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y and Behavior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31초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asteful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 박선진;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2호
    • /
    • pp.153-167
    • /
    • 2012
  • 본 연구는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를 바탕으로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을 밝히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207명이 서두름 행동 질문지와 A형 행동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A형 행동 질문지는 A형 행동 및 성격을 측정하는 기존 문항을 바탕으로 총 136개 문항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29개 문항으로 축소되었다. A형 행동의 구성요인으로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과제몰입, 활동성, 민첩성이 나타났다. 서두름 행동요인분석 결과, 서두름 행동은 기존 연구와 동일한 5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상관분석 결과, 시간압력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실패불안, 과제몰입,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불편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과 고립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인내심부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지루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와 활동성 및 민첩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보상기대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질과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음주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Drinking Behavior Between Temperament and Offensive Behavior)

  • 임대경;오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97-307
    • /
    • 2020
  • 본 연구는 음주 후 나타나는 문제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성인 음주자의 기질이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격성과 음주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99명에게 기질 및 성격검사(TCI)-성인용,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 한국형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질 중 자극추구가 공격성에 가장 높은 설명량을 보였다. 자극추구와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음주행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그 경로 내에서 공격성과 음주행동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완전매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격성과 음주행동이 자극추구와 가해행동을 연결하는 기제로서 자극추구 성향은 가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며 오직 공격성과 음주행동을 통해서만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직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ivil Servant Superior's Coaching Leadership on Subordinates' Innovative and Cooperative Behavio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Belief of the Colleague's Potential Growth)

  • 박은희;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1호
    • /
    • pp.57-9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의 효과를 검증하고,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부하 직원의 혁신행동과 협력행동 사이에서 부하의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에 소재한 교육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상사 155명, 부하직원 442명 총 597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상사가 답변한 부하들의혁신행동과 협력행동의 측정값을 부하 직원의 응답 결과와 짝을 맞추어 부하직원의 데이터에 합친 후, 결측치와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총 397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공무원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부하 직원의 혁신행동, 협력행동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둘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부하 직원의 인지적 유연성, 동료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믿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고, 셋째, 인지적 유연성은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넷째, 동료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믿음이 협력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가족동반식사가 자녀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Meal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 김종남;민희진;채정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9권2호
    • /
    • pp.140-158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family meals on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children. We performed focus group interviews (FGI)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family meals, and chose several scales (such as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self-esteem, and a daily hassles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variables. We collected data from 442 dyads (mother-child) and used 440 from dyads. In our results, the frequency of family meals affected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children, especially aggression and emotional instability. The atmosphere during meals also affected depression/anxiety, concentration difficulties, emotional instability, self-esteem,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it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al atmosphere, family bonding, maternal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children. We performed covariation analysis to examine and control the influence of family bonding and maternal personality; despite controlling for these variables, family meals still influenced children's psychological problems. We conclude that the family meal is a significant variable that impacts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and stress the importance of frequent family meals.

환경심리 측면에서 본 불교의 대상인식(I) -개념설정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Cognition of Buddhism in the View of the Environmental Psychology(I) -Formation of Concept-)

  • 김태경;최기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32
    • /
    • 1992
  • This paper is studied on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cognition on accordance with the oriental(especially Buddhism) process of thinking. The Yeongiron(theroy : one of th most famous philosophy of Buddhism, the theory of cause and occasion) consists of the upgam-yeongi, the aroeyasik-yeongi, the chinyeo-yeongi and the pupkye-yeongi. And the concept of these theory are as follows: The conceptural elements of upgam-yeongi consist of sack(色), soo(受), sand(想), hand(行), sik(識). The elements connects with the western environmental psychology such as sack and objects, soo and stimuli, sand and perception, hand and cognition, sik and behavior. Similarly, aroeyasik-yeongi that consist of sangbun(相分), kyunbun(見分), chajungbun(自證分), chungjajungbun(證自證分) connects with objects, perception, cognition, behavior too. The chinyeo-yeongi divide into smase(三細) and yukchu(육추), the samse consist of mumyungupsang(無 明業相), nungyunsand(能見相), kyungyesand(境界相) and the yukchu consist of chisang(智相), sangsoksang(相續相), chipchisang(執取相), kyemyungjasang(計明字相), kiupsang(起業相), upgyegosang(業繫苦相). These elements are relates with the concept of western environmental psychology from objects to behavior too. Pupkye-yeongi represent a characteristic of objects itself rather than a process of environmental cognition.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the religion and scientific methods should be compare. sack(色) : an elements of it's derivation, all kinds of material soo(受) : a function of reception, feeling sang(想) : a representation of a thought in the mind hang(行) : mental operation sik(識) : a function of judgement sangbun(相分) : the thing in itself kyunbun(見分) : a reflection in the mind chajungbun(自證分) : confirmation of kyunbun chungjajungbyn(證自證分) : self-consciousness through self-examination mumyungupsang(無明業相) : a state of mixture with the object and the subject nungyunsang(能見相) : an operation of the subject kyungyesang(境界相) : a formation of object chisang(智相) : the beginning of distinction sangsoksang(相續相) : a judgement chipchisang(執取相) : a rsponse kiupsang(起業相) : have a influence to the next behavior upgyegosang(業界苦相) : retribution

  • PDF

문제행동 청소년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Adolescents with Problem Behavior)

  • 현명선;윤미경;정선미;손정아;박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4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adolescents with problem behavior. Method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Eligible participants were first grade students in two high schools in K Province.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e study were those with scores in the upper 15% on the Korean Youth Self-Report. A total of 7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8-session program (n=38) or to a control (n=36) group. The outcome variables were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elf-esteem.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variables or outcome variables, except self-esteem,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baseline.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mean scor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and a lower mean score on dep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t=3.45, p=.001), self-esteem (F=5.45, p=.022), and depression (t=-2.80, p=.007)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depression as well as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for adolescents with problem behavior.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ing a framework for promoting mental health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통제 집단의 삶의 질과 문제행동 비교 및 부모보고와 자기보고의 차이 연구 (Discrepancy between Parent and Child Report on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 and Adolescen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Control Group)

  • 김민희;정경미;이명아;유철주;원성철;신윤정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6권3호
    • /
    • pp.483-500
    • /
    • 2011
  • 의학 발전과 함께 소아암이 치료 가능한 질병이 되면서, 소아암 생존자 아동, 청소년의 장기적인 심리사회적인 적응과 관련된 문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소아암 생존자 아동, 청소년의 삶의 질과 문제 행동 수준을 건강 통제 집단과 비교하고, 자녀의 심리적 적응 상태를 평가하는데 나타나는 부모와 자녀의 보고 불일치 양상이 소아암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았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 통제 집단의 아동,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PedQL의 아동 버전과 부모 버전을 이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였고, K-CBCL과 K-YSR을 이용하여 문제행동 수준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소아암 생존자 집단은 건강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신체적, 사회적 기능에서 낮은 삶의 질을 경험하고 있었고, 높은 수준의 내재화된 문제 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이 때의 결과는 어떤 정보원을 사용하였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정보원간의 보고 불일치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에서 부모는 자기 보고에서보다 문제 행동은 더 낮게, 삶의 질은 더 높게 보고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건강 통제 집단에서 나타난 부모와 자기 보고의 불일치 정도를 비교해보았을 때, 삶의 질의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내재화된 문제행동 영역에서 소아암 생존자 집단이 건강 통제 집단보다 부모와 자녀의 보고 차이가 유의미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and resiliency of efficacy on stress, dep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 김의철;박영신;김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2호
    • /
    • pp.197-219
    • /
    • 2010
  • 이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799명(남 386명, 여 413명)으로서, 초등학생 184명, 중학생 354명, 대학생 27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편형 로드아일랜드 스트레스 척도(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스트레스 관리행동 척도(Evers, Prochaska, Johnson, Mauriello, Padula & Prochaska, 2006), 우울 척도(BDI-II, Beck, Steer & Brown, 1996; CES-D, Radloff, 1977), 어려움극복효능감 척도(Bandura, 1995),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척도(김의철, 박영신, 1999)를 활용하였다. 경로분석 및 효과분석 결과,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높을수록 우울과 스트레스가 현저하게 낮았고, 스트레스 관리행동을 잘 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에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부모의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자녀의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높았다. 따라서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어려움극복효능감의 직접효과와 부모 사회적 지원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 중, 대학생 집단 모두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한편, 우울 측정도구를 BDI-II로 했을 때와 CES-D로 했을 때, 스트레스 관리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다양한 우울 측정도구의 구인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