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skill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2초

Creativity in medical education: concepts related to creative capacity

  • Kim, Yura;Lee, Young Hwa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79-83
    • /
    • 2020
  • In the 21st-century postmodernism era, which represents diversity and relativity, one of the most essential elem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to strengthen individual human values. Accordingly, we must focus on developing capacity in order to adapt to change. It is clear that the medical field maximizes the need for new judgments to solve life-related problems constantly, and this problem-solving capacity is an essential skill for a physician. Problem-solving capacity can be achieved simultaneously with creativity to apply them in an appropriate manner based on standardized expertise and well-trained skills. Creativity is also a key element that medical education is currently pursuing. Many studies on creativity have resulted in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s on the concept of creativity due to similar terms and varied definitions, such as creation, innovation, etc. In this study, we attempt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medical education by comparing and organizing concepts related to creative capacity.

대인관계 인지 문제해결 기술훈련의 효과 - 교육가능 정신지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 (EFFECTS OF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KILLS TRAINING ON ADOLESC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 오경자;이미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100-10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Spivack와 Shure(1982)의 국민학생용 대인관계 인지 문제해결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정신지체 학생들의 능력 및 특성에 맞도록 수정, 압축하여, 이를 교육가능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8주간 총 32회(1회 $30{\sim}35$분)에 걸쳐 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 문제해결 기술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정신지체 학생은 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정신지체 학생보다 훈련 전에 비해 대안적 사고 능력과 결과적 사고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부모에 의한 행동평가(CBCL) 및 교사에 의한 행동 평가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인관계 인지 문제해결 기술훈련이 실제 문제해결 기술능력 가운데 중요한 인지기제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고 결론 내릴 수 있으나, 이러한 인지기제의 유의미한 향상이 짧은 훈련 기간 등의 문제로 인하여 행동상의 적응으로는 연결되지 않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훈련기간을 길게 하여 과잉학습을 충분히 시키고, 부모 훈련을 함께 실시하며, 행동적 접근을 병행한다면 대인관계 기술훈련의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고, 그 효과가 지속되며 실제 생활 장면에서 일반화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 PDF

Integrating Soft Skills into Online EFL Classroom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Challenge Questions

  • Seo, J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8권3호
    • /
    • pp.58-65
    • /
    • 2022
  • This study proposed a soft skill integration activity for online EFL classrooms and investigated student responses. Toward this end, this study recruited 54 college students taking an Englis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lass in South Korea. Participants were assigned into high and low-proficiency groups based on the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his study employed questionnaire, class video recordings, and interview to obtain responses. Moreover, problem-based learning with challenge questions was applied to develop soft skills in online synchronous classes. Responses were examined in terms of whether a difference existed according to English proficienc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Regardless of proficiency levels,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ments in their IT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exhibited positive attitudes toward live online presentations via Zoom. However, this study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perceived learning, and confidence. Interviews with student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levels revealed that they were negatively affected by the lack of non-verbal cues, mechanical skills, and socialization time provided by online classes. Based on thes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과학 글쓰기 활동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 방안에 대한 연구 (Study on Enhancement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cience Writing Activities)

  • 박혜진;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649-657
    • /
    • 2014
  • 과학 글쓰기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해서 과학글쓰기 수업 모형(REWS 모형)을 개발하였다. REWS 모형은 네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R단계는 읽기를 통해 과학적 문제를 인식하는 단계이며 E단계는 문제를 탐색하는 단계, W단계는 글쓰기를 통해 과학적 이해를 증명하는 단계이고 S단계는 통합적 문제해결 단계이다. 135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고 실험반은 REWS 모형으로 수업을 하였고 비교반은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34차시동안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실험반과 비교반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즉 과학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 전략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래밍입문 수업에서 스크래치 활용 효과분석 (The Effect of teaching Scratch in introductory programming course)

  • 박정신;조석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449-456
    • /
    • 2012
  • 초보자들은 프로그래밍 입문 수업을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적 지식뿐만 아니라, 알고리즘 구상과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과정이 필요하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제해결력을 키우는 과정 없이 프로그래밍언어의 지식과 문법위주의 교육이 주가 되는 현실에서 기초 학력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전문대학의 컴퓨터전공 학생들이 프로그래밍언어 수업에서 느끼는 어려움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인 스크래치를 활용한 학생들이 활용하지 않은 반 학생들에 비해 문제 해결력, 프로그래밍 작성 능력, 수업의 만족도면에서 크게 향상되었음을 비교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방안으로서 아이디어 생성 및 검토 단계에 창의적 사고 기법을 도입한 문제 해결 프로그램의 가능성 탐색 (Exploration of Problem Solving Program including Creative Thinking Skills in the Idea Generation and Verification Stages as Method for Fostering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 강경아;윤지현;강성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1호
    • /
    • pp.95-108
    • /
    • 2015
  • Studie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the idea generation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y were also not to go through with the verification process for selecting idea. Thus, it may be more effective to provide an actualized idea generation and verification method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creativity problem solving program with the attribute listing and PMI skills in the idea generation and verification stages respectively and applied it to six groups consisting of 5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analyzed the creativity and the verbal interactions among the students at the level of interaction unit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blem solving program with the creative thinking skill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luency and originality that were sub-elements consisting creativity. In the analyses of interaction unit, the frequencies of the 'making suggestion' at the idea generation stage were high. And at the idea verification stage, the frequencies of the 'making suggestion' and 'receiving opinion' were high.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 (A model of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special subject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technical high schools)

  • 김익수;문대영;류창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0
    • /
    • 2006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와 산업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의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일, 학습, 삶이 상호연관 되는 질 높은 실기 수업을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에 적합한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합한 문제해결 과정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고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 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형태를 의미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교사는 문제의 설계, 문제해결을 촉진하는 질문과 언어적 개입이 요구되며, 힌트와 조력을 하는 코치 역할과 Think Aloud을 이용한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인지적 모델링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문제 중심 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습동기 유발 및 자기 주도적 학습과 협동적 학습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A meta-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n adolescent psychosocial smoking preven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 Song hwang, Myung-Hee;Rick Petosa;Yeagley, Kathleen-Lux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제3권1호
    • /
    • pp.99-111
    • /
    • 2001
  • Adolescent psychosocial smoking prevention programs have been successful, but limited in the magnitude of program effects on the reduction of smoking behaviors. This is primarily due to the mixed results of independent studies with program variations. This systematic, quantitative research synthesis is designed to identify program key factors that are likely to increase program effects. The present study examined school-based psychosocial smoking prevention programs (1978-1997)among students in grades 6 to 12 in the United States. Theoretical formulations in this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posit that program impact on knowledge and/ or skills is associated with less smoking behaviors among program participants. Knowledge facto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cluded health effects, social consequences, social influences, and social norms. Skill factors included affective skill, self-efficacy, assertiveness, self-control, problem solving, and refusal skill.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cial consequences knowledge factor and assertive communication skill factor in decreasing adolescent smoking behaviors.

  • PDF

취학 전 아동을 위한 OTSM-TRIZ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 (Improvement in Creativity Problem Solving based on OTSM-TRIZ for Preschool Students)

  • 최윤희;김훈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96-50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아동들의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 구안을 위하여 OTSM-TRIZ에 기반 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기법을 검토하려 한다. 이를 위한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둘째, OTSM-TRIZ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OTSM-TRIZ에 기초한 교육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러시아의 교육 사례를 검토하였다. OTSM-TRIZ는 TRIZ를 '강한 사고의 일반 이론'으로 변형한 방법이다. 현재 이 방법은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 및 대학 등의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TRIZ를 교육시키기 위한 창의적 사고 기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TRIZ란 주어진 문제의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얻어내는데 관건이 되는 모순을 찾아내고, 이를 극복함으로써 혁신적인 해결안을 얻을 수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론을 의미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on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 하영미;리메일링;채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347-356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이 프로그램이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 2학년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실험중재는 간호대학생에게 6회(총 8시간)의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근거기반실무 지식, 태도, 기술)과 문제해결능력이 실험전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간호대학에서 간호정보활용역량 강화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