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ANA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all Types of Dybowski′s Brown Frog and Their Variations from Two Recording Areas

  • Park, Shi-Ryong;Cheong,;Yang, Suh-Y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3 no.4
    • /
    • pp.309-313
    • /
    • 2000
  • Since specific typ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uran calls can represent reproductive qualities of a calling male, anuran calls have been studied in context of mate choice. We in here report call types of Rana dybowskii and their variations from two different recording sites. Calls of R. dybowskii are classified to three types based 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observations; 'A-call'functions to advertise locations of a calling male and to attract potential mates. A territorial male emits 'B-call'only during male-male interaction. 'C -call'is released when a male frog was clasped by another male. The A-call from two recording sites, Miwon and Wonju, shows high variations in their call characteristics.

  • PDF

studies on the spontaneous maturation of follicular oocytes of Rana dybowskii in vitro (북방산개구리 난자의 자발적 성숙에 관한 연구)

  • 안련섭;최한호권혁방배동규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6 no.1
    • /
    • pp.109-115
    • /
    • 1993
  • 본연구는 북방산개구리 여포난자의 자발적 성숙과 관련된 몇가지 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자발적 성숙을 일으키는 여포에서 여포조직을 제거하여 denuded 난자를 만든다음 배양했을 때에는 자발적 성숙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들 denuded 난자에 frog pituitary homogenate(FPH, 0.05 gland/ml)를 처리하여도 역시 성숙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progesterone(P4, 0.5 Ig/ml)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성숙이 일어났다. 동면기간에 여포들이 생성하는 P4와 testosterone(T)의 양을 측정해본 결과 동면초에는 비슷한 양의 P4와 T를 생성하였으나 후기에는 P4만 생성하고 T는 거의 생성하지 않았다. 배양액에 estradiol을 첨가하면 농도에 의존하여 FPH에 의해 촉진된 P4의 생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성숙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배양액에 첨가한 hvpoxanthine은 CAMP와 항진적으로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발적 성숙과정에 여포세포와 P4/T 비율의 증가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과 일반적인 난자성숙억제제는 자발적 성숙을 역시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Selective Transport of Vitellogenin into the Oocytes during Oogenesis of Rana (참개구리(Rana nigromuculatu)의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Vitellogenin의 선택적 이동)

  • 이양림;고경희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1
    • /
    • pp.136-144
    • /
    • 1995
  • 참개구리의 난모세포에서 난자형성단계에 따른 vitellogenin(VTG)의 이동이 난모세포막에 의하여 조절될 것이란 생각에 기초하여 단계에 따른 VTG 이동량의 변화와 난모세포막의 변경이 VTG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TG의 이동은 난자형성과정중 특히 초기난모세포에서 가장 활발하였고, 중기 및 말기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bovine serum albumin은 모든 단계의 난오세포에서 이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난자형성과정중 난모세포내로의 VTG 이동은 단계특이적 이고 선택적임을 알 수 있었다. 난모세포막의 막단백질을 trypsin으로 제거시키거나 막단백질의 당잔기를 wheat germ agglutinin(WGh)으로 포화시키든가 혹은 endoglycosidase $\boxDr$로 당잔기를 제거시킨 결과 VTG의 이동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난모세포의 막단백질이 VTG 이동에서 수용체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강하게 암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