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Based Learning(PBL)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8초

초등예비교사의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실행 및 효과 (Performing and Effects Team-Based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of Teaching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217-233
    • /
    • 2017
  • This study expects that Team Based Project Learning can act positive role to improv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from previous studies. So designing and executing Team 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I can provide some suggestions to the teaching method for teacher training education. In this study, Team Based Project Learning focuses on the use of history of mathematics in school mathematics. Also from organizing the team to evaluation, I conduct team activity systematicall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has improved and I could identify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he value of us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effect of Team Based Project Learning in mathematics learning.

BIM활용 문제중심학습기반 실내건축 설계수업 교수-학습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BL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BIM Tools for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Studio)

  • 한영철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67-7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studio through the pedagogical method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college students who lack self-directed learning. The pedagogical method has been organized to make a student-centered class based on the operation of existing architectural design studios. Thi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mphasizes the role of teachers as facilitators to help students lacking in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design process, the BIM visualization to give students an expression of design project and the critics to give students an experience of working circumst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edagogical model can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students, accomplish the design process well through teamwork, and provide problem based learning (PBL) to settle obstacles that come up during the project. Second, through this model, students can improve their field design capacity by instructor, design feedback and criticism. Finally, This model can suggest new pedagogical methods for interior architectural design studios and management of student-centered studios.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 연수 참여 교사들의 활용 실태 및 촉진 환경 조건 분석 (An Analysis of ICT Implementa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fter a Teacher Training for Project-Based Learning with ICT)

  • 박병호;정한석;이명근;서순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07-116
    • /
    • 2004
  •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 교사들이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 연수를 참여한 후 수업에 ICT를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 활용하는지와 이 과정에서 ICT 활용을 촉진하는 환경 조건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걸과에 따르면 연수 후 수업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수업 적용도와 수업 진행을 위한 준비 활동에 대한 변화가 있었으며, ICT활용 수업을 하지 못한 교사들의 경우, 적용을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업 계획 및 준비를 위한 시간의 부족이었다. ICT의 활용을 촉진하는 환경 조건들에 대해서 교사들은 현 상태를 불편하게 인식하고 있지 않으며 시간과 보상을 주요 부족 요인으로 인식하였고,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위한 지식과 기능,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휴먼웨어(자원), 참여의식, 제도적, 행정적, 인력 뒷받침(위임), 지도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다고 응답했다.

  • PDF

피코크리켓 교육용로봇을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PBL학습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B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educational robot, pico-cricket)

  • 김은정;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229-232
    • /
    • 2011
  • 초등학생들의 학습에서 학생들이 알고 있는 지식을 이용하여 Project를 해결해가면 그 과정에서 지식이 살아있게 되고 지식이 더 깊어질 것이다. 주입식으로 지식을 알아가기보다 스스로 과제를 해결해가면서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스스로 깨닫고 알아가는 학습이 필요하다. PBL학습은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학습이다.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서 구체적조작기에 해당하는 초등학생시기에는 직접 만질 수 있는 학습도구인 교육용로봇이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에 교육용로봇인 피코크리켓을 활용하여 PBL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학부과정의 다학제 융합 교과 수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수업 개선을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bout Practical Experience of an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Class of Design and Engineering - Focusing on an improvement of the class -)

  • 이상선;김동민;김미희;김수찬;김한중;이인석;박경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21-141
    • /
    • 2015
  • 본 논문은 3년간(2012~2014) 학부에서 진행된 다학제 융합수업 개선을 위하여 융합 교육과정, PBL(Problem Based Learning)과 TBL(Team Based Learning)의 활용, 효과적인 발표 등에 대한 딜레마를 다루었으며,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시간, 장소, 교육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기술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몇 가지 수업 개선점을 제안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융합수업에서 교수들의 미니 강의비율이 대체로 높다. 강의시간을 1/4로 줄이고 수업시간에 중요한 토론과 과제를 마칠 수 있도록 시간을 배려하고, 즉각적인 도움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과제부담은 줄어들 것이다. 둘째, 기존의 교육과정 틀을 유지한 채 융합수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각 학과 전공교육과정에 '융합교과목'이라는 과목을 설치하여 다른 학과 교수와 함께 수업을 개설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셋째, 본 수업에서 PBL과 TBL를 동시에 적용하는 효율적인 수업진행 방식은, TBL에서 요구하는 과제를 하나의 문제 상황으로 생각하고 PBL 학습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적인 발표수업은 매시간 발표할 기회를 학생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팀 발표수업의 횟수는 한 학기 3번이 적당하지만, 발표시간이나 방법은 수정이 필요하다. 발표 전날 모든 팀으로부터 발표내용을 받고, 팀 발표시간은 15분에서 30분으로 늘리고 2일 동안 발표를 한다면 학생은 발표 준비와 진행에 여유를 갖게 될 것이다.

간호사 인식개선을 위한 간호학-미디어학 융합 PBL 수업의 중재효과 연구: 수업 참여 학생들 및 PBL 성과발표회 참석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The intervention effect of a nursing-media studies convergence problem-based learning (PBL) program to improve nurses' public image: Changed perceptions of program participants and students attended a PBL presentation)

  • 유승철;강승미;유주연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7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an interdisciplinary college class. This class was run under the theme of 'Nurse Social Content Creators' (NSCC) in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KNA)'s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project designed to promote a positive image of nurses among the public. Methods: Study 1 examined changes in perception about nurses among the PBL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one-group pre-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Wilcoxon signed-rank test. Study 2 identified differences of perceptions of nurses between people who had observed the PBL final presentation and people who had not. A post-test-only with nonequivalent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Mann-Whitney U test. Results: Study 1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of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nurses. Study 2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BL presentation audienc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who had observed the PBL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nurses than students who had not. Conclusion: This research is an important study with high practicality in the area of media studies as well as in nursing. The PBL teaching method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perceptions of nurses.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유탐구 방안 (A Freedom Inquiry Method by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2007)

  • 이용섭;박미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Freedom Inquiry Method by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2007. This study introduced IIM(Independent Inquiry Method), PBL(Problem Based Learning), Small Inquiry Method, Science Notebooks, Project Learning Method about Freedom Inquiry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IM(Independent Inquiry Method) is studying method in the inquiry process center. The inquiry process is composed of total 9 phases, inquiry subject really it is, detailed aim deciding, information searching, it searches, quest result it arranges, aim evaluation, the report making, it announces, it evaluates, it is become accomplished. Second, It is a studying method which it starts with the problem which is Problem Based Learning, study atmosphere creation phase, problematic presentation phase and sleep static problem solving the phase which it attempts, it is become accomplished with autonomous studying phase, coordinated studying and discussion studying phase, discussion resultant announcement studying phase, arrangement and evaluation. Third, Small Inquiry Method, Call it accomplishes the call grade of the students among ourselves 4~8 people degree where only the quest learning capability is similar within class. Also interaction and coordinated function of the members between it leads and the subject which is given in the group it cooperates and it solves with it is a quest method which arrives to aim of commonness. This method divides on a large scale in three parts, it becomes accomplished in programming phase, quest accomplishment and resultant announcement. Fourth, Science Notebooks learns a scientific contents and a scientific quest function and the possibility of decreasing in order to be, from the fact that the help which it understands. This planing, data searching, it searches, becomes accomplished with resultant arrangement, announcement and evaluation. Fifth, The Project Learning Method the studying person oneself studying contents, it establishes a plan and it collects it accomplishes process of etc. it evaluates it leads and a subject and information and with real life it is a method which it studies naturally from the learning environment inside which is similar. This is preliminary phase, project start, project activity and project arrangement.

  • PDF

체험학습기반의 기초 창의공학설계 교육 및 운영 (A Basic Course of Creative Mechanical Engineering Design Emphasizing Experience Based Learning)

  • 이종수;민병권;윤웅섭;한재원;정효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32-4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에서 개설하는 창의공학설계 교과내용에 대한 소개를 다룬다. 교과목 명은 창의설계프로젝트(1)이며, 본 과목은 기계공학전공으로 새로이 진입하는 학부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와 체험적 학습을 기반으로 공학설계능력을 습득하고 문제중심학습 및 설계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현하며 실제 설계된 제품의 결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교육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과목의 자세한 구성과 수업내용에 대해 설명하고 수업내용, 문제중심학습 및 설계프로젝트를 통해 평가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해 서술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 부동산 산업을 위한 교육플랫폼 연구: Smart Space EduPlatform 제안 (Education Platform for Real Estate Industry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Proposing the Smart Space EduPlatform)

  • 이진경
    • 정보화정책
    • /
    • 제26권1호
    • /
    • pp.46-61
    • /
    • 2019
  • 4차 산업 혁명은 산업도 교육도 대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동산 산업을 위한 교육플랫폼 제안연구로써 부동산의 최유효활용을 위해 Smart Space를 구현하는 인재교육을 목적으로 부동산 산업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RETech(Real Estate Technology)을 학습할 수 있는 SSEP(Smart Space EduPlatform)을 제안하였다. 우선, SSEP의 생태계는 지속가능성이 확보될 수 있는 기부시스템, 콘텐츠 제작도구 및 학습참여도구 등 다양한 기술적 기능, 학습자 교수자 조력자 형태의 자유로운 학습행위체계로 움직인다. 다음으로 SSEP의 서비스는 학습범주 즉, 계획 및 설계, 의사결정, 관리, 경제, 건설, 설비 6개 범주 하에 17개 중요한 RETech 강의학습 서비스와 PBL(Project-Based Learning)기반의 교육과정서비스를 제공한다. 강의서비스는 동영상 학습 콘텐츠, 부가학습자료, 학습관리 서비스가 제공되고 교육과정서비스는 교수자 워크숍, 학습자 모집 및 등록 관리, 교육과정운영 서비스들이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