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ing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5,969건 처리시간 0.035초

특징 추출과 분석 기법에 기반한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 신뢰도 향상 시스템 (Protein-Protein Interaction Reliability Enhancement System based on Featur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

  • 이민수;박승수;이상호;용환승;강성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7호
    • /
    • pp.679-688
    • /
    • 2006
  • 대용량 실험으로부터 산출된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는 위양성(false positive) 데이터의 비율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류가 섞여있는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각 단백질 상호작용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에 상호작용의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생물학적 특징들에 관한 데이터를 통합하고 특징 선택 방법을 사용하여 통합된 속성들 중 위양성 여부를 판별하는데 가장 적합한 특징들을 선택한 후 데이터 마이닝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대용량 실험으로부터 산출된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의 신뢰도를 평가한다. 특징 선택의 결과와 분류 기법의 성능은 데이터 특성에 매우 의존하므로, 제안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속성 부분집합과 가장 좋은 성능을 내는 분류 알고리즘을 찾기 위해 다양한 특징 선택 방법과 데이터 마이닝 분류 알고리즘들을 적용하고 그 성능을 다각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실험 결과, 특징 선택 방법과 분류 알고리즘을 결합시킨 제안 시스템은 오류 데이터가 섞여있는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에서 실제로 상호작용하는 단백질 쌍을 골라내는 작업에 있어 기존 연구들에 비해 매우 뛰어난 성능을 보여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함에 있어서 다양한 특징 선택 방법들과 분류 알고리즘들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도 정리할 수 있었다.

시맨틱웹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자료 검색시스템 (An Elementary Educational Contents Retrieval System Using Semantic Web)

  • 이희경;전우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3A권6호
    • /
    • pp.545-554
    • /
    • 2006
  • 웹의 활용이 보편화 되면서 웹을 통한 자료의 검색이 증가하고 있으나, 웹상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학습자가 꼭 필요한 학습자료를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검색엔진을 이용할 경우 원하는 정보를 어느 정도 찾을 수 있으나 검색어 일치방식에 의존하는 현재의 검색엔진의 특성상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검색 결과 중에서 연관이 없는 정보를 필터링하기 위해 사용자가 많은 시간을 낭비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자원의 의미정보를 구조화하여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 통합, 재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맨틱 웹(Semantic Web)기술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습자료에 적합한 온톨로지(Ontology)를 제안하고, 의미적 연관관계를 통해 학습내용에 접근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의 역사분야 학습 내용에 관한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검색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료와 연관된 사용자 질의어를 보다 상세하게 입력받아 검색결과를 얻는다. 둘째, 사용자 질의어를 바탕으로 학습자료 온톨로지에 질의하여 검색어가 포함된 결과 및 검색어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결과로 얻는다. 셋째, 질의어와 연관된 내용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웹 검색과 문서 유사도를 활용한 2 단계 신문 기사 표절 탐지 시스템 (A Two Phases Plagiarism Detection System for the Newspaper Articles by using a Web Search and a Document Similarity Estimation)

  • 조정현;정현기;김유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2호
    • /
    • pp.181-194
    • /
    • 2009
  • 최근 문서 저작권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어 문서 표절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표절 문제는 신문기사의 경우에서도 큰 관심을 끌고 있는데, 이는 상업적 가치가 큰 기사의 표절 또는 무단도용 문제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의 문서 표절 관련 연구는 실시간 특성이 매우 강한 신문 기사의 표절 문제에 적용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현재는 이러한 표절 기사를 가려내기 위해 수백 개의 신문사에서 하루 수천 건씩 올라오는 기사들을 눈으로 일일이 가려내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간과 비용의 문제를 줄이기 위해 네이버와 다음에서 제공하는 웹 검색 OpenAPI를 활용해 표절 가능성이 있는 기사들을 1차적으로 선별한 다음, 선별된 기사들과 원본 기사와의 문서 유사도를 측정하여 선별된 기사들의 표절 여부를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위하여 연합뉴스에서 제공되는 기사를 원본 기사로 활용하였고, 표절 가능성이 있는 기사는 네이버 및 다음의 뉴스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 중에서 선별하도록 하였다.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위한 로그 기반의 B-트리 (Log-Structured B-Tree for NAND Flash Memory)

  • 김보경;주영도;이동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6호
    • /
    • pp.755-766
    • /
    • 2008
  • 최근 NAND 플래시 메모리는 하드 디스크에 비해 작고, 속도가 빠르며, 저 전력 소모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저장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쓰기-전-소거 구조, 비대칭 연산 속도 및 단위와 같은 독특한 특징으로 인하여, 디스크 기반의 시스템이나 응용을 NAND 플래시 메모리 상에 직접 구현시 심각한 성능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NAND 플래시 메모리 상에 B-트리를 구현할 경우, 레코드의 잦은 삽입, 삭제 및 재구성에 의한 많은 양의 중첩 쓰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급격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해 ${\mu}$-트리가 제안되었으나, 잦은 노드 분할 및 트리 높이의 빠른 신장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갱신 연산을 위해 특정 단말 노드에 해당하는 로그 노드를 할당하고, 해당 로그 노드에 있는 변경된 데이터를 한 번의 쓰기 연산으로 저장하는 로그 기반의 B-트리(LSB-트리)를 제안한다. LSB-트리는 부모 노드의 변경을 늦추어 추가적인 쓰기 연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키 값에 따라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삽입할 때, 로그 노드를 새로운 단말 노드로 교환함으로써 추가적인 쓰기 연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비교 실험을 통하여 ${\mu}$-트리와 비교함으로써 LSB-트리의 우수성을 보인다.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의 클라이언트를 위한 실용적 프로세스 모델 (A Practical Process Model for Clients i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 이재유;김수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4호
    • /
    • pp.513-522
    • /
    • 2008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는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범용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여 배포(Publish)하고 동적으로 발견(Discover), 조립(Composition)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기술이다. 따라서 SOA는 Publish-Discover-Invoke 형태의 컴퓨팅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객체지향, CBD의 컴퓨팅 방식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SOA의 서비스는 절차적 프로그래밍의 함수, 객체지향의 객체, CBD의 컴포넌트와는 다른 구성 단위(Unit)이며, 재사용성과 보편성이 서비스의 기본적인 요구사항이 된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사전 상호인지나 정보의 공유없이, 서비스 제공자가 재사용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개발하고, 서비스 사용자는 이를 검색한 후 사용하는 방식이므로 제공자와 소비자 간의 결합도가 매우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SOA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실행시간에 검색,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도 기존 컴퓨팅 방식에는 적용되지 않은 개념이다. 따라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처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서버의 기능을 JSP, RMI 등을 사용하여 호출하는 방식은 SOA 서비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계 하는데 잘 적용될 수 없다. SOA 서비스 클라이언트 개발을 위해서는 서비스의 특징과 SOA의 서비스 사용 절차를 설계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서비스 클라이언트 개발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가 정의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서비스 제공자 측면의 SOA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조차 정의가 부족하고, 서비스 사용자 측면의 클라이언트 개발 프로세스는 소수의 가이드라인을 제외하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서비스 검색과 실행을 위한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와 각 단계별 지침을 정의하고, 호텔 검색 및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제시된 개발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XML-GDM을 기반으로 한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사상을 위한 XML문서와 질의의 객체 모델링 (Object Modeling for Mapping from XML Document and Query to UML Class Diagram based on XML-GDM)

  • 박대현;김용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7D권2호
    • /
    • pp.129-146
    • /
    • 2010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XML 문서는 유연하고도 개방적인 특성으로 인해 정보교환이나 전송을 위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XML 문서를 위한 시각적, 직관적 질의 언어인 XML-GL은 질의에 대한 의미와 결과 문서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XML 문서에 대한 구조 검색과 정보의 공유가 용이하다. 그리고 UML은 정해진 표기법과 다양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객체지향 분석과 설계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XML-GL의 데이터 모델인 XML-GDM을 기반으로 표현된 XML 문서를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으로 사상하기 위한 새로운 객체 모델링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서 XML 문서를 직관적인 방법으로 객체지향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객체지향 검색방법을 적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XML 문서를 검색할 수가 있다.

S-100 표준 기반 피처 카탈로그 제작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eature Catalogue Builder based on the S-100 Standard)

  • 박대원;권혁철;박수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8호
    • /
    • pp.571-578
    • /
    • 2013
  • 국제수로기구(IHO)의 공간지리 공통 데이터 모델에 관한 표준인 S-100을 기반으로 하는 S-10x 데이터 제품사양(Product Specification)은 해양의 특정 분야 데이터를 제작, 배포하는 기준에 관한 표준이다. 전자해도 데이터와 같은 피처 중심의 데이터는 피처 카탈로그를 S-10x 데이터 제품사양의 주요 구성 요소로 포함한다. 피처 카탈로그는 대상 분야 및 대상 분야의 데이터에 관한 전문 지식을 갖춘 도메인 전문가에 의해 제작되어 진다. 그러나 도메인 전문가가 피처 카탈로그를 구조화된 XML 문서로 오류 없이 작성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국제수로기구의 TSMAD 워킹그룹 회의에서도 카탈로그의 제작을 지원하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 전문가가 S-10x 제품사양의 피처 카탈로그를 일관되고 구조화된 XML 문서로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도구로 피처 카탈로그 빌더를 설계, 구현하였다. 피처 카탈로그 빌더는 자바 기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피처 개념 사전(Feature Concept Dictionary) 레지스터의 등록 아이템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대상 분야에 적합한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피처 카탈로그 빌더를 개발하였다.

케이블형 Wi-Fi 기반 실내 공간의 노드 배치 판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riminant analysis of node deployment based on cable type Wi-Fi in indoor)

  • 진현철;김원열;김종찬;김윤식;서동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9호
    • /
    • pp.836-841
    • /
    • 2016
  • Wi-Fi를 이용한 실내 위치인식 시스템은 2차원 이상의 실내 공간 정보와 노드 위치정보 등이 결합된 무선 신호 지도의 제작이 필수적이다. 이를 구성하기 위한 과정인 Wi-Fi 노드의 RSSI 측정 및 배치 정보 확인에 시간 비용이 크게 발생한다. 특히 기존의 무선 환경이 변하거나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질 경우 실내 위치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드의 재설치 및 새로운 실내 무선 지도 제작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시간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3 m 간격으로 설치된 Cable형 Wi-Fi를 사용하여 정확한 노드의 배치 위치를 판별 및 공간 분석이 가능한 RSSI 가시화 및 Sobel 필터 기반 경계선 검출을 통해 복도 구간의 직선과 곡선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Cable형 Wi-Fi는 동일한 전력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노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순서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공간의 특정 구간을 분석이 가능하도록 측정된 RSSI 기반 가시화과정을 통해 신호의 분포를 확인하고 이를 Sobel 필터 기반 경계선 검출 및 Total RSSI Distribution(TRD) 연산을 통하여 분석한다. Raw data와 제안하는 알고리즘 신호강도를 비교해본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신호 세기는 곡선 구간에서 경계선 특성이 평균 13.73 % 증가하였다. 또한 직선 구간 신호의 세기를 평균 34.16 % 감소시켜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의 특성이 개선되었다.

Pectinase 처리가 복분자 과즙의 추출 수율 향상과 알코올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ctinase Treatment on the Extraction Yield Improvement from Rubus coreanus Juice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 정은정;김형은;신동화;김용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02-708
    • /
    • 2007
  • Pectinase 처리가 복분자 과즙의 추출 수율에 미치는 영향과 알코올 발효 중 이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ectinex 100L 처리(500 ppm, 30분)에 의해 복분자 과즙의 추출 수율은 대조구보다 8.60%가 증가되었다. 설탕 첨가에 의해 $24^{\circ}Brix$에서 발효를 시작한 처리구(24B-group)와 $8^{\circ}Brix$에서 발효를 시작하고 발효 4일 후에 설탕 16%를 첨가한 처리구(8B-group)의 고형분 함량은 발효 10일 후에 각각 $8.2{\sim}8.3%$$7.7{\sim}8.0%$로 감소하였으나 Pectinex 100L 처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Pectinex 100L 처리구의 초기 적정산도는 $1.18{\sim}1.22%$로서 대조구(1.02%)보다 약간 높았다. 발효 초기에 복분자 과즙의 명도($L^*$)와 황색도($b^*$)는 효소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대조구와 효소처리구 사이의 색차(${\Delta}E^*$)는 발효기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발효 10일 후 24B-group과 8B-group의 알코올 함량은 각각 $16.01{\sim}16.22%$$13.29{\sim}13.52%$ 이었으며, 메탄올 함량은 각각 $0.359{\sim}0.404$ ppm과 $0.520{\sim}0.604$ ppm을 나타내어 법적 기준에 적합하였다.

음파를 이용한 비파괴 수박 내부품질 판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System for Internal Quality of Watermelon using Acoustic Wave)

  • 최동수;이영희;최승렬;김기영;박종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09
  • 음파를 이용한 수박의 내부품질을 비파괴적으로 판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박품질판정기는 크기가 $200{\times}200\;mm$, 무게가 290 g로 휴대가 가능하여 수박 재배포장, 집하장, 슈퍼마켓 등 현장에서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수박의 음파수집한 후 음파데이터에서 영교차율, 피크(peak)점간 거리 표준편차, 시간파형에서 진폭 적분값, 주파수대역 에너지, 영점빈도수와 같은 특징인자를 추출하여 내부품질을 판정할 수 있는 주성분회귀 모델개발에 이용하였다. 개발된 수박의 주성분회귀 모델의 상관계수는 0.79, SEC는 0.28로 판정정확도는 87% 이었으며, 모델 검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8, SEP가 0.785로 판정정확도가 83%이었다. 생산자 내부품질판정 정확도를 조사한 결과, 생산자 판정 정확도는 75%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