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LAIMED LAND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Lee, Sanghun;Bae, Hui-Su;Lee, Soo-Hwan;Oh, Yang-Yeol;Ryu, Jin-Hee;Ko, Jong-Cheol;Hong, Ha-Chul;Kim, Yong-Doo;Kim, Sun-Li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18-627
    • /
    • 2015
  • Soil salinity i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crop production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Subsurface drainage system is recognized as a powerful tool for the process of desalinization in saline soi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nd corn development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The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2012 and 2014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Buan, Korea. Subsurface drainage was installed with four treatments: 1) drain spacing of 5 m, 2) drain spacing 10 m, 3) double layer with drain spacing 5 m and 10 m, and 4) the control without any treatment. The levels of water table showed shorter periods above 60 cm levels with the deeper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Water soluble cation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exchangeable forms and soluble Na contents, especially in surface layer, were greatly reduced with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Subsurface drainage system improved biomass yield of corn and withering rate. Thus, the biomass yield of corn was improved and the shoot growth was more affected by salinity than was the root growth. The efficiency of double layer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drain spacing of 5 m. The economic return to growers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was the greatest by the subsurface drainage system with 5 m drain spacing.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with drain space of 5 m spacing would be a best management practice to control soil salinity and corn development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정화토의 순환골재 재활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Potential Utility of Reclaimed Soil from Remediation Sites)

  • 한수호;김정욱;전순원;박승호;박형민;민선기;정명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6호
    • /
    • pp.27-35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reutilization of soil reclaimed from contaminated sites after completing remediation. The current status of soil remediation methods in Korea was review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before and after remediation processes were examined to access the recycling possibility of reclaimed soils based on Recycling Aggregate Quality Standard. The most commonly practiced soil remediation techniques are soil washing, land farming, and thermal desorption. These techniques tend to deteriorate various soil properties including electrical conductivity(EC), organic matter content(OM), available P2O5,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of soil retrieved after each remediation process indicated soil washing may yield the most suitable soil for use as a filling, covering, back-filling, road pavement, and block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soils reclaimed from land farming and thermal desorption have potential utility as a filling, covering and road pavement materials.

간척지에서 유기물 투입 형태에 따른 케나프의 생육반응 (The Growth and Yield Differences in Kenaf (Hibiscus cannabinus L.) in Reclaimed Land Based on the Physical Types of Organic Materials)

  • 강찬호;이인석;고도영;김효진;나영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64-71
    • /
    • 2018
  • 간척지 토양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절단케나프, 팽연왕겨, 볏짚, 펠릿퇴비 등 유기물원을 10a당 3,000 kg씩 투입하였다. 투입 결과 간척지 토양 염농도(EC)는 1.2 dS/m에서 0.5 dS/m로 58%로 감소하였으며 토양 유기물 함량은 6.7 g/kg에서 16.0 g/kg으로 1.4배 증가하였다. 토양 공극은 유기물 투입 평균 47.9%로 비투입에 비해 10.2%p 증가하였다. 토양 경도는 20.2 mm에서 17.9 mm로 11.4% 감소하였으며 작토심은 19.8 cm에서 26.8 cm로 35% 깊어졌다. 간척지 토양 이화학성 개선 효과에 의하여 작물 생육이 향상 되었는데 간척지에 유기물을 투입하고 재배한 케나프의 초장이 비투입 처리에 비해 18.8% 더 성장하였으며 펠릿퇴비와 볏짚 처리에서의 성장 효과가 뚜렷하였다. 생육 향상에 의해 수량도 증가하였는데 간척지에서 유기물을 투입하고 케나프를 재배한 결과 평균 수량이 9,218 kg/10a로 무투입 4,368 kg/10a의 2.1배 까지 증가하였다. 수량 증가를 위해 가장 적절한 유기물원은 펠릿퇴비이었는데 10a당 수량이 10,848 kg/10a로 무투입 대비 148% 높았으며, 볏짚($120%{\uparrow}$), 절단케나프($95%{\uparrow}$) 순으로 수량 증가 효과가 있었다. 간척지 토양 이화학성 개선 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펠릿형, 분말형, 액비형태로 퇴비 투입 형태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토양 이화학성 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형태는 펠릿형 이었다. 퇴비 투입 형태중 케나프 생육 및 수량 향상에 적합한 퇴비 형태는 액비형과 펠릿형 이었는데 펠릿형 처리시 케나프 초장은 41% 커지고 수량은 122% 증가하였으며 액비형은 38%의 생육 촉진과 무투입 대비 127% 수량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답과 간척답에서 사료용벼 재배시 생육특성 및 사료가치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Value of Whole Crop Silage Rice on Paddy Field and Reclaimed Tidal Land)

  • 조광민;백남현;양창휴;신평;노태환;이건휘;이경보;박기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526-531
    • /
    • 2014
  • 본 연구는 간척지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하여 조사료를 생산함으로써 간척지 이용률 증진과 조사료생산의 두가지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일반답과 간척답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하여 생육특성, 총체수량 및 사료가치 등을 조사하였다. 1. 출수기는 일반답에서 8월15일에서 8월30일, 간척답에서 8월14일에서 8월 29일이었으며, 간척답이 일반답보다 1~2일 빨랐으며, 목우는 일반답에서 8월 26일, 간척답에서 8월 27일로 수원 544호를 제외하고는 가장 늦었다. 2. 초장은 일반답에서 105~135 cm범위이었고, 간척답에서 97~126 cm범위였으며 일반답에서는 목양이 간척답에서는 수원544호가 가장 컸다. 주당경수는 일반답과 간척답 모두 녹양이 16개로 가장 많았고 총체수량은 일반답은 $15.26{\sim}23.24MT\;ha^{-1}$, 간척답은 $11.94{\sim}18.89MT\;ha^{-1}$범위이었으며 목우벼가 두지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각품종별 수량은 일반답에 비하여 78~84% 수준이었다. 3. 단백질 함량은 일반답에서는 녹양벼가 높았으나 간척답에서는 6.7~8.7%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고 목양벼가 8.7%로 가장 높았다. 각 품종별 NDF는 31.2~55.5% 수준을 나타냈으며 ADF는 일반답에 비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소화 양분총량을 계산해본 결과 일반답에서 목우벼가 71.2%로 가장 높았고 전체적으로 60%이상의 함량을 보여 간척지에서 재배하여도 사료로서의 가치는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 TDN수량을 비교해본 결과 일반답에서 TDN수량은 목우벼가 $16.54MT\;ha^{-1}$로 가장 높았으며 간척답에서도 $12.69MT\;ha^{-1}$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5. 이상의 결과로 간척지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할 경우 일반답에 비하여 80%정도의 수량을 보여 간척지에서 재배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목우를 재배할 경우 수량 및 사료가치면에서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36종 조경수의 양묘 가능성 검증과 내염성 분류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of a tree nursery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and Classification of 36 Landscape Trees Based on Salt Tolerance)

  • 이경준;송재도;이규화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64-577
    • /
    • 2015
  • 본 연구는 새만금간척지에서 원지반에 묘포장을 조성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내염성수종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0년 조성한 군산시 옥구지역 간척지 원지반토에 2012년 2.0 ha의 묘포장을 조성하고 암거배수를 설치했다. 토양 염도는 토심 60 cm이내에서 2010년 4월 평균 35.2 dS/m이었으나, 2013년도에는 강우제염지역에서 5.13 dS/m, 미제염지역에서 8.20 dS/m로 줄었다. 2013년 4월초 1~4년생에 해당하는 36종(22종 교목과 14종 관목)의 조경수 총 3,943본을 이식하였다. 36종 수목의 첫해 가을 생존율은 평균 71.3%로서 간척지에서 양묘가 가능했다. 봄부터 가을까지 주기적으로 조사한 항목 중에서 묘고, 근원경, 잎 길이, 수관폭, 엽록소함량은 내염성을 판정하는 데 활용하지 못했다. 대신 다양한 수종에 공통된 기준으로 생장상태와 내염성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항목은 신초 생장량, 생존율, 수세(엽량, 가지 고사와 수관 형성 상태) 뿐이었다. 생존율과 수세를 근거로 하여 수종별로 내염성을 최종적으로 판단하였는데, 생존율이 90% 이상이면서 수세가 매우 양호한 3종(위성류, 꾸지뽕나무, 낙상홍)은 "내염성수종"으로 분류하였다. 생존율이 80~89%이면서 수세가 양호한 5종(곰솔, 자귀나무, 쥐똥나무, 해당화, 난쟁이조릿대)은 "간척지 권장수종"으로 분류하였다. 생존율이 70~79%이면서 수세가 보통수준인 9종(느티나무, 무궁화, 보리수나무, 팥배나무, 회화나무, 메타세쿼이아,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 아까시나무)는 "간척지 식재가능수종"으로 분류하였다. 원지반에 원지반토, 준설토, 산림토로 50 cm, 혹은 100 cm 성토를 실시한 시험에서는 원지반토(9.95 dS/m)에서 곰솔의 생존율이 50%로 가장 낮고, 준설토(8.45 dS/m)에서 89%, 산림토(0.9 dS/m)에서 95%로 가장 높았다. 김제 광활지역 간척지에서 3~4년간 양묘한 7개 수종을 옥구지역 원지반토에 이식하였는데, 평균 98.2%의 생존율과 양호한 수세를 보여 이미 간척지 환경에 적응한 개체는 내염성을 가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간척지 온실기초 보강을 위한 심층혼합처리공법의 허용지내력 및 침하량 산정 (Estimation of Allowable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of Deep Cement Mixing Method for Reinforcing the Greenhouse Foundation on Reclaimed Land)

  • 이학성;강방훈;이광승;이수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7-294
    • /
    • 2021
  • 국가관리 간척지내 원예단지 조성에 필요한 기반기술 중에 하나인, 온실기초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고사양의 PHC파일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지반개량공법 중 심층혼합처리공법(DCM) 적용시 허용지지력과 침하량 산정을 통하여 온실기초 공법으로써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새만금간척지 농생명용지 1공구 지반조사를 통해 지반 특성을 파악하고, Terzaghi, Meyerhof, Hansen, Schmertmann 이론식을 적용하여 허용지지력과 침하량을 산정하였다. 직경 800mm를 기준으로, 독립 기초 폭과 길이가 3-6m이고, 기초 심도 3-7m 조건에서 허용지지력과 침하량을 검토하였다. 온실기초 심도가 얕고 콘크리트 매트 간격이 넓을수록 시공비가 절감되는 측면을 고려하여 독립 기초 폭과 길이가 4m, 기초 심도가 3m인 경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독립 기초 폭과 길이가 4m이고, 기초 심도가 3m인 조건에 대한 해석 결과로 허용지지력은 169kN/m2, 침하량은 2.73mm로 지지력은 이론식 대비 5.6%의 오차를, 침하량은 62.3%의 오차범위를 나타냈다. 향후, 위 검증된 설계 값을 기준으로 구조 시험과 침하모니터링을 통해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그 외 나무말뚝, 헬리컬기초 등 유리온실, 내재해형온실에 적용 가능한 기초 공법과의 비교 검증을 통해 각각의 장, 단점을 파악하고 PHC 파일의 대체 가능 유무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는 온실 유형별 시공 공법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산 간척 습지의 식생 생태적 특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nsan Reclaimed Wetlands)

  • 김기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8-335
    • /
    • 2007
  • 대표적인 간척 습지인 경기도 안산 농어촌연구원 배후 습지에서 식물상과 현존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방형구내에서 출현종의 피도와 빈도를 측정하여 중요도를 계산하고 총질소, 전기전도도, 유효인, 질산태 질소, 도로에서의 거리를 환경 인자로 하여 서열분석(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육상 천이로의 진행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 습지내로 침입한 목본의 기저면적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46과 158종의 식물이 기록되었고, 현존 식생으로 갈대가 우점하였다. 서열분석 결과, 종의 분포는 토양내 총질소와 질산태 질소함량에 의해서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기저면적이 $22.3m^2$$1.6m^2$인 아까시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습지내부로 침입하여 일부 지역이 육상화되는 교란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수위 조절과 이동 도로에 의한 구획화가 습지를 훼손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Differences in Spatial Variation of Soil Chemistry Between Natural and Anthropogenic Soils

  • Sonn, Yeon-Kyu;Hur, Seung-Oh;Hyun, Byung-Geun;Cho, Hyun-Joon;Shin, Kook-Si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8-424
    • /
    • 2014
  • The Agricultural Land Remodeling Project was launched for agricultural fields with potential risk of flooding which were placed in low-lying area as a part of agricultural sectors of the National 4 River Project. It induced of the reclaimed agricultural fields on a national scale. The arable lands reestablished by reclamation have caused several big problems such as destruction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us the techniques to solve disadvantages were urgently requir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experimental samples from top soils in three agricultural areas, one from conventional agricultural fields (Hwasun, Jeollanam-do) and the others from reclaimed (remodelled) agricultural fields (Naju, Jeollanam-do and Gumi, Gyeongsangbuk-do), The soil chemistry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 tools such as semi-variance and kriging, and differences between natural and reconstructed soils were examined. The score, R (Ao) which indicates a dependence distance between each chemical element, was as follows; 21.8~43.5 (Conventional, Hwasoon), 4.4~70.6 (Remodelled, Naju) and 5.3~43.6 (Remodelled, Gumi).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emical properties of the reclaimed agricultural fields had a huge variation. Moreover, the result of kiriging maps also represented a ununiform pattern in the reclaimed lan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trongly required to build up the soil type-specific management techniques for the reclaimed agricultural 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