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yanidin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8초

적송수피 색소 성분의 화학적 조성과 섬유 염색성 (Dyeabilities with Various Fabr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rown Colorants from Pine Bark)

  • 김용숙;배순이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8-146
    • /
    • 2013
  • Chemic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functions of brown colorants extracted from pine bark(Pinus densiflora) have been studied. Dyeing test using multifiber fabrics with extracted colorants were preliminary carried out. Dyeing conditions and fastness tests of selected fabrics have been also studied. The brown colorants were produced 1.5% concentrations by solvent extraction from milled pine bark using methanol. The colorants were extracted with 80% methanol as best choice by a criteria of solid quantity and dyeability on fabrics.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identified as mixtures of taxifolin epicatechin and procyanidin by LC/MS analysis. The brown colorants could be dyed not only natural fibers such as cotton, silk and wool but also synthetic fiber as nylon and semi-synthetic fiber as viscose rayon. Maximum K/S values was shown at 400 nm according to different fiber with color appearance of redish brown.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dyeing conditions was 4 and above $80^{\circ}C$, respectively. The brown colorants had a strong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Butylated hydroxyanisole as standard and weak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 coli. compared to kanamycin. Washing, rubbing, perspiration, dry cleaning and light fastness for cotton, nylon and silk dyed with the brown colorants were carried out by KS K method. Most of color fastness such as washing, rubbing, perspiration, and dry cleaning were represented as 4-5 grade. However, light fastness was reported as 2-3 grade. From this studies, brown colorants produced pine bark have a high potentials for natural dyeing on fabrics with antioxidant activity.

Phenolic Profiles of Hardy Kiwifruits and Their Neuroprotective Effects on PC-12 and SH-SY5Y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 Jeong, Ha-Ram;Kim, Kwan Joong;Lee, Sang Gil;Cho, Hye Sung;Cho, Youn-Sup;Kim, Da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912-919
    • /
    • 2020
  • Hardy kiwifruits (Actinidia arguta Planch.) have high amounts of antioxidants, including ascorbic acid (vitamin C) and phenolics. The anti-cholinesterase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ree different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cv. Mansu (A. arguta × A. deliciosa), cv. Haeyeon (A. arguta), and cv. Chiak (A. arguta), on PC-12 and SH-SY5Y cells were evaluated. Extraction of phenolics and vitamin C was carried out using 80% (v/v) aqueous ethanol and metaphosphoric acid assisted with homogenization, respectively. Hardy kiwifruit of cv. Mansu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total flavonoid, and vitamin 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to the other two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cv. Haeyeon and cv. Chiak. Analysis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procyanidin B2, (-)-epicatechin, neochloroge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rutin, hyperoside, isoquercitrin, and astragalin in hardy kiwifruits. The three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had a wide range of vitamin C content of 55.2-130.0 mg/100 g fresh weight. All three cultivars of hardy kiwifruits had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and SH-SY5Y cells exposed to hydrogen peroxide by increasing cell viability and reducing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Furthermore, the hardy kiwifruits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rdy kiwifruits rich in antioxidants like phenolics and vitamin C have good potential as functional materials in neuroprotective applications.

라디아타 소나무 수피로부터 제조한 PinuxTM염료의 화학조성과 견섬유와의 염색성 (Dyeability with Silk Fabr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Natural Dye PinuxTM Manufactured from Pinus Radiata Balk)

  • 송경헌;문성필;김대성;홍영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315-1321
    • /
    • 2009
  • The chemical composition of natural powder dye $Pinux^{TM}$ manufactured from Pinus radiata bark and dyeability of dyed silk fabrics with $Pinux^{TM}$ were examined. It is made up of the optimum dyeing condition of silk fabric according to the dyeing concentration, dyeing time, and dyeing temperature. Also, we examined the colorfastness and antibiosis of dyed silk fabrics to washing, rubbing, perspiration and light. For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inux^{TM}$, the total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 proanthocyanidin(PA)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dye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in components of the $Pinux^{TM}$ manufactured from Pinus radiata bark is proanthocyanidin, mostly a flavonoid containing a procyanidin structure, and it consists of approximately 63% pheno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yeability of silk fabrics with $Pinux^{TM}$, it showed that the dyeability was best under the conditions of the concentration of dye $1{\sim}1.5%$(wt/v%), dyeing time of 90 minutes, and dyeing temperature at $90^{\circ}C$. It was found that the colorfastness of dyed silk fabrics, colorfastness to washing, perspiration for acidic and rubbing were as good as grade 4 or 4-5. However, the colorfastness to light was low at grade 1, the same as the results of other natural dyed fabrics. As a result of the antibiosis measurement for the $Pinux^{TM}$-dyed silk fabrics, it showed high antibacterial properties to Staphylococcus sureus at 99.6%.

바나나 과실 함유탄닌이 소화효소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densed Tannins Prepared from Banana (Musa Sapientum L.) fruit on Digestive Enzyme In vitro)

  • 정정한;류충호;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77-481
    • /
    • 1996
  • 바나나 과실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미숙과실과 황숙과실로 구별하고 이것들을 과육부분과 과피부분으로 나누어서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시켜 실험 시료로서 사용하였다. 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숙과실 보다도 미숙과실에서 높았으며,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열풍건조 보다는 동결건조시킨 시료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탄닌의 분획은 Sephadex LH-20칼럼을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바나나 과실에 함유하고 있는 탄닌은 prodelphinidin, procyanidin을 구성 단위로 하는 proanthocyanidin류의 축합성 탄닌으로 이러한 탄닌은 소화효소인 trypsin(EC 3. 1. 1. 3), ${\alpha}-amylase$(EC 3. 4. 21. 4), lipase(EC 3. 2. 1. 1)에 대하여 in vitro에 있어서 저해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또한 탄닌은 중합도가 높을수록 저해율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Root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 Jang, Ha Na;Ha, Ji Hoon;Lee, Yoon Ju;Fu, Min Min;Park, Soo Na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4-63
    • /
    • 2019
  • Rubus coreanus Miquel (RCM), also known as Korean blackberry or bokbunja, is used as a South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acne and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RCM root and its active compounds remain unclear. In this study, we prepared a 50% ethanol fraction, ethyl acetate fraction, and acid-treated ethyl acetate fraction (aglycone fraction) of RCM root, and evaluat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the skin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cne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aeruginosa. In a paper disc assay, all fractions of RCM roo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he five skin pathoge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displayed 6-, 12-, and 2-fold higher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han the 50% ethanol fraction against S. aureus, E. coli, and P. acnes, respectively. The aglycone fraction displayed 2-fold higher MIC than methyl paraben against P. acnes, S. aureus, E. coli, and P. aeruginosa. The ethyl acetate fraction displayed a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similar to that of methyl paraben, and the aglycone fraction showed 2- to 4-fold higher MBCs than those of methyl paraben. In particular,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not cytotoxic and showed thermal stability after incubation at high temperatures ($60-121^{\circ}C$). Finally, the ethyl acetate fraction was separated and four components were identified: procyanidin C, propelagonidin dimer, ellagic acid, and methyl ellagic acid acetyl pentose. The compounds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CM root is potentially applicable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cosmetics.

Effects of Fruit By-product Extracts on Blood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Immune Response in Pigs

  • Park, Jun Cheol;Lee, Se Hun;Park, Sung Kwon;Hong, Joon Ki;Zhang, Zheng Fan;Cho, Jin Ho;Kim, In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4호
    • /
    • pp.281-288
    • /
    • 2013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fruit by-products on the blood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immune response to Escherichia coli lipopolysaccharide (LPS) in growing pigs. A total of 96 pigs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with an initial BW of $27.94{\pm}0.92kg$ were used in a 6-week feeding trial. The pigs were randomly placed into one of four treatment groups with six replications (four pigs per replication) per treatment according to their initial BW. Treatments were: 1) CON (basal diet), 2) PRO (CON + 0.5% procyanidin), 3) HES (CON + 0.5% hesperetin), 4) TAN (CON + 0.5% tannin). At the end of the sixth week, five pigs (total 20 pigs, $BW=27.94{\pm}0.92kg$) were selected from each treatment and injected with LPS ($100{\mu}g/kg$ of BW).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3 h after LPS injection to assess anti-oxidative and inflammatory responses. After the LPS challenge, the concentration of serum cholesterol decreased with fruit by-product treatment compared with CON (p<0.05). The administration of TAN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blood total protein compared with the CON group 3 h after LPS challenge (p<0.05). The albumin concentration was also higher with PRO treatment compared to HES treatment (p<0.05). The concentration of IgM was increased by fruit by-product supplementation at 0 and 3 h (p<0.05). In addition, IgG concentration was higher in PRO, HES, and TAN treatments compared to CON treatment at 0 h, and IgG concentrations were also higher in the HES group compared to the CON group at 3 h (p<0.05). The concentration of IgA also increased with fruit by-product treatments at 3 h (p<0.05). In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ruit by-products may moderate the immune response after a LPS challenge in growing pigs.

소리쟁이 잎과 뿌리 성분 분석 및 사람 조골 유사 MG-63 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and Roots of Rumex crispus and their Effects on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s)

  • 박혜진;정재훈;현한빛;김지혜;김해성;오현일;황혜성;김하형
    • 약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307-313
    • /
    • 2014
  • Rumex crispus (curled dock), which is a perennial wild plant, has long been used as a laxative, astringent, and medicine to treat blood and skin diseases. We recently reported that the roots of R. crispus are an effective nutraceutical for bone. This study prepared ethanol extracts of the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and analyzed the major constituent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In addition, their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s, such as cell viability,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collagen content, and mineralization, were compared. The chromatogram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wo extracts exhibited quite different profiles: quercetin and quercitrin were identified as major peaks in the leaf extract, whereas cinnamtannin B1 and procyanidin isomers were the major peaks for the root extract. Neither extract was cytotoxic at concentrations of < $25{\mu}g/ml$. ALP activity and collagen synthesis-which are markers of the early stage of osteogenesis-in MG-63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the addition of the root extract compared with the addition of the leaf extract. In contrast, the leaf extract had a more stimulatory effect on mineralization-which is marker of the late stage of osteogenesis-in MG-63 cells than did the root extract. In conclusion, extracts of both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stimulated the bone-forming activity of osteoblasts; in particular, the root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the early stage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while the leaf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the late stage. This difference in anabolic activity may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and roots. The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appear to complement each other as stimulators of bone formation.

곡류의 혈당지수와 전분 가수분해율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Glycemic Index and in vitro Starch Hydrolysis of Cereals)

  • 이정선;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29-1235
    • /
    • 1998
  • 본 실험은 in vitro에서 곡류시료의 전분 가수분해율 및 가수분해지수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in vivo에서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곡류의 혈당지수를 포도당(GI-glucose)과 쌀밥 (GI-rice)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이러한 in vitro 및 in vivo 결과의 상관성을 검토해 봄으로써 in vitro에서의 전분 가수분해실험이 인체의 혈당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In vitro에서 각 시간별로 측정한 전분 가수분해율은 시간대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현미찹쌀이 가장 높고 보리가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 가수분해지수는 전분 가수분해곡선 면적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보리가 83%로 가장 낮았고 현미찹쌀이 112%로 가장 높았다. 그외는 율무, 차조, 차수수, 메밀, 현미멥쌀, 찹쌀, 멥쌀, 메조의 순으로 전분 가수분해지수는 각각 107, 105, 103, 102, 96, 96, 95, 92%이었다. 한편 곡류의 GI-glucose는 찹쌀군이 110%로 가장 높았고 보리군이 57%로 가장 낮았다. 또한 GI-rice는 차수수군 122%, 율무군 116%, 차조군 115%, 현미찹쌀군 106%, 찹쌀군 102%, 멥쌀군 100%, 현미멥쌀군 90%, 메조군 85%, 메밀군 79%, 보리군 63%로 나타났다. 이상의 in vitro 실험 결과와 in vivo 실험 결과를 통계처리 하였을 때 15, 30, 60, 90 및 120분의 전분 가수분해율, 가수분해곡선 면적 및 가수분해지수는 모두 GI-rice와 유의적인(p<0.05)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다단계 회귀분석에 의한 회귀방정식에서 GI-rice는 in vitro 실험결과의 변수에 의해 81%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곡류의 in vitro 전분 가수분해율은 곡류 섭취 후의 인체 내 혈당지수인 GI-rice를 반영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름용액의 pH를 10.0으로 조절하고 가소제와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혼합원료 중 유청분말의 비율을 70%까지 사용하여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지닌 생고분자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40.64{\sim}101.30)$, 7-ketocholesterol $(7.16{\sim}33.91)$. 모든 결과에서 처리구에 따른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전체 발생량은 조사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 발생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를 동시에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trans-2-hexanol이 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기능성에 기초하여 chocolate, 음료 등의 식품이나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다양한 동물종유래 S. aureus 균주들의 유전학적 분석목적에 가장 신뢰도 높고 감별능력이 뛰어난 분석기법으로 선발되었다.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 PDF

한국 전통 약주의 B16BL6 mouse melanoma 및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세포 성장 억제 효과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on in vitro and in vivo Progression of B16BL6 Mouse Melanoma and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 정건섭;오원택;남상민;손병수;박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70-1475
    • /
    • 1998
  • 한국 전통약주의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체내에서의 암세포 성장 및 전이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증자 발효 방법으로 발효시킨 전형적인 약주(전통약주II)와 이 약주에 한약재를 첨가하여 발효한 것(전통약주I), 비교 시료로 일본 청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각 시료를 동결건조하고 증류수로 재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는데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 결과 B16BL6 mouse melanoma 세포에 대하여 전통약주는 2종류 모두 본래 농도의 16배 미만의 희석 배수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일본 청주는 8배 미만의 희석배수에서 나타냈다. HRT18 human colon adenocarcinoma 세포에 대한 독성은 비교적 B16BL6 세포의 경우 보다 모두 낮았다. 일상적인 음용 범위 내에서 모든 시료들의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독성은 미약하였으나, 낮은 희석배수에서도 대상 세포들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각 시료들의 항암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B16BL6 세포를 이용하여 체내에서의 암세포 성장 및 전이를 분석하였다. 암세포를 마우스의 발바닥에 피하접종하고 시료를 섭취시켜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조사한 결과 일본 청주에 비교하여 전통약주I과 전통약주II 섭취 군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전통약주I은 암의 전이 억제에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항암효과는 전통약주의 어떤 성분이 직접적으로 암세포에 작용하기보다는 면역세포 등을 포함한 여러 다른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작용하여 간접적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이내에는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3{\sim}11.9%$ 였으며 기온은 $4.3{\sim}6.5^{\circ}C$낮았다. 또한 지온은 5월에서 8월까지 $17.5{\sim}20.1^{\circ}C$로 경과되어 외기기온의 $25.1{\sim}30.8^{\circ}C$에 비하여 낮았으나 변화폭이 작았다.ol, cis-3-hexenol, trans-2-hexanol 등(等)이 높은 함양(含量)을 보였다. 유기물(有機物) 종류간(種類間)에는 침엽수(針葉樹)/이끼 퇴비(堆肥)에서 주요(主要) 향기성분(香氣成分)인 1-hexanol이 78.62, cis-3-hexenol이 36.65. trans-2-hexanol이 120.41 peak area%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향기(香氣)가 높은 자생지(自生地) 토양(土壤)의 1-hexanol이 74.47, cis-3-hexenol이 44.21, trans-2-hexanol이 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 PDF

고사리 단백다당(Pteridium aquilinum Glycoprotein, PAG)이 마우스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lycoprotein Isolated from Pteridium aquilinum on the Immune Function of Mice)

  • 박현애;권미향;한형미;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76-982
    • /
    • 1998
  • 고사리 수추출물에서 분리된 단백다당획분(Pteridium aquilinum glycoprotein, PAG)이 마우스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의 복강내에 14일간 반복 투여한 후 마우스의 체중 및 면역장기의 무게변화를 관찰하면서 마우스 항체생성능과 비장세포 증식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AG를 용량별$(0{\sim}500{\;}{\mu}g/kg)$로 투여한 결과 마우스 체중변화와 면역장기에는 커다란 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HEL에 대한 항체생성능에 있어서는 $500{\;}{\mu}g/kg$ 투여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시험물질을 투여한 마우스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phytohemagglutinin (PHA) 혹은 lipopolysaccharide (LPS)에 대한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 PAG 투여군에 있어서는 PHA와 LPS유도 비장세포 증식능이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되었음이 관찰되었다. 비장세포 증식능에 대한 in vitro 시험결과 LPS에 대한 반응증가는 단백다당획분(PAG)의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에 의하며, PHA에 대한 반응증가는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PAG의 항체생성능 증가에 기여하는 활성부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periodate산화 및 pronase소화를 실시하여 얻어진 각각의 조단백, 조다당분들과 고사리 수추출물에서 정제된 정제다당획분이 항체생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시험결과 조다당투여군과 정제다당 투여군에서는 항체생성능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eriodate 산화물인 조단백 투여군에서 뚜렷한 항체생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실험결과 PAG의 단백성분이 항체생성능 증가에 있어서 주요 활성 본체임을 알 수 있었다., 660 mmHg 및 560 mmHg 압력 중 560 mmHg의 감압 하에서 5회 반복 수세하는 것이었다. 분자구조 변형에 의한 것이라 사료된다./TEX>일 경에 점질물과 산패취가 발생하여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고, $-20^{\circ}C$ 저장구는 저장 100일 까지 상품으로서 가치를 유지하였다.등의 네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효과를 요인간으로 비교하면 한일 양국이 함께 가격의 효과가 가장 작다. 그러나 그 이외 요인별 효과의 상대적 중요성은 양국간에 다른데 한국은 소비지출의 효과가 출생연도나 연령 효과보다 크지만 일본은 경제적 요인인 소비지출보다 세대주의 출생연도나 연령 등의 비경제적 요인의 효과가 크다.가능한 전분으로, 완전한 결정성구조를 가진 전분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기능성에 기초하여 chocolate, 음료 등의 식품이나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다양한 동물종유래 S. aureus 균주들의 유전학적 분석목적에 가장 신뢰도 높고 감별능력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