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of teaching

검색결과 819건 처리시간 0.04초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성과 교직윤리의식이 교사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Disposition and Teaching Ethics on the Teacher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78-287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교직인성과 교직윤리의식이 교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I시에 소재하는 있는 예비유아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으로 Cronbach's α를, 각 변인간의 관련성으로 상관관계 분석, 다면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지각한 교직인성에서는 도덕성과 교육적신념이, 교직윤리의식에서는 영유아에 대한 윤리 및 가정에 대한 윤리가, 교사역량에서는 교육과정 이해와 유아보호 및 유아 학습지원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직인성, 교직윤리의식, 교사역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인성의 하위요인과 교직윤리의식의 하위요인이 교사역량의 모두에 긍정적인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유아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사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질 높은 유아교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올바르고 긍정적인 교사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과학영재 교수방법에 대한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지식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in Teaching Method for the Science-Gifted Students)

  • 여상인;진현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94-105
    • /
    • 2012
  • 이 연구는 세 명의 초등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영재교육 교수방법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세 명의 교사는 모두 영재교육연수를 이수하였으며, 주위로부터 영재교육 전문성이 높다고 추천을 받은 교사이다. 두 명의 교사는 영재교사 경력이 5년 이상이고, 한명의 교사는 영재교사 경력은 1년이나 교직경력은 11년이었다. 참여 교사의 수업지도안, 수업관찰, 교사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수업자료와 면담자료는 전사된 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보였다. 첫째, 교사들은 영재교육을 위한 여러 가지 교수-학습 모형은 인지하고 있었지만, 렌줄리의 3부 심화학습모형을 가장 잘 알고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자원에 대하여 교사들은 주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 셋째, 교사들은 영재학생의 수준과 특성에 맞게 보급된 영재교육 프로그램들을 재구성하였지만, 실제 영재수업에서는 충분히 발현되지는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 PDF

지식정보화사회에 었어서 ICT 활용을 위한 교수전략에 대한 고찰 (The Study 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 이경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6
    • /
    • 2002
  • 정보와 통신공학의 발달에 따른 지식정보화사회에서 교육 특히 교수 학습과정이 중심이 되는 교실수업은 정보통신공학(ICT)을 활용함으로써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 그 자체가 지식정보사회의 교육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ICT와 교육환경과의 상호작용, 교사역할의 변화,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교수내용과 학습방법을 위한 교수전략 변화 등이 있어야 하며, 그 방향과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뒤따라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과 정보공학과는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지식기반사회의 중심에 있는 정보통신공학들을 학교교육에서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변화와 교수전략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외국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7차 교육과정을 위한 ICT 환경을 살펴봄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식정보화 사회의 교육을 위해서는 교실환경과 정보통신공학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이 되어야 하고, 둘째 ICT 교실이 만들어내는 구성주의적 교수 학습과정에서 교사는 지식전달자와 학습관리자 중심의 역할에서 벗어나 사회적이고 대화적인 사고과정을 추진하며 정보통신공학을 교수에 통합시키는 교육적 접근을 해야 하며, 셋째 비판적 사고 생산적 사고 창조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교수전략을 구사해야 된다고 제안하였다.

  • PDF

일반인의 청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ring Ability of Ordinary People on the Quality of Life)

  • 김석환;오지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2-167
    • /
    • 2018
  • Background: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analysis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and quality of life and to prepare effective troubleshooting. Methods: In this study, we analyzed using the data of the 6th term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the Disease Management Headquarters. And, out of 7,380 people, 3,598 adults over the age of 4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hearing test were selected as final research subjects and analyz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the analysi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hearing. The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was unpleasant, motor ability, anxiety/depression, and everyday life affected in order of self management. And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study subjects were found to be gender, elderly, unmarried, low hearing, low household income, absence of economic activity, and low teaching standards. Conclusion: The conclusion is that strengthening education for realistic management and prevention rather than treatment for unconditional hearing impairment will overcome low self esteem and loneliness and alleviate any uncomfortable life that people with hearing loss give.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재활프로그램이 유방암절제술 환자의 신체건강, 생리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Rehabilitation Program on Physical Health, Physiological Indicator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Mastectomy Patients)

  • 박형숙;조규영;박경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0-32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rehabilitation program on physical health, physiological indicator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mastectomy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thirty-one patients with breast cancer(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rehabilitation program for 10 weeks, which was composed of an exercise program, teaching, counseling and support for 2 sessions per wee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flexion,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but no significant increase in exten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LDL, and CD56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fatigue in tha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gram. Conclusion: The 10-week rehabilitation program showed a large affirmative effect on physical health, physiological indicator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mastectomy patients.

수업디자인 모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수업 개선의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to Improv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Designing College Courses Model)

  • 김희영;김윤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9-17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Methods: Participants were 132 students who took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at D university in N city. The study included processes of planning, action, observation, and reflection.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and qualitative data were evaluat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12-step designing college courses model by Fink was applied in the planning. In the acting stage, the course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in designing the course, students wrote reflective journals and the professor gave feedback to the reflective journal and the class observation journal was used for lessons. In the observation stage, the course evaluation was surveyed and analyzed, evaluations were positive with 47.1% of students positively evaluating the teaching strategy. In the reflecting stage, outcomes in course improvement were reflected 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at the lower level-of-achievement decreased. Conclusion: Action research was a useful research method that could capture th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in college courses. Expression of effort and passion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action research in various ways and to share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for nursing education are important.

모바일러닝에서 실재감, 서비스의 질,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ence, Service Quality,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Mobile Learning)

  • 주영주;정애경;강정진;정보경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69-175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서비스 질, 학습몰입과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국내 W 디지털대학교에서 모바일서비스를 사용하는 학습자 25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서비스 질은 학습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실재감, 서비스 질, 학습몰입은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바일러닝 환경에서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지식기반 e-Learning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based e-Learning Model)

  • 노규성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1-68
    • /
    • 2007
  • e-Learning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e-Learning을 통한 학습 효과와 효율이 지금보다 더 높아져야만 한다. 이는 콘텐츠 기획, 교수설계 등을 반영한 콘텐츠의 품질을 고려하는 미시적 관점과 실제 현장에서 의도한 학습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거시적 관점 모두가 반영될 때 비로서 가능해질 것이다. 미시적 관점에서의 학습효과는 e-Learning 콘텐츠의 품질에 달려있고 콘텐츠의 품질은 그 개발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콘텐츠 개발모델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의 품질을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콘텐츠 개발 및 운영시 관련되는 지식을 활용하는 지식기반 e-learning 모델과 관련 지식에 관해 논의한다.

  • PDF

e-Learning 강의 지원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 I 대학 교수.학생.도서관서비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ate Methods for Digital Contents Service to Support Academic Courses in e-Learning)

  • 이종원;고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89-1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최근 변화된 강의환경을 고려하여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용 디지털 콘텐츠와 대학의 e-Learning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의 환경하에서 요구되어지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강의를 이용하고 있는 I 대학의 교수 학생을 대상으로 e-Learning 강의 지원에 미치는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상용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도서관의 상용 디지털콘텐츠 제공 서비스 품절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측정모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Digital Library Service Quality Index(이하 DL-SQL모형이라 함)을 바탕으로 4개의 차원(정보시스템 품질, 디지털장서 품질, 고객서비스 품질, 고객커뮤니티 품질)과 7개의 구성요인(검색성, 전담조직 및 인터페이스, 접근성, 디지털장서, 고객지원서비스, 개인화서비스, 고객커뮤니티) 등을 일부 수정하여 디지털 콘텐츠관련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디지털콘텐츠 관련 도서관서비스에서 "고객서비스"와 "고객커뮤니티" 품질 서비스는 "정보시스템"과 "디지털장서"에 대한 품질 서비스보다 e-Learning 강의 지원과 학습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Learning 강의를 개설하는 교수와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대학도서관에서 상용 디지털콘텐츠를 구입하여 제공하는 양적 푸싱 서비스 보다는 도서관의 대 이용자 고객맞춤정보 서비스가 e-Learning 강의지원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e-Learning 강의와 연계된 디지털콘텐츠 구축관련 정책수립시 참고해야 할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