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organization cultur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9초

R&D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한 연구 -신뢰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influence of R&D Organizational Culture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diating effects of Trust)

  • 이선규;이다정;장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145-163
    • /
    • 2011
  • 본 연구는 R&D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고 신뢰가 R&D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R&D 조직문화가 조직성과 변수인 기술혁신,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D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변수와의 관계에서 신뢰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조직의 성과달성을 위해 개별조직의 특성에 맞는 창의적인 문화구축과 조직 내 신뢰형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태도개선과 조직성과 향상에 실제적 관리지침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의 R&D조직문화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D Organizational Cultur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이선규;이다정;이상록;정재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4호
    • /
    • pp.101-115
    • /
    • 2009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R&D organization culture(diversity, autonomy, redundancy and connectivity)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s. Hypotheses were tested by surveying 250 employees at R&D Gumi Industrial Complex. The findings of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three factors of R&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except redundancy. Second, two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R&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xcept autonomy and redundancy. it is shown reliable criterion to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PDF

중소기업의 R&D조직문화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D Organizational Culture to Technology Innovation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이선규;이다정;이상인;최동국;손규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2호
    • /
    • pp.41-52
    • /
    • 2011
  • 본 연구는 성공적인 기술혁신을 위해 그동안 간과되어온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특별히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창의적인 R&D 조직문화와 기술혁신과의 관계를 실증검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R&D 조직문화의 구성요인이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으로 기대한 4가지의 가설 중에서 자율성을 제외한 다양성, 연결성, 유연성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D 조직문화의 구성요인이 공정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것으로 기대한 4가지의 가설 중에 다양성과 연결성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내에서 정보의 대처하는 능력과 적응력을 키우고, 조직 내외부의 풍부한 인적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는 것, 다양한 아이디어, 제안 등을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통해 기술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실증요인을 확인한 것이다.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연구개발조직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팀 풍토의 조절효과 및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he Creativity of Team Members in R&D Organization: Mediating Effect of Team Climate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 서정석;김병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84-708
    • /
    • 2017
  • 본 연구는 연구개발조직에서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를 구성원, 팀, 조직의 통합적인 차원에서 분석한다.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다. 리더십의 메커니즘과 효과적인 환경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팀 풍토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 혁신지향적 조직문화와 위계지향적 조직문화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기초과학과 응용과학 등 연구개발활동을 주로 수행하는 4개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 응답 가운데 총 327개의 유효 표본을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 보다 강하게 나타나며 팀 풍토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효과는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연구개발 조직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혁신지향적 조직문화는 창의성을 향상시키고, 위계지향적 조직문화는 창의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자율성과 독립성이 강한 연구개발조직에서 조직문화의 영향력이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연구개발조직에서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리더십은 유형에 따라 직접적 영향뿐만이 아니라 팀과 조직의 맥락에서 간접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in One Korean Private Organization

  • LIM, Taej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17-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ive sub-organizations of one Korean conglomerate company. One thousand employees were randomly and proportionately selected, with 669 useable cases obtained, for a response rate of 67%.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strument used from the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scale (ACNCS) of Allen and Meyer (1990).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Questionnaire" of Watkins and Marsick (1997) was used to measure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e short form MSQ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Weiss, Dawis, England, and Lofquist (1967), was the third instrument us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statistics, and inferential statistics (ANOVA and t-tests) were u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except for continuance) is moderately and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moderately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In additio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is weakly to moderately and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No differences by age were found. Four-year college graduate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creating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i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an graduate school degree holders. Males are likely to have higher affective and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females. Employees working in R&D,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REM) are likely to have higher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do other types of jobs.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an assistant managers. Assistant managers have higher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managers. Managers generally hav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job satisfaction than assistant managers. They also have higher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an employees. Employee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four years in their current job and organization have higher promoting inquiry and dialogue i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an those who have worked for ten years or more. Employees in the insurance organization have higher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an those of the other organizations. Finally, employees of the electronic company have higher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than those of other companies. In summary, this research enables CEOs and HRD and HRM practitioners to view organizational commitment,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s important variables in exploring diverse ranges of topics related to the workplace. And then, they can diversely apply their management, interventions and practices to fit these diverse characteristics.

민간비영리 조직을 통한 보건의료 R&D 방향 설정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Healthcare R&D through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s)

  • 이병희;비케이 안;유기봉;김태현;김봉신;박현춘;이예진;노진원;이승훈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4-87
    • /
    • 2017
  • Purposes: The purpose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healthcare R&D through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 Methodology: The data is divided into two groups: 12 physicians and pharmacists, and 16 persons including professors related to university donation, non-profit foundation executives. Each group was subjected to two Delphi survey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opinion, the content validity ratio and the consensus of experts were verified. Findings: Funding should be invested in 'development research' and 'application research'. The factors that hinder the donation culture are 'donation prevention system such as tax imposition system and rebate double penalty system', 'insufficient motivation of fund raising person', and 'lack of fund specializing specialist'. The fund raising strategy should be centered on a small number of large donors or a balance between large and small donors. The fund raising target should be effective to raise funds for corporate and individual donor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soci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campaign strategy for promoting donation, to announce the validity of the trust and transparency of the institution, and to emphasize the social investment by the private sector. Practical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present directions through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healthcare R&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deficiencies of the domestic nonprofit organization fundraising infrastructure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create a social investment climat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donations and develop various donation programs for the private sector.

Market, Firm, and Project-level Effects on the Innovation Impact of FP RTD Projects

  • Vonortas, Nicholas S.
    • STI Policy Review
    • /
    • 제1권2호
    • /
    • pp.69-88
    • /
    • 2010
  • This paper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the innovation impact of publicly funded R&D projects along three broad dimensions, namely project, firm and market-related factors. In addition to these factors we examine the attributes of the research result per se and aspects of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The observations from empirical and qualitative analyses are based on R&D projects funded by the Fifth and Sixth Research Framework Programmes of the European Union. Firm size, prior experience, innovation culture, the nature of the project itself, explicit intension to commercialize, consortium management and strategy are the factors with the strongest effect on project success, defined in terms of product/process innovation and/or technical knowledge creation. The paper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 objectives, and management of public programmes that fund R&D and for project and participant selection.

연구조직에서의 상사에 대한 신뢰와 지식공유활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정범구;원영숙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2년도 제21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1-156
    • /
    • 2002
  • This study tries to testify that how much knowledge sharing behavior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s affected by the supervisory trust empiric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supervisory trust was the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ultimatel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improved. Specially, the supervisory trust affects job-related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knowledge sharing system behavior. The knowledge sharing culture, however, is no relation with the supervisory trust. Job-related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fluenced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knowledge sharing system influenced only job satisfaction and knowledge sharing culture influenced only organization at commitment. The implication from this paper is that knowledge sharing improve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supervisory trust is important for knowledge sharing in R&D organization.

  • PDF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이 만족도 및 학습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집단 성숙도에 따른 비교 분석 (The Effect of CoP(Community of Practic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Culture Activation in R&D Groups: Based on Comparison Analysis by Group Maturity)

  • 오성호;김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407-420
    • /
    • 2015
  • 본 연구는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이 공동체 활동 만족도와 조직 내 학습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고, 실행공동체의 성숙도에 따른 성숙 집단과 미성숙 집단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실행공동체 담당자들에게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을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 환경요인으로 구성하고, 수집된 총 371개의 설문을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연구 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동에 있어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환경요인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행공동체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문화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동 강화가 조직문화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구개발 직군의 경우 성숙도에 따른 집단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성숙도 보다는 실행공동체 내 상호작용 요인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직의 특성이 개방형 혁신 수용을 통한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여성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MEs on Market Performance through the Acceptance of Open Innovation -Focused on Woman's SMEs-)

  • 서용모;현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31-141
    • /
    • 2019
  • 본 연구는 조직의 특징과 기업의 성과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한 내용이다. 기업의 조직의 문화를 이룬 특징은 바로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기업의 폐쇄적인 문화적 특징을 극복하고 기업가적 지향성, 권한위임, 조직문화의 개방성 및 R&D역량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기업의 특성은 개방형 혁신을 수용하여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하는데도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기업의 특성은 외부자원에 대한 수용과 활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된다. 이러한 변인들은 결국 기업의 조직의 특성이 기업의 성과를 창출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개방형 혁신과 외부자원의 수용도 기업의 성과를 창출하는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기업의 조직문화를 구축하는 변인에 대한 학술적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기업의 조직문화를 운영하는 리더의 역할에 대한 실무적 태도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 기업을 중심으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기업의 전반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적 한계에 대한 극복을 반영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성과 창출을 위한 다양한 변인들을 적용하여 검증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