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based knowledge map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4초

비즈니스 프로세스 맵을 이용한 시스템 요구 분석 방안 연구 (Requirements Analysis based on Business Process Knowledge for Requirements Engineering)

  • 나정은;송주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7-210
    • /
    • 2004
  • Waterfall 모델에서의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이것이 다음 단계의 input 이 되어 개발자에 의해 작업이 진행되는 개발 양식을 따른다. 시스템 요구 사항을 정의할 때에, 프로세스 관점에서 사용자 업무를 이해하고, 이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시스템과의 관계를 정의하여 요구 사항으로 함께 정의한다면, 단순한 시스템의 기능을 정의하여 개발하는 것 보다 시스템의 사용 목적을 이해하고 개발하게 됨으로써, 더 만족도 높은 시스템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스 관점에서 이해하고 정의하는 시스템의 요구 사항은 시스템 보수 작업(Maintenance)시에도 시스템의 상황이 현재 업무 프로세스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용이하고, 테스트 단계에서도 테스트 조건이나 테스트 시나리오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새로운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에게도 시스템 개발 요구 사항에서 정의된 업무 프로세스 맵(Map)이 관련 업무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재 활용 될 수도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에서 사용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맵핑(Mapping) 기술을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 적용하여, 요구 분석 단계에서 사용하는 분석 도구로서의 응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외국인 이주자의 지역사회 적응과 지리적 지식 (Local Adjustment and Geographical Knowledge of Foreign Immigrants in S. Korea)

  • 최병두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63
    • /
    • 2010
  • 외국인 이주자들이 급증함에 따라, 사전 지식과 경험이 없는 이들이 거주 지역에 어떻게 적응하는가가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들의 지역 적응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한편으로 지역환경 및 지역주민과의 관계를, 다른 한편으로 이들에 관한 지리적 지식과 상상력을 축으로 하는 모형이 제시될 수 있다. 이 모형에 바탕을 두고,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외국인 이주자들의 지역 환경 적응에서, 자연환경에 대한 적응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주거 및 주변 환경, 소비 여가시설, 그리고 의료 행정기관의 이용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에는 큰 어려움이 없지만, 호혜적 행동(경조사 참석, 돈을 빌림 등)은 어려운 것으로 느끼고 있다. 또한 이들은 지역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TV, 인터넷, 지도'등에 많이 의존하며, 다음으로 '같은 출신국 친구'와 '직접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의 심상도는 이주 유형과 지식 수준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지역사회에서 느끼는 어려움은 결혼이주자들이 가장 적고 이주노동자들 (특히 미등록)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려움에 대해 결혼이주자와 이주노동자는 '혼자 참는' 경향이 큰 반면, 전문직 이주자와 외국인 유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 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사회 적응 정도와 어려움은 유형별, 성별, 출신국적별, 거주지별로 차이를 나타내며, 따라서 이들의 특성과 차이에 적합한 정책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비보정 (un-calibrated) 영상으로부터 중간영상 생성을 위한 뷰 몰핑 (View Morphing for Generation of In-between Scenes from Un-calibrated Images)

  • 송진영;황용호;홍현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5
  • 영상들 간의 2차원 변환을 표현하는 영상 몰핑(morphing)기술은 대상 물체의 위치나 카메라 시점 변화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왜곡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뷰(view) 몰핑 방법은 사후 워핑(postwarping)을 위한 제어점이 필요하고 영상 내 가려짐 등에 대한 제약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보정(un-calibrated)된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두 영상을 이용하여 임의 중간(in-between) 시점에서의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새로운 몰핑 알고리즘이 제안된다. 제안된 방법은 두 영상의 기본행렬(fundamental matrix)을 구하여 영상을 교정(rectification)한 다음, 양방향 시차맵(disparity map)을 이용해 선형 보간(linear interpolation)한다. 그리고 대상 영상과 교정된 영상간의 변환행렬(homography)을 역투영(inverse projection)하여 중간영상들을 생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카메라의 복잡한 보정(calibration)과정과 대상 장면에 대한 3차원 정보가 필요 없기 때문에 사진이나 그림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영상에 대한 실험결과로부터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생성된 중간영상은 가상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환경 및 영상통신 등의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Modeling the Visual Target Search in Natural Scenes

  • Park, Daecheol;Myung, Rohae;Kim, Sang-Hyeob;Jang, Eun-Hye;Park, Byoung-Ju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05-713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dict human visual target search using ACT-R cognitive architecture in real scene images. Background: Human uses both the method of bottom-up and top-down process at the same time using characteristics of image itself and knowledge about images. Modeling of human visual search also needs to include both processes. Method: In this study, visual target object search performance in real scene images was analyzed comparing experimental data and result of ACT-R model. 1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the model was simulated ten time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wo conditions, indoor images and outdoor images. The ACT-R model considering the first saccade region through calculating the saliency map and spatial layout was established. Proposed model in this study used the guide of visual search and adopted visual search strategies according to the guide. Results: In the analysis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performance time between model prediction and empirical data was found. Conclusion: The proposed ACT-R model is able to predict the human visual search process in real scene images using salience map and spatial layout. Application: This study is useful in conducting model-based evaluation in visual search, particularly in real images. Also, this study is able to adopt in diverse image processing program such as helper of the visually impaired.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고고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 푸코의 고고학적 언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aeological Approach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 Focusing on the Archaeological Statement of Foucault -)

  • 박경애;박영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99-106
    • /
    • 2010
  • This study is about Foucault'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relevance for structural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history. By Foucault's Theory, regionalism is product of the instrumentality of space, power, knowledge and provide the basis for making the operation of power both spatial and tempo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opographical map of historical progress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forming of identity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on the poststructural-archaeological aspect.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it suggests Foucault's 'Theory of archaeology'. It mentions 'historical apriori' and archive, collateral space and general grammar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archaeological logic. Secondly, it clarifies 'statement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that is 'episteme' in which they emerge and exist within a field of discourse. And it discuss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concept as a social product on the situated character of interaction in time-space. Finally, it studies genetic variation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based on the social progress in Korean society. And it analyses practical actions of 'Statements' in terms of general grammar and textuality.

셀프서비스 연구 이슈와 추세에 대한 코로나-팬데믹 발생 전후 차이 분석: Citespace를 이용한 계량서지학적 접근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the Self-Service Research Issues and Trends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 A Bibliometrics Approach by Using Citespace)

  • ;고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3-72
    • /
    • 2022
  • As a trend of modern service industry, self-service has been widely concerned by all walks of life, but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on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overall research in this field. Recently, people's lifestyle has been forced to change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while there have been some changes in the field of self-service research. Based on the Web of Science data source, this study takes the literature of self-service fiel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s the research object, and summarizes the development process, research status and future research trend of self-service field through the Citespace visualization tool. The research shows that firstly, academic circles continue to be enthusiastic about self-service field research,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i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Secondly, the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iv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gradually becomes the mainstream. Third, related research gradually shifted t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echnology, the research perspective gradually shifted from the initial traditional retail perspective industries such as tourism services. Finally, the role of customer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in self-service process is gradually emphasized.

메타버스 내 스페이스텔링을 위한 흥미유발 선행조직자 모델 기반 스마트관광 개념지도 설계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Tourism Concept Map based on the model of Advance Organizer that attracts Interest for Space Telling in Metaverse)

  • 김소진;주용민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8호
    • /
    • pp.45-59
    • /
    • 2023
  • 관광 목적으로 메타버스를 체험하려는 사용자는 문화콘텐츠의 목적에 의해 공간 속 전략적인 기획에 노출된다. 또한, 가상환경에 따라 진행되는 과정에서 통합적인 문화콘텐츠를 학습하게 되고 나아가 시공간적 의미와 함께 결국 스페이스텔링까지 경험하게 된다. 사용자에게 체험 시작부터 흥미를 유도하여 체험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장애요소들이 발생한다. 충분한 사전지식 없이 관심키워드만을 가진 사용자에게 새로운 정보와의 연결을 촉진 시켜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흥미 제고를 위한 효율적인 설계 방법을 사전에 연구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가상공간 속에서 흥미유발을 위한 선행조직자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태이다. 본 연구는 개발자가 가상공간의 의미와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흥미유발 설계 방법으로 개념지도 기반 선행조직자 교육학습 기법을 이용한 기초 연구라고 볼 수 있다. 먼저 가상공간 요소와 인간행동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현재 활용되어지는 선행조직자의 5가지 대표 사례들을 탐구하고 정보접근 및 전달 목적의 개념지도를 기반으로 재설계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메타버스 체험자들에게 공간적 속성과 인지적 흥미 요소가 스토리텔링 학습으로 이어지는 유의미한 학습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점과 개념지도를 통한 서비스 디자인 설계방법의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왕절개분만 산욕부와 신생아의 가정간호 사례분석 (A Case Analysis of Home Health Care for Cesarean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wborns)

  • 김혜숙;최연순;전은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96-705
    • /
    • 1994
  •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a basis for home health care management for women following Cesarean delivery. Furthermore it was initiated as an possible application of home health care in the future. In this study, client selection criteria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ssessment tools for home health care, recording system and problem oriented recording system were revised from Jun's(1993) methods. The selection criteria tool for home health care for women who had a Cesarean delivery was structured and consisted of five areas : physical status, functional status, psychological-emetional status, educational needs status and environmental status. The structured assessment tool consisted of general items, obstetric history, past medical history, methods of feeding, medications taken before ad-mission, laboratory results, discharge instructions, discharge medications, family tree, economic status, environmental status, a map, health assessment of women and their newborns. The visit note consisted of the date : nursing problems : nursing process including initial assessment : nursing goals : visit plan : health status of the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wborn : nursing diagnoses : nurs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 summary : next visit plan and revision. The problem oriented recording system consisted of the date, problem numbers, nursing diagnoses, problem appearance date, problem resolution dat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The seven cases having had a Cesarean delivery were discharged on an average on the 5th day after the Cesarean birth. The total number of home visits was 13. According to Cordon's functional health patterns the total possible nursing diagnoses was 34 diagnoses for the methers and their newborns. Among the 34 diagnoses, there were 13 diagnoses in the health perception /management pattern, 7 in the psychosocial health perception / management pattern, 8 in the psychosocial self-perception, 2 in the nutrition / metabolism pattern of physical function, 2 in the knowledge deficit of newborn management, anxiety related to newborn management, knowledge deficit related to disease process of new-born, anxiety related to disease process of newborn anxiety related to prognosis of baby's condition, knowledge deficit related to newborn jaundice each appeared once.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was related to not the number of visits but to the number of nursing diagnoses decreasing. The con-tent of the home health care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assessment, direct care, counseling, education, family care. The recommend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Home health care nurses for Cesarean postpartum women and their neonates requires comprehensive knowledge of pregnancy, delivery, and the postpartum period and of the neonate so that they can provide appropriate care and holistic views. Most of cases terminated after the second visit, this outcome may be related to the subjects being discharged on the 5th day after delivery. Therefore, study done with earlier discharge after delivery may have different outcome. It is very hard to assess psychological aspects that need follow-up and to develop communication channels.

  • PDF

A biologically inspired model based on a multi-scale spatial representation for goal-directed navigation

  • Li, Weilong;Wu, Dewei;Du, Jia;Zhou, 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3호
    • /
    • pp.1477-1491
    • /
    • 2017
  • Inspired by the multi-scale nature of hippocampal place cells, a biologically inspired model based on a multi-scale spatial representation for goal-directed navigation is proposed in order to achieve robotic spatial cognition and autonomous navigation. First, a map of the place cells is constructed in different scales, which is used for encoding the spatial environment. Then, the firing rate of the place cells in each layer is calculated by the Gaussian function as the input of the Q-learning process. The robot decides on its next direction for movement through several candidate actions according to the rules of action selection. After several training trials, the robot can accumulate experiential knowledge and thus learn an appropriate navigation policy to find its goal. The results in simulation show that, in contrast to the other two methods(G-Q, S-Q), the multi-scale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is not only in line with the multi-scale nature of place cells, but also has a faster learning potential to find the optimized path to the goal. Additionally, this method also has a good ability to complete the goal-directed navigation task in large space and in the environments with obstacles.

분산 처리 환경에서 SWRL 규칙을 이용한 대용량 점증적 추론 방법 (Large Scale Incremental Reasoning using SWRL Rules in a Distributed Framework)

  • 이완곤;방성혁;박영택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4호
    • /
    • pp.383-391
    • /
    • 2017
  •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 하면서 시맨틱 데이터의 양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 시맨틱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암묵적 정보를 추론하기 위해서 지식 사용자의 경험적 지식을 기반으로 작성된 SWRL(Semantic Web Rule Language) 규칙들을 활용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단일 노드의 추론 시스템들은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한계가 있고, 다중 노드 기반의 분산 추론 시스템들은 네트워크 셔플링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시스템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인 분산 추론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네트워크 셔플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데이터 파티셔닝 전략을 소개하고, 점증적 추론에서 사용되는 추가된 새로운 데이터의 선별과 추론 규칙의 순서결정으로 추론 과정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측적하기 위해 약 2억 트리플로 구성된 WiseKB 온톨로지와 84개의 사용자 정의 규칙을 이용한 실험에서 32.7분이 소요되었다. 또한 LUBM 벤치 마크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맵-리듀스 방식에 비해 최대 2배 높은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