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infiltrate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생한 폐침윤에서 기관지내시경과 수술적 폐생검의 유용성 (Bronchoscopy and Surgical Lung Biopsy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ulmonary Infiltrates in Immunocompromised Hosts)

  • 박상준;강수정;고영민;서지영;김호중;권오정;이홍기;이종헌;정만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195-208
    • /
    • 1999
  • 연구배경: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생한 폐침윤은 진행속도가 빠르고 이로 인한 사망률이 매우 높아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 개시가 필요하지만, 정상 면역기능을 가진 환자에 비해 비침습적인 방법만으로 확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들은 면역저하 환자에서 발생한 폐침윤의 진단에 있어 침습적 진단수기인 기관지내시경과 수술적 폐생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1995년 10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면역저하환자 중 새로운 폐침윤이 발생하여 기관지내시경이나 수술적 폐생검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료 기록과 방사선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1) 대상환자는 70명이었으며 총 75례의 폐침윤이 발생하였다. 남자가 46명, 여자가 24 명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51세(12~88세)였다. 기저질환으로는 혈액악성종양이 30명, 장기이식 11명, 고형종양 12명, 결체조직질환 6명, 기타 11명이었다. 2) 폐침윤의 원인이 확진된 경우는 75례중 53례 (70.7%)였고, 이 중 감염성 원인이 70.2%이었다. 3) 기관지내시경 검사는, 시행받은 60례 중 21례에서 확진이 가능하여 35.0%의 진단율을 보였다. 기관지폐포세척술의 진단율은 31.4%, 경기관지폐생검술은 25.0%였다. 수술적 폐생검을 시행받은 20례(80.0%)에서 화긴이 가능하였다. 4) 기관지내시경 후 치료방침의 변화는 전체 60례 중 24례(40.0%)에서 관찰되었고 수술적 폐생검의 경우 25례 중 9례(36.0%)에서 관찰되었다. 5) 입원기간 중 생존율은 70.7%(53/75)였다. 폐침윤의 확진 여부와 생존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기관지내시경과 수술적 폐생검으로 원인이 확진된 환자들의 생존율은 75.6%, 확진이 안된 경우의 생존율은 64.7%였다(p>0.05). 반면에 치료방침의 변화가 있었던 군에서의 생존율(84.4%)은 그렇지 못한 군(60.5%)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24). 결론: 기관지내시경과 수술적 폐생검은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생한 폐침윤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기관지내시경이나 수술적 폐생검이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하여는 경험적 치료군과의 대규모 전향적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미만성 폐포 출혈의 임상 양상과 예후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ffuse Alveolar Hemorrhage : A Retrospective Study of 21cases)

  • 함형석;노길환;강은해;강수정;안창혁;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5호
    • /
    • pp.614-623
    • /
    • 2000
  • 배경 및 방법 : 미만성 폐포 출혈은 객혈, 호흡곤란 및 빈혈을 동반하며 단순흉부방사선사진상 미만성 폐포성 음영이 급성으로 진행하는 질환이다. 교원성 질환에 의한 경우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으나, 비교원성 질환에 의한 경우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으나, 비교원성 질환에 의한 경우 보고된 바가 적어 저자들은 폐포 출혈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2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과 : 1) 21명의 환자들 중 교원성 질환 환자는 13명(61.9%)이었고, 이 중 전신성 홍반성 낭창이 10례(76.9%)로 가장 많았다. 비교원성 질환 환자는 허혈성 심부전, 승모판 폐쇄부전증으로 인한 심부전, 급성 골수성 백혈병(M2), 비소세포폐암, 자궁경부암의 폐전이와 기타 폐부종, 폐렴 및 급성호흡부전 증후군 등의 예였다. 2) 교원성 질환군에서 여자 환자가 더 많았던 것 외에 임상적 발현 차이는 없었고, 임상 양상으로는 호흡곤란(95.2%), 기침(76.2%), 객혈(61.9%), 발열(33.0%) 순이었다. 크레아티닌은 교원성 질환군이 비교원성 질환군보다 더 높았고($3.26{\pm}3.15$ mg/dl vs. $1.19{\pm}0.94$ mg/dl, p=0.030), 교원성 질환군 환자 13명중 8명(61.5%)이 산장 질환을 동반하였다. 혈색소의 감소 차이는 $2.69{\pm}1.26$ g/dl 였다. 단순흉부방사선사진상 미만성 폐포음영이(85.7%) 가장 많았고, 미만성 폐포음영이 가장 심한 소견이 혈색소의 감소가 가장 심했던 날보다 $1.38{\pm}4.22$일 늦게 나타났다. 3) 교원성 질환 환자의 경우 대부분 methlyprednisolone pulse, 혈장교환술, cyclophosphamide pulse로 투여하여 사망률은 23.1%였고, 비교원성 질환의 경우 보존적 치료를 하였고 사망률은 50.0%로 높았다. 결론 : 미만성 폐포 출혈은 객혈이 없더라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른 임상증상이 있으면 의심해 봐야 한다. 교원성 질환군에서 신장을 동시에 침범한 경우가 많았다. 교원성 질환 환자에서 혈색소의 감소보다 방사선학적으로 악화되는 소견이 하루이상 지연되므로 혈색소의 감소가 임상적 진단에 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며, 예후는 교원성 질환이 동반되었을 때보다 비교원성 질환이 원인일 때 불량하다고 사료된다.

  • PDF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폐 병변을 가진 면역글로불린 G4 관련 폐 질환: 증례 보고 (Immunoglobulin G4-Related Lung Disease with Waxing and Waning Pulmonary Infiltrates: A Case Report)

  • 백요한;박종민;박병건;임재광;임춘근;서안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6호
    • /
    • pp.1373-1377
    • /
    • 2023
  • 면역글로불린 G4 (immunoglobulin G4; 이하 IgG4) 관련 폐 질환은 다양한 임상 경과를 가질 수 있다. 우리가 아는 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폐 침윤을 동반한 IgG4 관련 폐 질환의 단독 보고는 매우 드물다. 36세 여성이 수술 전 평가에서 폐에 결절성 및 둥근 모양의 간유리음영을 발견했다. 폐 병변은 후속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였다. 병변은 수술 후 IgG4 관련 폐 질환으로 확인되었다.

Ibuprofen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호산구성 폐렴 1예 (A Case of Eosinophilic Pneumonia with Ibuprofen as the Suspected Etiology)

  • 조성연;이양덕;조용선;김정념;한민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206-210
    • /
    • 2003
  • 호산구성 폐렴은 폐 간질내에 호산구의 침윤을 보이는 질환으로 말초 혈액에서의 호산구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많은 약제가 호산구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지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에 의한 증례는 드물다. 하지만, 비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종류가 많아지고 이의 오용과 남용이 증가하여 이에 의한 호산구성 폐렴의 발생도 증가하리라 사료된다. 저자들은 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남자 환자에서 ibuprofen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호산구성 폐렴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종괴로 발현한 원발성 폐 혈관중심성 림프종 1예 (A Case of Primary Pulmonary Angiocentric Lymphoma Manifested as a Mass)

  • 권형주;박영우;이무열;이철호;김진관;김미영;황인석;유흥선;황순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426-431
    • /
    • 1999
  • 저자등은 건성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여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검사 소견상 우측 폐야에 거대종괴가 관찰되어 우하엽 절제술 및 면역조직화학 검사상 T 세포 기원의 혈관중심성 림프종으로 진단받은 1예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Korean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Interstitial Lung Diseases: Part 1. Introduction

  • Park, Sung-Woo;Baek, Ae Rin;Lee, Hong Lyeol;Jeong, Sung Whan;Yang, Sei-Hoon;Kim, Yong Hyun;Chung, Man Pyo;Korean Interstitial Lung Diseases Study Group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4호
    • /
    • pp.269-276
    • /
    • 2019
  •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 (IIP) is a histologically identifiable pulmonary disease without a known cause that usually infiltrates the lung interstitium. IIP is largely classified into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diopathic 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 respiratory bronchiolitis-interstitial lung disease (ILD), cryptogenic organizing pneumonia,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 and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Each of these diseases has a different prognosis and requires specific treatment, a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at combines chest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histological findings, and clinical findings is necessary for their diagnosis. Diagnosis of IIP is made based on clinical presentation, chest HRCT findings, results of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histological findings. For histological diagnosis, video-assisted thoracoscopic biopsy and transbronchial lung biopsy are used. In order to identify ILD associated with connective tissue disease, autoimmune antibody tests may also be necessary. Many biomarkers associated with disease prognosis have been recently discovered, and future research on their clinical significance is necessary. The diagnosis of ILD is difficult because patterns of ILD are both complicated and variable. Therefore, as with other diseases, accurate history taking and meticulous physical examination are crucial.

객혈 양상으로 발현된 Amiodarone 폐독성 1예 (Insidious Onset of Amiodarone Pulmonary Toxicity Presented with Hemoptysis)

  • 김헌국;정복현;한군희;황정원;조영주;박용진;정형정;김미혜;류대식;강길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413-417
    • /
    • 2005
  • Amiodarone을 사용하는 환자에서 객혈이 발생하였을 경우 원인으로 amiodarone의 폐독성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며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임상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저자들은 저용량의 amiodarone을 장기간 사용하던 환자에서 발생한 객혈을 약물 투여 중지 및 대증적 치료로 호전시킨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흉막 유출액을 동반한 베체트병 l예 (A Case of Behcet's Disease with Pleural Effusion)

  • 한요셉;유지홍;노정현;남기덕;양형인;강홍모;이무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6호
    • /
    • pp.850-856
    • /
    • 1999
  • 저자들은 31세 남자환자에서 고열, 흉막성 흉통 및 흉막 유출액의 임상증상을 보이며 검사상 다발성 혈관염 소견을 보였으며, 결핵성 흉막염 및 불명열로 오인되었던 베체트병을 부신피질 호르몬제 및 colchicine,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을 이용하여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미만성 폐림프관종증과 동반된 양측성유미흉 -수술치험 1례 보고- (Bilateral chylothorax with diffuse pulmonary Iymphangiomatosis)

  • 김경렬;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360-364
    • /
    • 1996
  • 유미흉이란 유미액이 유출되는 현상이다. 그리고 드물게 미만성 폐림프관종증도유미흥을유발하나 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교실에서는 유미흥을 동반한미만성 폐림프관종증을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바이다. 환자는 3세된 여자로 기 침과 발열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단순 흉부 될영상 양측성 흥막 유출 소견과 간질성 침윤 소견을 보였다. 검사실 소견상흥막 유출은유미액으로밝혀 졌으며,폐쇄식 흥강내 삽관술로조절되지않아흥관결찰술을시행하였다. 병리 조직 검사상흥막과 소엽간중격에서 림프관을따라내퍼세포들이 연결되어 있었으며 림프관이 증식된간질부위에평활근조직을관찰할수있었다. 술후, 수차례의 화학적 홍막 유착술을 시행하여 유미흥을 치료하였으며 환자는 퇴원후 10개월동안 특별한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다.

  • PDF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메살라진 투여 후 발생한 호산구성 폐렴 1례 (A Case of Mesalazine-induced Eosinophilic Pneumonia in a Patient with Ulcerative Colitis)

  • 박지영;강홍모;김수영;한요셉;조용선;김효종;유지홍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5호
    • /
    • pp.474-481
    • /
    • 2001
  •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폐주변부에 발생하는 진행성 폐침윤과 기침, 발열,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계 증상, 말초혈액내 호산구중다중의 발현, 다른 호산구중다중을 유발할 만한 약제나 기생충 감염 등의 원인이 없는 경우에 메살라진이나 설파살라진에 의한 호산구성 폐렴의 가능성율 생각하고, 약제 투여 중단과 스테로이드 사용을 고려해야 하며, 기관지경을 통한 기관지 폐포액에서 호산구 증가와 lymphocyte stimulation test, 폐생검올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저자들은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진 메살라진에 의한 호산구성 폐렴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