의 주의력 저하는 주간 졸음증의 개선만으로 호전시킬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최근(2018-2020) 태풍의 이동속도와 한반도 주변의 총가강수량 변화 (The Moving Speed of Typhoons of Recent Years (2018-2020) and Changes in Total Precipitable Water Vapo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김효정;김다빈;정옥진;문윤섭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4-27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발생한 태풍들의 이동속도와 관련하여 대기 중 총가강수량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미국기상위성연구소 및 기상청 천리안위성 2A호(GEO-KOMPSAT-2A)의 총가강수량 및 주야간 RGB 합성영상 자료뿐만 아니라 기상청의 기온, 강수량 및 풍속 등의 지상 관측 자료가 사용되었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태풍 위치 및 이동속도를 활용하여, 2020년 태풍 바비, 마이삭, 하이선과 2019년 태풍 타파, 그리고 2018년 태풍 콩레이의 이동속도를 위도별 태풍 평균속도 통계자료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타파와 콩레이는 태풍의 위도별 평균속도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바비와 마이삭은 위도 약 25°N-30°N 구간에서 이동속도가 크게 감소하여 나타났다. 이는 대기 중의 수증기 띠가 전선의 형태로 바비와 마이삭 두 태풍의 전방에 위치하여 이들 태풍의 이동에 방해를 주었기 때문이었다. 즉 이동하는 태풍의 전방에 하층제트로 인해 발생한 수증기 띠가 전선을 형성할 경우, 이 전선과 태풍 사이에 위치하는 고기압 역은 더욱 발달하면서 열대야와 함께 블로킹 효과로 작용하여 태풍의 이동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기 중의 수증기가 많았던 바비와 마이삭의 경우, 1차로 하층제트를 따라 수증기 띠가 전선을 형성함으로 인한 집중호우가, 2차로 전선과 태풍 사이에 고기압 역의 하강기류로 인한 열대야 현상이, 그리고 3차로 태풍 자체의 육지 상륙에 의한 강풍과 폭우가 연달아 발생하였다.

하계 해수면 상승이 폭풍해일고 분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mmer Sea Level Rise on Storm Surge Analysis)

  • 김아정;이명희;서승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98-307
    • /
    • 2021
  • 태풍은 7~10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이 시기에 해수면도 가장 높게 나타난다. 특히 우리나라 하계 해수면은 연평균과 비교했을 때 서해안 약 14.5 cm, 남해안 약 9.0~14.5 cm, 동해안 약 9.0 cm 내외로 더 높게 나타난다. 하계에 상승하는 해수면과 대형 태풍이 겹치면 연안 저지대에 침수, 범람 등의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연안저지대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해안 구조물 설계 및 안정성 검토 시 정확한 해일고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이 영향을 미친 하계 해수면 상승이 고려된 해당 월의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산정된 해일고(SH_m)를 산정하고 이를 연평균 해수면이 고려된 기존 해일고(SH_a)와 비교하여 특이현상 분석의 타당성을 재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연평균 해수면 대비 해수면 상승 폭이 가장 큰 8~9월에 발생한 BOLAVEN(SANBA)의 직접 영향을 받은 남서(남동)해안에서 SH_a, SH_m의 해일고(cm) 차이는 7.8~24.5(23.6~34.5), 간접 영향권에 속한 남동(남서)해안에서 -1.0~0.0(8.3~12.2)로 나타난다. 그러나, 연평균 및 월평균 해수면이 비슷한 높이를 가지는 10월에 남동해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CHABA(KONG-REY)의 경우 5.2~14.2(19.8~21.6), 간접 영향을 미친 서해안에서 3.2~6.3(-3.2~3.7)으로 직·간접 영향권 모두 SH_a와 SH_m의 차이가 작아진다. 연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산정한 기존 해일고는 상승된 하계 해수면이 고려되지 못하여, 실제 태풍 시 발생하는 해일고에 비해 과대 산정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정확한 해일고 개념 정립과 함께 기존의 연평균 해수면을 고려한 해일고 기준으로 설계된 연안 시설물 마루높이 등의 타당성 검토가 재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리안 수증기 영상을 이용한 태풍진로의 전향위치 예측 연구 (Study on the Prediction of Turning Point of Typhoon Tracks using COMS Water Vapor Images)

  • 김종석;윤일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68-17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관측주기가 짧은 천리안 위성의 수증기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태풍의 전향위치와 시간까지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수증기의 위성영상의 건조슬롯과 제트류의 남북진동의 관계를 이용하여 태풍진로의 전향위치를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다. 제트류는 제트스트리크의 위치와 지균풍 ${\upsilon}$성분의 크기에 따라 움직이는데, 지균풍 ${\upsilon}$ 성분이 남쪽방향으로 강화되면 제트류는 원형 제트로 발달하게 된다. 이때 수증기 영상에서는 건조슬롯이 남쪽으로 확대되고, 굴곡수분밴드(CMB) 거리가 좁혀지기 때문에 태풍이 전향하게 된다. 굴곡수분밴드가 위도 $15^{\circ}$ 이하이면 24시간 내에 태풍이 북 또는 북동으로 전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태풍진로는 건조슬롯의 위치가 $32^{\circ}N$ 이하이면 $20-23^{\circ}N$이하에서 전향(2007년 1호 태풍 콩레이와 2012년 17호 태풍 즐라왓)하고, 건조슬롯이 $35^{\circ}N$ 이상 일 땐 $27^{\circ}$N에서 전향(2007년 4호 태풍 마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 형제의 임상특징 및 신경심리학 소견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Neuropsychological Profiles of the Children with ADHD and Their Siblings)

  • 이현정;박장호;김효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4호
    • /
    • pp.220-227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neuropsychological profiles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heir siblings. Methods : Eighteen children (age $8.2{\pm}1.7$ years, 12 boys) with ADHD and their 18 siblings (age $7.8{\pm}1.6$ years, 8 boys) completed Continuous Performance (CPT), Stroop, Children's Trail Making, Rey-Kim Memory, and Kim's Frontal Executive Function tasks. The parents of these subjects underwent th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ARS), 10-item Parent General Behavior Inventory (P-GBI), and the Social Responsiveness Scale (SRS). Paired t-tests were used. Results : The inattention (p=.020),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p=.001), scores of the ARS and the P-GBI score (p=.004)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ADHD than in their siblings. Deficits in social communication and motivation on SRS were higher in children with ADHD than in their siblings (p=.017 and p=.011, respectively). Z-scores of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s as well as response time variability on visual CPT and omission errors on auditory CPT were in clinically significant range, and z-score of omission errors on auditory CPT was in borderline range in siblings. Omission (p=.018) and commission errors on Visual CPT (p=.007)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ADHD compared to their siblings. Recognition efficiency on Kim's Frontal Executive Function Task was lower in children with ADHD compared to their siblings, but in normal range in both groups. Stroop interference and figure fluency on Kims Frontal Executive Function Task were in borderline range in ADHD group, and figure fluency was in borderline range in siblings. Conclusion : Our results support a preliminary evidence for mild degree of attention deficit in ADHD sibling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cognitive functions of siblings with ADHD in larger samples.

1SWASP J093010.78+533859.5: A Possible Hierarchical Quintuple System

  • Koo, Jae-Rim;Lee, Jae Woo;Lee, Byeong-Cheol;Kim, Seung-Lee;Lee, Chung-Uk;Hong, Kyeongsoo;Lee, Dong-Joo;Rey, Soo-Chang
    • 천문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71.1-71.1
    • /
    • 2013
  • Among quadruples or higher multiplicity stars, only a few binary systems have been discovered. They are important target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multiple stellar systems because we can obtain accurate stellar parameters from photometric and spectroscopic studies. We present the observational results of this kind of rare object 1SWASP J093010.78+533859.5, for which the doubly eclipsing feature had been detected previously from the SuperWASP photometric archive. Individual PSF photometry for two objects with a separation of about 1.9 arcsec was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Our time-series photometric data show that the brighter object A is an Algol-type detached eclipsing binary with an orbital period of 1.3 days and the fainter B is a W UMa-type contact eclipsing binary with a period of 0.23 days. Using the high-resolution optical spectra, we obtained well-defined radial velocity variations of the system A. Furthermore, stationary spectral lines were detected and should have originated from the other stellar component, which was confirmed by the third object contribution from the light curve analysis. No spectral feature of the system B was detected, probably due to its faintness. We obtained the binary parameters and the absolute dimensions from each light curve synthesis. The primary and secondary components of the system A have a spectral type of K1 and K5 main sequences, respectively. Two components of system B have nearly the same type of K3 main sequence. Light variations at out of eclipses were appeared in both systems, interpreting as the effect of stellar spots on these late spectral type stars. We estimated the distances to the systems A and B individually. They may have similar distances of about 70 pc and seem to be gravitationally bound with a separation of about 130 AU.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1SWASP J093010.78+533859.5 is a quintuple stellar system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triple system A(ab)c and a binary system B(ab).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