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iatric Comorbidity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범불안장애 환자의 자율신경심장기능 (Heart Rate Variability of Korea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atients)

  • 추정숙;이승환;김현;이강준;남민;정영조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1호
    • /
    • pp.13-19
    • /
    • 2005
  • Objective: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eart rate variability(HRV)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compar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Korea. Methods:Fifty-six GAD patients(20 male and 36 female) was classified into their comorbid psychiatric illness. Among them, Twenty-five patients(10 male and 15 female) who do not have any psychiatric comorbidity were compared with 30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12 male and 18 female). Clinical symptoms, HRV and MMPI were analysed between two group. Results:Comorbid psychiatric illnesses of GAD were ranked into no diagnosis(44.6%), MDD(32.1%), panic disorder(10.7%), social phobia(5.3%), PTSD(1.7%), OCD(1.7%), MDD+panic disorder(1.7%) and MDD+specific phobia(1.7%). GAD patients showed low functioning in HRV, but degree of decreasing HRV is not so severe compared with MDD patient. Balance of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e tone is more severely impaired in GAD patients compared with MDD patient. The score of MMPI did not reveal an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The result showed that HRV can differenciate GAD and MDD patients. GAD patients could show decreased HRV functioning, less than MDD patients. But autonomic imbalance could be more severe in GAD than MDD patients.

  • PDF

Fuku shin, a Kampo diagnostic procedure, could be one of useful diagnostic tools for anxiety disorders and depression

  • Arai, Young-Chang P.;Nishihara, Makoto;Sato, Jun;Ushida, Takahiro;Morimoto, Atsuko;Sakurai, Hiroki;Ohmichi, Yusuke;Makino, Izumi;Suzuki, Chiharu
    • 셀메드
    • /
    • 제2권2호
    • /
    • pp.15.1-15.3
    • /
    • 2012
  • Kampo medicine, a Japanese traditional herbal medicine, has been used in clinical practice in Japan. The most appropriate Kampo formula should be chosen for each individual by the four diagnostic procedures. Fuku shin, the abdominal exa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roaches in the procedures. There are several abdominal conformations (signs) when administering Fuku shin. In Kampo medicine, psychiatric illness-marked by depression and anxiety-has been shown to be related with an abdominal conformation, Shin ka hi koh (Epigastric Obstructive Hardness). The aim was to see the occurrence of abdominal conformations in each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symptoms. Two hundred fifteen patients were assigned to high-, moderate-, or low-level psychiatric comorbidity based on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were studied regarding the occurrence of major abdominal conformations. Moderate and high psychopathological groups showed the higher occurrence of Shin ka hi koh [Low, 21%; Moderate, 67%; High, 74%] ($p$ < 0.0001). In conclusion, moderate and high psychopathological patients showed the higher occurrence of a specific abdominal sign.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를 위한 낙상 위험 사정도구 (Edmonson Psychiatric Fall Risk Assessment Tool)의 타당도 평가: 후향적 연구 (Validation of the Edmonson Psychiatric Fall Risk Assessment Tool for Psychiatric In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 김경영;손영선;이유지;김지은;김미경;이영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3호
    • /
    • pp.270-27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dmonson psychiatric fall risk assessment tool (EPFRAT) for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 Data from retrospective study were collected from 670 adult inpatients in two departments of mental health medicine of a tertiary general hospital by reviewing their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re were 41 patients who experienced falls and 629 patients who did not experience fall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9. Data were analyzed b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for validity assessment using the IBM SPSS/WIN 26.0 program. Results: Factors affecting falls were the participant's age, guardian's residence, high-risk determination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comorbidity. At the 85 points where the point of sum of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as larges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EPFRAT were 92.7%, 79.7%, 22.9%, and 99.4%, respectively. The area under the ROC to assess the overall validity of the tool was .92 (95% CI 0.89~0.94). Conclusion: The EPFRAT was proved to be valid and reasonable for predicting falls in psychiatric in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used for the assessment of high-risk patients for falls in psychiatric units.

우울증 환자들에서 불안장애의 인지 (Recognition of Anxiety Disorders in Depressed Patients)

  • 김정범;정성원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19
    • /
    • 2007
  • Substantial rates of comorbid anxiety disorders have been found using structured research diagnostic interviews in depressed outpatients. Comorbid anxiety disorders is underrecognized in routine clinical settings, in which clinicians usually use un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s. Recognition of comorbid conditions such as anxiety disorders in patients seeking treatment for depression is clinically important because the presence of these disorders might influence selection of treatment options or predict the chronicity of the depression. A reliable and valid self-report screening questionnaire, such as the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PDSQ), would potentially enhance usual clinical practice as a useful diagnostic aid.

  • PDF

사회공포증 경과중 타 정신질환이 발병한 환자들에 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f Patients Developing the Other Psychiatric Disorder During the Course of Social Phobia)

  • 이시형;신영철;양상중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1호
    • /
    • pp.79-84
    • /
    • 1996
  • We have studied 16 patients diagnosed of social phobia among the hospitalized patients for 1 year, from September 1994 to August 1995, to evaluate whether serial phobic symptoms are the prodromal symptoms of the other psychiatric disorder or concomitant disor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mean age of onset of social phobic symptoms was 17.3, and the mean age of inital hospital visit was 27.4. 2) The proportion of offensive type was higher than the simple type : 7 cases of the subjects classified as simple type, 9 cases as offensive type. 3)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phobia, they developed different type of psychiatric disorder. Majority of patients with simple type had final diagnosis of mood disorder. Patients with offensive type had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 such as schizophrenia, delusional disorder, and schizophrenia, personality disorder. 4) Social phobic symptoms have taken various courses according to the final diagnosis. In the patients who developed major depression and delusional disorder, social phobic symptoms have not been changed during the course. Patients with the final diagnosis of schizophrenia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have showed various social phobic symptoms. In the patients with the final diagnosis of bipolar disorder, their social phobic symptoms disappeared with improvement of depression.

  • PDF

전반적 발달장애의 한국형 치료 권고안 : 임상양상, 역학, 경과, 원인, 동반질환 (The Korean Practice Parameter for the Treatment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Clinical Manifestation, Epidemiology, Course, Causes, and Comorbidity)

  • 유한익;조인희;유희정;구영진;정운선;안정숙;안동현;손정우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2호
    • /
    • pp.88-96
    • /
    • 2007
  •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re characterized by lifelong impairments in fundamental social and/or communication skills and by the presence of seemingly purposeless and repetitive behaviors, interests, or activities. A number of possible biological etiologies, including genetic,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abnormalities, have been identified in patien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In addition, clinicians should take the possibility of comorbid psychiatric conditions into consideration when mak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공존질환의 약물치료 (PSYCHOPHARMACOLOGY OF ADHD WITH COMORBID DISORDERS)

  • 조인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36-52
    • /
    • 2003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소아정신과 영역에서 매우 흔한 질환이며 이환된 아동의 학업기능, 또래관계, 가족내 생활에서 심각한 기능상의 장애를 유발한다. stimulant 치료에 의해 $70{\sim}80$%의 아동들이 효과적으로 반응하나 ADHD 아동에서 다양한 정신과 질환이 빈번하게 공존하여 나타나며 공존질환의 존재는 치료반응에 대한 효과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들 공존질환을 동반한 ADHD 아동들의 치료에 대한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ADHD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정신약물의 종류와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ADHD에서 흔히 공존되는 질환의 종류와 연관성, 이들에 대한 국외 및 국내 임상의들의 치료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았다. 이는 다양한 공존질환을 수반함으로 인하여 증가된 장애의 위험성을 가질 수 있는 일부 ADHD 아동들에 대하여 적절한 치료적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 PDF

주의산만과 과잉운동을 주소로 하는 정신과 내원 아동들의 임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CHILDREN WITH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 IN A PSYCHIATRIC CLINIC)

  • 권용실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93-103
    • /
    • 2002
  • 저자는 소아정신과 영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주의산만과 과잉운동을 주소로 하는 아동들의 진단특성과 이와 관련된 임상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학병원 소아정신과에 내원한 아동들에서 주의력과 과잉운동 문제를 보이는 5세에서 14세 사이 총 71명(남자 63 명, 여자 8명)을 대상으로 하여, KEDI-WISC, KPI-C, ADS를 시행하였고 진단 분류에 따라 1) ADHD만 있는 군 2) 공존 질환이 있는 ADHD군 3) ADHD 이외의 진단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DHD 단독 진단군이 17명(23.9%), 공존질환이 ADHD는 26명(38.0%)이었으며 공존질환은 틱장애가 가장 많고 발달성 언어장애, 경계성 지능, 적대적 반항/품행장애, 경계성 지적능력, 학습장애의 순서를 보였으며, ADHD 이외의 진단군 27명(38.0%)은 틱장애, 경계성 지능, 우울/불안장애, 적대적 반항/품행장애의 진단 분포를 나타냈다. 2) 지능검사에서 전체지능,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모두 군별 차이를 보였고 ADHD만 있는 군에서 공존질환 ADHD군보다 전체지능과 언어지능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KPI-C 임상 척도는 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DS 시각자극 검사에서 누락오류(omission)와 민감도(d')가 세 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공존질환이 있는 ADHD 군이 ADHD이외의 진단군에 비해 유의하게 누락오류가 많고 민감도는 낮았다. 본 연구 결과를 볼때 아동의 주의산만과 과잉운동 증상은 주 진단인 ADHD 이외에도 다양한 정신과 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며, 또한 공존질환이 있는 ADHD군이 ADHD만 있는 군이나 기타 질환군보다 주의력에 문제가 많고 지능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학습 및 학교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더 많을 것이므로 적극적인 치료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반항성 도전 장애 아동과 연관된 공존 증상 및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연구 - (COMORBIDIT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 WHO HAVE THE SYMPTOM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 COMMUNITY BASED STUDY -)

  • 김붕년;정광모;조수철;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79-89
    • /
    • 2005
  •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반항성 도전장애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이하 ODD)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역학적 특징, 공존 정신병리 및 환경적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근교의 지방도시(부천시)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초등학생 986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모든 정보는 부모로부터 얻었다. 우선 DSM-III-R과 DSM-IV에 의한 파탄적 행동 평가척도를 통해 대상군을 선정하였고, 나머지 군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소아행동조사표, 아동성격척도를 통해 아동 문제 및 기질을 조사하였다. 또한 가족적응/결속척도, 가족기능/만족도척도를 통해 가족 기능을 평가하였고, 동시에 임신-분만-주산기 문제들을 조사하였다. 두 군간의 차이는 t-검정과 $\chi^2$-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 ODD군 아동은 대조군에 비해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의 모든 소항목과 파탄적행동장애평가표(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 DBDS)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 전반적인 공존 정신병리가 심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가족 결속력, 가족 기능/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임신-분만-주산기 문제 중에서는 임신기의 심한 정서적 스트레스, 임신 중 약물 복용, 산후 우울증 빈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성격척도에서는 ODD군이 보다 높은 위험회피성, 새것추구성을 보이는 것에 반해 보상의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ODD를 독립된 대상군으로 선정하여 시행된 첫번째 지역사회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항성 도전장애 아동들에게 임신-분만-주산기의 생물학적인 환경적 위험 요인과 가족 기능으로 대표되는 심리-사회학적인 환경적 위험 요인이 동시에 증상 발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우울, 불안 등의 다양한 공존 병리를 보여 ODD에 동반된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ODD의 질병 경과를 파악하고 위험 요인간의 상호관계를 밝히며 공존 병리 존재 시 치료 모델을 확립하기 위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한국에서의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예비적 연구 - 종합병원 학습장애 특수 클리닉 내원 아동을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IN KOREA)

  • 김승태;김지혜;홍성도;정유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247-257
    • /
    • 1996
  • 본 연구는 삼성의료원 소아정신과 학습장애 특수 클리닉에 내원한 학습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학습부진의 원인이 되는 장애와 학습부진 아동에서 학습장애의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은 $6{\sim}15$세 사이의 19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대상군중 우울증등의 정서장애가 33%로 가장 많았으며 주의력결핍 과잉황동장애가 31%로 두번째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2) 대상군중 학습장애 환아는 41명으로 20.8%의 빈도율을 보였다. 3) 학습장애의 공존병리중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장애가 44%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4)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장애가 공존하는 학습장애군과 학습장애만 있는 군에서는 성별이나 연령차이, 지능차이는 없었으며 뇌파의 이상 소견에 대해서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장애가 없는 단독 학습장애군은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장애가 공존하는 학습장애군보다 더 늦은 나이에 발병하였고 학업성취도 면에서 우수하였는데 특히 국어, 수학, 사회, 음악 과목에서 격차가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