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Surgical Procedure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6초

폐암 수술 후 운동의 효과: PubMed 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iveness of Exercise after Lung Cancer Surgery: A Systematic Review in PubMed Database)

  • 정의민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49-16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after lung cancer surgery. Methods Releva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searched in PubMed database. The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hrough flow diagram. The risk of biases were assessed through the Cochrane guideline.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were extracted from each study. Meta-analyses of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6-minute walk test (6MWT), quality of life (QoL), pulmonary complications were conducted. Results 14 RCTs were selected. In meta-analysis, exercise improved FEV1 (mean difference [MD] 0.14; 95% confidence interval [CI] 0.04 to 0.25; p=0.009; I2=55%) and mean change of FEV1 (MD 0.11; 95% CI 0.02 to 0.20; p=0.02; I2=0%). Exercise increased the distance of 6MWT, but there was considerable heterogeneity (MD 45; 95% CI 21.16 to 68.83; p=0.0002, I2=89%). There was no differences in QoL scores by 2 questionnaires (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short form-36). Exercise reduced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MD -3.32; 95% CI -5.27 to -1.36; I2=0%; 2 studies) but not duration of chest tube intubation (MD -1.37; 95% CI -2.81 to 0.06; I2=0%) and incidence of pulmonary complications (pooled risk ratio 0.54; 95% CI 0.23 to 1.30; I2=0%). Conclusions Exercise might reduce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after lung surgery. There was not enough evidence to prove improvement of lung function, aerobic capacity, muscle strength, QoL, and decline of pulmonary complications. Low-quality risk of bias, different units or estimation of outcome, different exercise type and duration, heterogeneity among studies make the evidence of effectiveness weak. Future researches are required to redeem these defects.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에서 폐절제술 후 일차 항결핵제 치료 (Pulmonary Resection Combined with Isoniazid-and Rifampin-based Drug Therapy for Patients with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 박승규;김진희;박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79-185
    • /
    • 2005
  • 배 경 : 다제내성 폐결핵환자에서 폐병소의 근치절제술 후 일차 항결핵제로 구성된 처방으로 치료하였을 때의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향적 연구로 국립마산결핵병원에서 1998년 2월부터 2004년 12월 사이에 다제내성 폐결핵으로 수술전 HRCT에서 공동을 포함하는 국소적 병소인 것과 수술 중에 절제부위 이외에 잔존병소가 없다고 판단 된 환자 17명에게 수술 후 3HERZS/3HERS/6HER로 투약하고 그 임상적 경과를 살펴보았다. 결 과 : 대상환자들은 약제감수성검사에서 INH, RFP이외에 평균 4가지 항결핵제에 내성을 보였으며, 술 후 균음전은 평균 2일째 이루어졌다. 평균 39개월의 추구관찰 기간 동안 치료를 중단한 1명을 제외한 94%(15/16) 환자에서 치유되었으며 균음전에 실패한 1명과 치료종결하고 약 7년 후에 재발된 1명은 본원의 처방지침에 따라 이차 항결핵제로 처방을 변경 투약하여 모두 균음전에 성공하였다. 결 론 : 국소적 병변을 가진 다제내성결핵 환자에서 병소의 근치절제후 일차 항결핵제로 구성된 처방으로도 양호한 치료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험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경험과 병소별 결핵균 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기흉에 대한 Thoracoscopy 의 임상적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oracoscopy on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영태;김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8권1호
    • /
    • pp.19-28
    • /
    • 1975
  • The thoracoscopic study was reported on 21 case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requiring surgical management, and clinical values of thoracoscopic examination on spontaneous pneumothorax were also discussed. patients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or the period of two Years from May 1972 to April 1974. For exact detection of etiologic factors on spontaneous pneumothorax, the thoracoscopic examination in the intrapleural space was performed in parallel with X-ray study. this study, the difference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significance between radiological and thoracoscopic findings were observed and compar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Patients age was distributed between 3 and 70 years old with highest incidence in the age group of sixty decade [33. 3%], and sex ratio of male to female was 5:2. The tuberculous processes which developed superficial subpleural layer in the lung parenchyme, on the pulmonary surface could be observed by thoracoscopic examination in a characteristic picture. detection ratio of pulmonary tuberculosis by the radiologic study to that by thoracoscopy was 8:2. The adhesion between the visceral and the parietal pleura which could possibly make a rupture of the alveola and the visceral pleura was found to be localized in a small area of the lung surface. The other part of the lung surface was free of the adhesion and,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lung took place completely without any difficulty. The ruptured orifice of the pleura and pathological changes surrounding the orifice can be detected by thoracoscopy, but not by other means such as radiologic examination. A single tuberculous bleb and multiple emphysematous blebs were found on 6 cases out of 21 case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Among these cases, radiologic Study revealed the bleb only in one patient. On the other hand, the blebs were found in all the six patients by means of thoracoscopic examination. It gives the detection ratio of bleb by radiologic study to that by thoracoscopy was 1:6. By thoracoscopy, the rupture on the lung surface were visualized on the 10 patients out of a total of 21 patients [10 patients of visual rupture]. However, the rupture of the pleura was not observed on the rest of 11 patients even by thoracoscopic examination [11 patients of non visual rupture]. Five patients [50%] out of ten who had the visual rupture on the lung surface was required a surgical operation to remove pneumothorax. For the patients who were detected to have the visual rupture of the pleura by thoracoscopy, be considered in the early stage of closed thoracostomy. of 21 patients, 16 patients [11 patients of non visual rupture of the pleura and 5 patients of visual rupture of the pleura] who received no surgical management, were treated with closed thoracostomy with continuous suction, and the` pneumothorax was healed completely up in each cases. Therapeutic measures for the remaining 5 patients of visual rupture of the pleura who were subjected to surgical approach for radical treat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 were accordingly complicated, and the following different procedures were properly indicated case by case, that is, rib resection thoracostomy, simple closure of ruptured visceral pleura, wedged resection of the lung, and lobectomy.

  • PDF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에 대한 양심실 교정의 수술 성적: 18년 치험 (Surgical Outcome of Biventricular Repair for Double-outlet Right Ventricle: A 18-Year Experience)

  • 이정렬;황호영;임홍국;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안규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566-575
    • /
    • 2003
  •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에 대한 양심실 교정의 18년간의 임상 성적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신 및 방법: 1986년 5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으로 양심실교정을 받은 1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남자 80명, 여자 32명) 형태학적 특성, 수술방법, 조기 사망과 재수술에 대한 위험 인자를 분석하였고, 생존율과 무재수술 생존율을 살펴보았다. 결과: 심실중격결손의 유형은 대동맥하형이 가장 흔하였고(n=58, 52%) 비교통형이 두 번째로 많은 유형이었다 n=32, 29%). 수술 방법은 심실 내 배플 수술(n=71, 63%),좌심실-대동맥 배플 후 우심실-폐동맥 인조도관 삽입술 또는 REV수술(n=24, 21.4%), 동맥전환술(n=14, 12.5%), Senning 술식(n=3, 2.7%) 등이었다. 34명(30%)에서는 교정 수술 전 고식 수술이 필요하였으며, 23명(21%)의 환아에서는 교정술 후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조기 사망은 12명(10.7%)이었고, 4예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 조기 사망의 위험인자로는 수술 당시 3개월 이하의 연령군(p=0.003), 심폐기 가동시간 및 대동맥 차단시간(p=0.015, p=0.067), 수술방법(동맥전환술)(p <0.001)과 심실중격결손의 유형(폐동맥하형(p=0.002)이 있었고, 다변량 석에서 3개월 이하의 수술 연령이 의미있는 위험 인자였다(p=0.011). 재수술의 위험인자는 교정술시 연령(1세 미만, p=0.02), 교정술 시 폐동맥분지성형술(p=0.024), 심실중격결손증의 유형(비교통형)(p=0.001), 수술 유형(인조도관 삽입술 및 REV수술)(p=0.028, p=0.017)이었고, 다변량분석에서 의미 는 위험 인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추적 관찰은 91명에서 이루어졌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10.8$\pm$56.4 (2~201)개월이었다. 5년, 10년 및 15년 생존율은 86.5%, 85%, 85%이었고 무재수술 생존율은 85%, 71.5%, 70% 이었다. 결론: 연구 결과 3개월 이하의 수술 연령군, 폐동맥하형 심실중격결손의 경우 조기 사망률이 의미있게 높았으며 이들 대부분은 동맥전환술을 받은 환아였다. 또한 비교통형 심실중격결손 환아와 페동맥 인조도관 삽입술 및 REV수술에서 재수술률이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형태학적 특성과 연령을 고려하여 양대혈관우심실기시증에 대한 수술 전략을 수립하면 양심실 교정은 좋은 장기 성적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농흉의 외과적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Surgical Treatment for Thoracic Empyema)

  • 오철수;김근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1권4호
    • /
    • pp.516-522
    • /
    • 1978
  • In spite of recent improvement of the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s, there are many significant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thoracic empyema. This is a clinical analysis of 49 cases of thoracic empyema who underwent lung decortication for a period of 6 years and 5 months extending from May, 1972 to Aug. 1975.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Male to female ratio was 2. S to 1. The age ranged between Sand 69, bnt was mostly 2r.d and 5th decade. The underlying diseases were pulmonary tuberculosis (30 cases, 61. 1 SO, , ), posttraumatic hemothorax (7 cases, 14.396). pneumonia (6 cases, 12.2%), lung abscess (2 cases, 4.2%), paragonimiasis (2 cases, 4.2%). spontaneous pneumothorax (1 case, 2.1%), and unknown origin (1 case, 2.1%). In 13 cases (26.5%), positive bacterial growth on culture was reported. There were single infection in 11 cases and mixed infection in 2 cases. The organisms grown were Staphylococcus, alpha-hemolytIc Streptococcus, Alkaligenes fecal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SerratIa, Enterobacter agglomerans, and Enterococcus in order of frequency. Staphylococcus, Streptococcus, and Serratia were sensitive to several different kinds of antibiotics. But Pseudomonas, Escherichia co:i, and Enterococcus were sensitive to only one or two antibiotics. Leukocytosis was observed In acute empyema, but not in chronic empyema.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all within normal limits. Preoperative liver function tests were within normal limits in most of the cases. In 49 cases, lung decortication alone was performed in 40 cases (S1. 696), and for the remaining 9 cases (1S. 4%), additional surgical procedures were necessary, i. e., lobectomy (6cases). partial thoracoplasty (2 cases), and lobectomy & partial thoracoplasty (1 cases). The results of lung decortication in thoracic empyema were goed. 38 cases (77.5%) healed with no complication, and 10 cases (20.4%) were complicated by bleeding, wownd infection, pleural infection, chondritis, and psychosis. These complications resolved ultimately leaving no sequelae. One death was recorded (2.1%), and the causes of death were postoperative pleural infection, sepsis and hepatic insufficiency.

  • PDF

폐국균종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Pulmonary Aspergilloma -Analysis of 12 cases-)

  • 박서완;이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30-535
    • /
    • 1996
  • 폐국균증은 Aspergillus fulmigatus라는 곰팡이에 의 해 폐공동에 유발되는 위 협적 인 기 회 감염으로 외 과적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부산대 학교병 원 흉부외과에서는 1984년 1월부터 1994년 8월라지 폐국균종으로 진단된 12명의 환자에 대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38.8세이었으며 주증상은 9례에서 객혈이었고 그중 2례에서 생명 을 위협하는 다량객혈이 있었다 9레에서 기존의 공동성 폐질환을 가지고 있었고그주원인은폐결핵이 었다. 가장 흔히 시 행된 술식은 폐엽절제술(6례)이 었다. 주요 술후 합병증으로는 대량출혈 (2례), 폐렴 (2 례), 기관지흥막루를 동반한 농흥(1례)이 발생하였으며 1례의 환자가 사망하여 수술사망률은 8.3%였다 술후 추적관찰기 간동안 증상의 재발례는 1례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폐국균종으로 진단된 경우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초기에 적극적인 수술을 시행함으로써 높은 완치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patient or outpatient total elbow arthroplasty: a comparison of patient populations and 30-day surgical outcome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National Surgic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 David Momtaz;Farhan Ahmad;Aaron Singh;Emilie Song;Dean Slocum;Abdullah Ghali;Adham Abdelfattah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4호
    • /
    • pp.351-356
    • /
    • 2023
  • Background: Total elbow arthroplasty (TEA) is uncommon, but growing in incidence. Traditionally an inpatient operation, a growing number are performed outpatient, consistent with general trends in orthopedic surge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EA outcomes between inpatient and outpatient surgical settings. Secondarily, we sought to identify patient characteristics that predict the operative setting. Methods: Patie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Nation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Preoperative variables, including patient demographics and comorbidities, were recorded, and baseline differences were assessed via multivariate regression to predict operative setting. Multivariate regression was also used to compa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in 30 days. Results: A total of 468 patients, 303 inpatient and 165 outpatient procedures, were identified for inclusion. Hypoalbuminemia (odds ratio [OR], 2.5; P=0.029), history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or pneumonia (OR, 2.4; P=0.029), and diabetes mellitus (OR, 2.5;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patient TEA, as were greater odds of any complication (OR, 4.1; P<0.001) or adverse discharge (OR, 4.5; P<0.001) and decreased odds of reoperation (OR, 0.4; P=0.037). Conclusions: Patients undergoing inpatient TEA are generally more comorbid, and inpatient surgery is associated with greater odds of complications and adverse discharge. However, we found higher rates of reoperation in outpatient TEA. Our findings suggest outpatient TEA is safe, although patients with a higher comorbidity burden may require inpatient surgery. Level of evidence: III.

폐동맥폐쇄와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를 동반한 활로씨사징증 -다양한 외과적 치료접근의 비교- (Tetralogy of Fallot Associated with Pulmonary Atresia and Major Aortopulmonary Collateral Arteries -Comparison between the different surgical approaches-)

  • 이정렬;양지혁;김용진;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71-479
    • /
    • 1999
  • 배경: 폐동맥폐쇄와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를 동반한 활로씨사징증 환아들은 여러가지 이질적인 외과적인 원칙하에 치료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질환으로 본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아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시도하였던 5 가지 서로 다른 외과적인 치료전략을 중심으로 그 장단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본 질환을 가진 5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최초 수술방법에 따라 일단계단일화술군(A-1, n=9), 단계적단일화술군(A-2, n=11), 우심실-폐동맥 연결술군(B-1, n=11), 우심실-폐동맥연결/단일화술 동시 시행군(B-2, n=11), 일단계 완전교정술군(C, n=8) 등 5군으로 분류하고 군별 형태학적 특성, 수술결과, 완전교정 가능성, 추적결과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50명 환아들의 제 1차 수술당시 평균연령은 39$\pm$31 (1-177) 개월이었다. 결과: 각 군의 최초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각각 57$\pm$18(A-1), 42$\pm$48(A-2), 18$\pm$14(B-1), 52$\pm$55(B-2), 32$\pm$34(C) 개월이었다 (p<0.05). 주대동맥폐동맥혁관부행지의 평균 숫자는 일단계 완전교정술 시행 군에서 가장 적었다 (A-1=4.3$\pm$1.0, A-2=4.5$\pm$1.3, B-1=4.1$\pm$1.9, B-2=4.1$\pm$1.6, C=3.4$\pm$1.8 : p<0.05). 직접 및 간접 주대동맥폐동맥혁관부행지 숫자의 비는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A-1=91%/9%), A-2=78%/22%, B-1=80%/20%, B-2=80%/20%, C=81%/19% : p>0.05). 19명의 환아는 1개 이상의 의존성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를 가지고 있었다. 13명의 환아는 진폐동맥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29명의 환아의 진폐동맥은 좌우폐동맥 연결이 있었다. 수술은 50명의 환아에 대하여 총 101 (1-4)회 시행되었으며 각 군의 최초 수술에 따른 수술사망율은 각각 33%(3/9, A-1), 18%(2/11, A-2), 0%(0/11, B-1), 36%(5/11, B-2), 13%(1/8, C)였다 (p<0.05). 군별 심실중격결손의 완전폐쇄까지를 포함한 완전교정술을 완료한 환아의 백분율은 각각 22%(2/9, A-1), 18%(2/11, A-2). 45%(5/11,B-1), 27%(4/11,B-2), 100%(8/8,C)(p<0.05)였다 (p<0.05). 사망원인은 저산소성 호흡부전 및 심부전(6), 뇌손상(2), 패혈증(4) 등이었고 술후 합병증으로 횡격막신경마비가 5례에서 발생하였다. 6례의 추적실패를 제외한 생존환자 31례는 평균 74$\pm$42 (3-145) 개월 외래추적되었으며 1년 및 5년 생존율이 각각 73%, 73%였다. 결론: 연구자등은 본 연구를 통하여, 본 질환에 대하여 제 1단계로 시행한 시술로 우심실-폐동맥 연결술이 가장 안전하고도 완전교정술 도달 확률이 높은 치료전략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주대동맥폐동맥혈관부행지의 크기나 숫자가 단일화하기 쉬운 형태학적 특징을 지닌 경우에는 조기에 일단계완전교정술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반면 본 환아군 중 단일화술을 먼저 시도한 군에서는 비록 단계적인 단일화를 시도한 군에서 단일화술과 관계된 수술사망율이 약간 낮기는 하였으나 완전교정술까지 완료될 가능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 경우 보다 정련된 적응 환자의 선택을 통한 단일화 우선전략의 시도와 장기 추적결과의 관찰이 요구된다.

  • PDF

폐 국균증의 외과적 치료(제 3보) (Surgical Treatment of Pulmonary Aspergillosis (III))

  • 정성철;김우식;배윤숙;유환국;정승혁;이정호;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7호
    • /
    • pp.497-503
    • /
    • 2003
  • 폐 국균종은 폐결핵 등 만성 폐질환으로 인하여 파괴된 폐조직에 국균이 2차적으로 기생하여 발생하는데, 치명적 각혈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수 증례에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이에 최근 10년 간의 수술적 경험을 고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폐절제술 후 병리학적으로 폐 국균종으로 확진된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호발연령 및 성비율, 주소, 술전검사, 술식의 종류, 지저질환, 술 후 합병증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결과: 호발연령은 30대와 40대(64.5%)이었으며, 술 전 주요증상은 객혈이었다(27명, 87.1%). 31명 모두에서 술 전 항결핵제 투여경력이 있었으며 19명(61.3%)에서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상 연부조직 음영이 있는 큰 공동이 관찰되었고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는 31명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국균객담검사상 37.9%, 혈청 면역 확산 검사상 83.3%의 양성률을 보였다. 폐상엽이 19예(61.3%)로 호발부위였으며 대부분에서 폐엽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병리조직검사상 전 예에서 결핵과 동반되어 있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농흉 3예(9.7%), 지속적인 공기 누출 2예(6.45%), 사강 2예(6.45%), 술 후 출혈 1예(3.23%) 등이었다. 술 후 사망은 1예(3.23%)로 양측성 폐 국균종에서 수술한 반대쪽의 대량출혈로 사망하였다. 결론: 성비, 나이, 임상증상, 폐결핵과의 연관성, 병변부위 및 수술방법, 합병증 등에 대해서 과거 1963년부터 1992년까지 수술받은 80예와 비교하여 볼 때 큰 차이는 없었다. 진단 기법상 혈청검사는 술 전 아주 높은 양성률을 나타내었고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의 높은 진단율은 폐 국균종의 진단과 수술에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복합형 폐 국균종의 경우 흉막유착과 폐문의 경화, 잔존폐의 불완전한 확장 때문에 수술에 어려움이 있어 많은 시간 약물요법과 기관지 동맥 색전술 등의 내과적 치료를 선호하게 되는 데 이와 더불어 공동절개술 등의 비교적 비침습적인 수술방법도 추천되며 최근 합병증의 감소와 더불어 단순형 폐 국균종은 조기에 수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함이 요구된다.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 후의 폐동맥 크기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anges of Pulmonary Artery Size after 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

  • 지현근;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495-503
    • /
    • 1996
  • Fonlan수술의 고위험군 환자에게 시행되는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은 비교적 낮은 수술 위험과 동맥혈내 산소포화도의 증가,그리고 체심실에 대한 용적 부담을 줄임으로서 Fontan수술전에 시행하는 효과적인 중간 단계의 고식적 수술로서 알려져있다 그러나 낮은 체정맥압에 의해 유지되는 페혈류인 양방향성 상대정 맥-폐동맥 단락술후 폐동맥의 크기 변화에 대 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 다. 본 연구에서는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이 폐동맥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자 1992 년 2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 술을 받은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전 3.8 $\pm$4.8개월 및 수술후 19.6$\pm$6.2개월에 시행한 심도자 및 혈 관조영술의 결과를 검토하고 이를 통계 처리하였다. 폐동맥의 크기는 폐동맥 지수와 McGoon비를 이 용하였고 환자의 나이,체표면적,혈관 성형술 여부,수술전 폐동맥의 크기,수술후심도자 및 혈관조엮 술까지의 기간 등을 변수로 폐동맥의 성장여부를 연구하였다. 수술전 심도자 및 혈관조영술 당시 환자의 평균 나이는 1).7$\pm$15.6개월, 평균 체 Ⅸ湧岵\ulcorner0.40$\pm$0.12 m2,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71.4$\pm$12.4% 이었다. 우폐동맥의 지름은 7.1$\pm$1.7mm, 좌폐동맥의 지름은 6.2$\pm$ 1.7 mm, 폐동맥 지수는 191.8$\pm$82.7mm21m2, McGoon 비는 1.73$\pm$0.49 였다. 폐동맥 압력은 6명에 서 측정하였는데 평균 폐동맥 압은 21 mmHg 이 었다. 한편 수술후 심도자 및 혈관조영술 당시 환자의 평균 나이는 39.9$\pm$ 16.2개월, 평균 체표면적은 0.58$\pm$ 0.07m', 동맥 혈 산소포화도는 83.0$\pm$3.8 % 이었다. 우폐동맥의 지름은 9.0$\pm$ 1.5 mm, 좌폐동맥의 지름은 7.7 $\pm$2.Omm, 폐동맥 지수는 197.3$\pm$57.1 mm2/m2, McGoon 비는 1.76$\pm$0.32 였다 수술후 전 환자에서 폐동맥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평균 폐동맥 압은 12.8 $\pm$3.6mmHg이 었다. 환자의 성장에 따라 폐동맥의 지름도 증가하였으나 폐동맥 지수나 McGoon비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환자의 나이, 술후 동맥혈내 산소포화도의 증가 정도, 혈관 성형술 여부, 수술후 심도자 및 혈큰조 영술까지의 기간 등은 수술후의 폐동맥 지수의 증가에 영향을미치지 못하였으며 단지 수술전의 폐동맥 의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McGoon 비 1.2 미만)에는 폐동맥 지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 \ulcorner 동반된 폐동맥 성형술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술전 폐동맥 크기에 대한 지표로서 폐동맥 지수(PAI)와 McGoon 비(MGR)와는 다음과 같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상관식 : PAI : MGRxl18.0-12.4. 결론적으로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이 동맥혈내 산소포화도는 증가시키나 폐동맥 지수는 단기간의 본 연구에서는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박동성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 술이나 또는 Blalock-Taussig 단락술등이 폐동맥의 성 장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