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cercospor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 (I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I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42-353
    • /
    • 1998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두 번째 보고이다. 이번에는 Cercospora 3종, Distocercospora 1종, Mycovellosiella 2종, Passalora 1종, Phaeoisariopsis 1종 및 Pseudocercospora 2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근대에서 Cercospora beticola,상추에서 C. lactucae-sativae, 구기자나무에서 C. lycii, 도꼬로마에서 Distocercospora pachyderma, 족제비싸리에서 Mycovellosiella passaloroides, 좀명아주에서 Passalora dubia, 돌콩에서 P. sojina, 강낭콩에서 Phaeoisariopsis griseola, 까마중에서 Pseudocercospora atromarginalis, 그리고 붉나무에서 P. rhoina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 검은잎마름병 (Sooty Leaf Blight of Cymbidium spp. Caused by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

  • 한경숙;박종한;이중섭;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26-129
    • /
    • 2007
  • [ $2005{\sim}2006$ ]년 경기도 안성시와 화성시의 심비디움 재배 농가로부터 잎 뒷면에 검은색 구름덩이 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잎의 앞면에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황색병반을 나타내는 병징이 관찰되었다. 병징이 진전되어 병반이 합쳐지면서 잎 전체가 황색의 원형 병반을 이루고, 잎 뒷면에서도 검은색 구름덩이가 합쳐져 그을음모양(sooty spot)을 나타낸다. 병징이 오래되면 잎 조직은 기능이 저하되어 결국은 암갈색 내지 검은색으로 변하며 잎이 마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심비디움에 발생한 검은잎마름병의 병징을 관찰하고,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로 동정되었으며 병원성 검정 결과 자연상태와 동일한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병을 Pseudocercospora cymbidiicola에 의한 심비디움검은잎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포도 캠벨얼리의 무가온 하우스재배시 지역별 갈색무늬병 발생차이 (Regional Differences of Leaf Spot Disease on Grapevine cv. 'Campbell Early'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n Plastic Green House)

  • 정성민;박종한;박서준;이한찬;이재욱;류명상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193-197
    • /
    • 2009
  • 포도갈색무늬병은 주로 포도 캠벨얼리에서 6월 상순에 발생이 시작하여 장마철을 지나면서 급속히 전파되는 중요한 병중 하나이다. Pseudocercospora vitis에 의해 발생되는 갈색무늬병의 발생소장을 김제, 김천에 소재한 무가온 하우스에서 2007년에 조사하였다. 병의 발생율은 노지, 무가온 하우스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났고 지역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무가온 하우스내의 온도와 상대습도와 같은 미기상요인을 대상으로 갈색무늬병 이 병엽률과의 연관성을 SAS의 PROC REG방법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그 결과 미기상 요인과 병발생간에 Y(Infected leaves)=-7.0101+0.0496$\times$20Hcum+0.0208$\times$20cum-0.2781$\times$25Hcum ($R^2=0.95^{**}$)과 같은 회귀식이 도출되었고 이는 특정 이상 온도 및 시간의 누적값이 무가온하우스 작형에서 Pseudocercospora vitis에 의한 포도 갈색무늬병에 있어 중요인자임을 보여준다.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seudocercospora pyricola Causing Leaf Spots on Aronia melanocarpa

  • Park, Sung-Hee;Choi, In-Young;Seo, Kyoung-Won;Kim, Jin-Ho;Galea, Victor;Shin, Hyeon-Dong
    • Myc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39-43
    • /
    • 2017
  • Leaf spot disease on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was observed at several locations in Korea during 2014-2015. Leaf spots were distinct, scattered over the leaf surface and along the leaf border, subcircular to irregular and brown surrounded by a distinct dark color, and were expanded and coalesced into irregularly shaped lesions. Severely infected leaves became dry and fell off eventually. The causative agent was identified as Pseudocercospora pyricola.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multiple genes, includ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actin, and the large subunit ribosomal DNA were conducted. The pathogenicity test was conducted twice yielding similar results, fulfilling Koch's postulat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P. pyricola infection of A. melanocarpa globally.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 (V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V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54-62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여섯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3종, Neoramularia 1종, Phaeoramularia 1종, Pseudocercospora 3종, Pseudocercosporella 1종 및 Ramulari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셀러리에서 Cercospora apii, 쥐방울덩굴에서 C. aristolochiae-contortae, 아욱제비꽃, 제비꽃, 흰제비꽃, 고깔제비꽃, 뫼제비꽃 및 콩제비꽃에서 C. violae, 가막사리에서 Neoramularia bidentis, 붉은병꽃나무에서 Phaeoramularia weigelicola, 환삼정굴에서 Pseudocercospora cantuariensis, 명자꽃과 모과나무에서 P. cydoniae, 깨풀에서 P. profusa, 박새에서 Pseudocercosporella sublineolata, 그리고 질경이에서 Ramularia plantaginis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 (IV)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IV))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437-449
    • /
    • 1998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네 번째 보고이다. 이번에는 Cercospora 3종, Phacellium 1종 Pseudocercospora 2종, Pseudocercosporella 1종 및 Ramularia 3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고추에서 Cercospora capsici, 꽃황새냉이에서 C. cardaminae, 느러진장대와 장대나물에서 C. nasturtii, 쇠별꽃과 별꽃에서 Phacellium episphaerium, 구기자나무에서 Pseudocercospora chengtuensis, 고욤나무에서 P. diospyri-morrisianae, 배추와 유채 및 냉이에서 Pseudocercosporella capsellae, 나도냉이에서 Ramularia armoraciae, 익모초에서 R. lamii var. lamii, 수영 및 소리쟁이에서 R. pratensis var. pratensis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 (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27-341
    • /
    • 1998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여러 식물병리학자들이 산발적으로 보고하였으나, 이들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된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재검토하고 monograph를 작성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각 시료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5종, Mycovellosiella 1종, Passalora 1종 및 Pseudocercospora 3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접시꽃에서 Cercospora althaeina, 땅콩에서 C. arachidicola, 겨자무에서 C. armoraciae, 당근에서 C. carotae, 나팔꽃에서 C. ipomoeae, 뺑쑥과 황해쑥 및 율무쑥에서 Mycovellosiella ferruginea, 박주가리에서 Passalora miurae, 두릅나무에서 Pseudocercospora araliae, 삼에서 P. cannabina, 그리고 왕머루와 포도에서 P. vitis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Pseudocercospora fuligena에 의한 토마토 검은잎곰팡이병 (Black Leaf Mold of Tomato Caused by Pseudocercospora fuligena in Korea)

  • 이문행;이석수;김홍기;이윤수;이지혜;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55-258
    • /
    • 2012
  • 2011년 9월, 충남 보령시와 부여군의 시설재배단지에서 재배중인 토마토의 잎에 Pseudocercospora fuligena에 의한 검은잎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이 병의 병징은 초기에는 잎에 연한 노란색의 불규칙한 점무늬가 발생하며, 점차 연한 갈색으로 변하고 잎 뒷면의 병반부위에 병원균의 분생포자를 다량으로 형성하면서 검은색의 그을음 병징을 나타내었다. 병든 토마토 식물체로부터 원인균을 분리하였고 현미경 검경을 통하여 형태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P. fuligena로 동정되었다. 온실조건에서 인공접종을 통하여 이 균의 병원성을 증명하였다. P. fuligena에 의한 토마토 검은잎곰팡이병의 발생은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보고이다.

Screening of Some Indigenous and Exotic Mulberry Varieties against Major Foliar Fungal and Bacterial Diseases

  • Maji M.D.;Sau H.;Das B.K.;Urs S. Raj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2권1호
    • /
    • pp.35-39
    • /
    • 2006
  • Fifty-six indigenous and twenty nine exotic mulberry varieties were screened against powdery mildew, Myrothecium leaf spot, Pseudocercospora leaf spot, sooty mold and bacterial leaf spot for a period of three years under field condition. The percent disease index (PDI) was recorded during peak season of the foliar diseases. Out of eighty-five varieties studied, ten varieties were highly resistant and eight were resistant to powdery mildew; six varieties were immune and seventy-eight varieties were highly resistant to Myrothecium leaf spot; sixty varieties were highly resistant and 21 were resistant to Pseudocercospora leaf spot; forty four varieties were highly resistant to sooty mold and two varieties were immune and fifty-eight were highly resistant to bacterial leaf spot. Lowest cumulatative disease index was observed in M. multicaulis (7.28) followed by Thailand lobed (7.85) and Italian mulberry (8.06).

Survey and Screening of Fungicide for the Control of Tomato Black Leaf Mold Pseudocercospora fuligena

  • Lee, Mun Haeng;Lee, Hee Keyung;Cho, Pyeng Hwa;Kim, Young Shik;Cho, Suk Keyung;Kim, Sung Eun;Chun, Hee;Kim, Hong Gi;Kim, Sang Woo;Lee, Youn Su
    • 식물병연구
    • /
    • 제21권2호
    • /
    • pp.94-98
    • /
    • 2015
  • Tomato black leaf molds were collected from the six metropolitan cities, which were occurred mainly from the end of August until Novemb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ungal growth between potato dextrose agar and tomato-oatmeal agar media. The mycelial growth of the fungus was robust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from 28 to $30^{\circ}C$. The suppression rates of hyphal growth ranged from 17-98% on the media supplemented with four different chemicals such as difenoconazole, fluquinconazole and prochloraz manganese complex, metconazole, and flutianil and there is no different suppression rates of the fungicides on the tested Pseudocercospora fuligena isol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