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oP(Community of Practic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Culture Activation in R&D Groups: Based on Comparison Analysis by Group Maturity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이 만족도 및 학습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집단 성숙도에 따른 비교 분석

  • 오성호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과) ;
  • 김보영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경영학과)
  • Received : 2015.10.13
  • Accepted : 2015.12.08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oP(Community of Practic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culture activation in R&D group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is designed the relationship the effect factors for CoP which are consist of personal factor, interacting factor, support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and satisfaction and the learning culture activation focused on comparing between maturity and immaturity CoP member group. It conducted an analysis based on 371 survey responses significantly. Hence, interacting, supporting and personal factor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but environmental factor was negative effect to it. CoP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culture activation. However average between two groups h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factors. At the result, interacting between member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successful CoP development of R&D groups.

본 연구는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이 공동체 활동 만족도와 조직 내 학습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고, 실행공동체의 성숙도에 따른 성숙 집단과 미성숙 집단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실행공동체 담당자들에게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을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 환경요인으로 구성하고, 수집된 총 371개의 설문을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연구 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동에 있어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환경요인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행공동체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문화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동 강화가 조직문화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구개발 직군의 경우 성숙도에 따른 집단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성숙도 보다는 실행공동체 내 상호작용 요인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E. Wenger, R. McDermott, and W. M. Snyder,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Harvard Business Press, 2002.
  2. 강수현, 이홍주, 임춘성, "융합기술 환경에서 기업성과 향상을 위한 개인역량요인 분석,"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83-193, 2010.
  3. 장희영, 고일상, "CoP(Community of Practice)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환경과 동기요인에 관한 연구: CoP 발전단계에 따른 탐색적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11권, 제3호, pp.35-55, 2012.
  4. 이은철, 최문선, "국내의 실천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연구 동향 분석 및 성공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438-44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438
  5. J. Lave and E. Wenger,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6. E. C. Wenger and W. M. Snyder,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 Vol.78, pp.139-145, 2000.
  7. 최종인, 권상순, "미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실천 공동체 : 특허청을 중심으로," 지식경영학회지, 제20권, 제4호, pp.1747-1773, 2007.
  8. A. Ardichvili, V. Page, and T. Wentling, "Motivation and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Virtual Knowledge-Sharing Communities Of Practice,"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7, No.1, pp.64-77, 2003. https://doi.org/10.1108/13673270310463626
  9. J. Pfeffer and C. A. O'Reilly, Hidden value: How great companies achieve extraordinary results with ordinary people., Harvard Business Press, 2000.
  10. E.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John Wiley & Sons, 2010.
  11. 이갑두, "기업의 학습복잡계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390-415, 2014.
  12. 신형재, 권용만, 김진수, 신태호,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있어 자식공유의 조절효과 분석," 경영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pp.457-479, 2013.
  13. K. S. Cameron and R. E. Quinn,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The Jossey-Bass, 2011.
  14. 정한규, 손태원, "연구개발조직의 창의적 연구환경과 효과성: 정부출연연구기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제12권, pp.127-165, 2004.
  15. E. Wenger,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실천공동체, (주)학지사, 2007.
  16. 유선주, 최은수, "교사의 학습 몰입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Andragogy Today, 제16권, 제2호, pp.147-173, 2013.
  17. R. Agarwal and E. Karahanna,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Vol.24, No.4, pp.665-694, 2000. https://doi.org/10.2307/3250951
  18. 김인학, 고준, "CoP(Community of Practice) 에서 동기특성, 활동특성, 인구통계특성이 지식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10권, 제2호, pp.133-147, 2011.
  19.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1, pp.1297-1343, 1976.
  20. 신유근, 조직행위론, 서울: 다산출판사, 1994.
  21. 이종훈, 김성환, "학습공동체 교수자의 조직학습 구축과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 학습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Andragogy Today, Vol.17, No.4, pp.231-251, 2014.
  22. 김인학, 이지현, 고준, 김희웅, "CoP(Community of Practice)의 지식공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oP 참여기간의 조절효과," POSRI 경영경 제연구, 제10권, 제1호, pp.23-38, 2010.
  23. 김나영, 강정은,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958-96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58
  24. 박경수, 오승원, "온라인 실행공동체에서의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 : 관계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03-124, 2014. https://doi.org/10.9716/KITS.2014.13.1.103
  25. 고윤정, 강주선, 김종기, 고일상, "지식공유활동 및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자발적 지식제공의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전문, 비전문 지식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3권, 제6호, pp.2175-2199, 2014.
  26. 임숙경, 조용하, "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및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Andragogy Today, 제11권, 제4호, pp.53-76, 2008.
  27. J. S. Brown and P. Duguid, "Organizational learning and communities-of-practice: Toward a unified view of working, learning, and innov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2, No.1, pp.40-58, 1991. https://doi.org/10.1287/orsc.2.1.40
  28. R. A. Noe and N. Schmitt, "The Influence of Trainee Attitudes on Training Effectiveness?: Test of a Model," Personnel psychology, Vol.39, pp.497-523, 1986. https://doi.org/10.1111/j.1744-6570.1986.tb00950.x
  29. 이건호, 민진영, 허동철, 이준영, 이희석, "CoP 내 지식통합과 CoP 성과 연구: 사회적 자본과 CoP 구성 다양성을 기반으로," 지식경영연구, 제15권, 제2호, pp.129-145, 2014.
  30. 이홍재, 박성종, 한수영, "개인동기 및 조직후원 요인이 CoP 참여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제28권, 제5호, pp.383-403, 2013.
  31. J. E. Dutton and J. M. Dukerich, "Keeping an eye on the mirror: Image and identity in organizational adapt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4, No.3, pp.517-554, 1991. https://doi.org/10.2307/256405
  32. R. McDermott, "Why Information Technology Inspired But Cannot Deliver Knowledge Management," Knowledge and communities, Vol.41, No.4, pp.21-35, 2000.
  33. 류성렬, 구철모, 서우종, "실행공동체와 조직의 지식교환에 대한 실증연구 : 조직지원, 신뢰,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22권, 제1호, pp.99-128, 2009.
  34.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Y. Lee, and 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No.5, pp.879-903, 2003. https://doi.org/10.1037/0021-9010.88.5.879
  35. J. C. Nunnally and I. 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67.
  36. 이영은, 기영화, "서울시 지방자치단체 학습동아리 참여공무원의 집단효능감이 학습만족도에 마치는 영향," 평생교육.HRD연구, 제6권, 제4호, pp.23-42, 2010.
  37. 이기환, 평생교육학습자의 참여동기와 만족도: 관공서의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8. 윤태인, 학습전이풍토가 공식적 무형식학습 만족도를 매개로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9. I. Nonaka and H. Takeuchi,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40. 방유성, 이명성, "성공적 지식경영을 위한 CoP 운영전략 : S사의 지식경영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제1권, 제1호, pp.127-137, 2000.
  41. 최종진, 정남호, 조용말, "창의적 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차세대 지식경영 구현사례 : 포스코," 지식경영연구, 제9권, 제1호, pp.147-161, 2008.
  42. 김영순, 실행공동체의 특성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효과의 조직성과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06, 2005.
  43. 정의상, 실행공동체(CoP) 활성화 요인이 지식학습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3, 2005.
  44. 박문수, 문형구, "집단간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5권, 제2호, pp.1-23, 2004.
  45. 이정은, 김진모, "실행공동체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및 조직성과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1-2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