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skill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18초

An Implement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for Routing Design Course

  • Lee, Sang-G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7권4호
    • /
    • pp.570-575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n implement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in routing design course. The total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class were 48 and were divided into groups of 3~4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 survey was conducted to check the student's level of back ground knowledge acquired from the prerequisite courses. At the end of the curse, we also conducted a survey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ject-b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 end of course survey, the course was helpful to identify the problems to solve by themselves, to develop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o understand the global picture of the subject by integrating knowledge of each chapter into a project. The survey also shows that stud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teamwork skill throughout the project activity.

PBL적용 자유탐구 기법이 과학탐구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 이용섭;김대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39-24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Problem-Based Learning: PBL) to improv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To verify this research, twenty-two third-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Chung-ryeol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hey have received pre-test and post-test about their abilities in their science process skills and abilit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Also, their self-reflection data was analyz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BL process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amed 'I am the expert on Earth and Moon' which is recreated by analyzing the science curriculum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rom Lesson 3 'Earth and Moon', and to make plans for solving the information with K/NK method. Then, to solve the information is gathered and investigated using the PBL workbook. Lastly, students present their finding using the free inquiry method in a group. The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 first, the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stimulates inquisitiveness in students about science learning and the research group shows improved science process skill. It shows us that using the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can be used effects to elevate science process skill. Second, the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earch tells us that using the free inquiry method based on PBL can improve a student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 PDF

기업가정신 온라인교육의 효과성 검증: 플립러닝 및 PBL 기반 기업가정신교육 적용 사례 (A Study between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Based on PBL(Problem-Based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 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2호
    • /
    • pp.31-4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BL) 및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기업가정신온라인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기업가정신온라인교육은 크게 개인학습 및 팀(Team)학습 영역으로 구분되며, 1단계(스타트업과 기업가정신) 및 2단계(아이디어 제시 및 상호 평가)에서 시작하여 7단계(사업계획서 작성) 및 9단계(랜딩페이지/프로토타입)를 거쳐서 10단계(데모데이) 및 11단계(지속성장과 네트워킹)로 마무리된다. 개인학습영역과 병행된 팀학습 영역은 3단계(건강한 조직 구성)를 통해 함께할 동료를 찾고, 4단계(디자인씽킹)를 통해 현장중심의 문제해결방법을 실행하며, 6단계(비즈니스모델캔버스) 및 7단계(사업계획서)를 통해 비즈니스모델을 구현하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9단계(랜딩페이지 및 프로토타입) 및 10단계(데모데이)를 통해 시장에서 제품을 검증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특히 각 단계별로 10개 내외의 동영상 등의 학습 자료를 제시하고, 각 학습내용에 대해 피드백 작성을 의무화시키도록 시스템화 했으며, 오프라인수업에서는 선행 학습한 내용에 대한 토론 및 팀활동 중심으로 진행함으로써 PBL 및 플립러닝 기반의 기업가정신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PBL 및 플립러닝 방식의 기업가정신교육을 적용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교육이후 문제해결능력 및 창업의지, 기업가정신이 더욱 높게 향상되었고, '창업 진행 및 준비 중'이라는 답변이 1.83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PBL 및 플립러닝에 기반한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설계할 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역발상적 사고 기법의 가능성 탐색: 대학생들의 아이디어 생성 과정의 특징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n the Possibilities of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Skill: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 Generation Process by University Students)

  • 강성주;박지영;윤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01-510
    • /
    • 2013
  •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의 핵심은 독특하고 다양한 아이디어의 생성이다. 따라서 아이디어의 생성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이를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이 요구되며, 이에 역발상적 사고 기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역발상적 사고 기법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 생성 과정의 특징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역발상적 사고기법은 학생들의 관점 전환을 유도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출을 도왔다. 이에 학생들의 아이디어 산출을 지원해 주는 사고 틀로서 역발상적 사고 기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역발상적 사고가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산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이론적 판단이나 가치 개입, 경험 등으로 인한 편견을 배제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역발상적 아이디어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대나 비판 등을 감수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과제집착력이나 용기 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 마련도 요구된다.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대응 능력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 재발 및 효과: 예비연구 (Develop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a Psychosocial Intervention on Stress Response and Coping in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 A Pilot Study)

  • 김조자;허혜경;강덕희;김보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69-108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oculturally-appropriate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for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test its effects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coping strategies. Methods: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 post-intervention interview was conducted to refine the nature of the intervention. A convenience sample of 10 breast cancer survivors was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s clinics. Psychosocial intervention was developed to provide the health education, stress management, coping skill training and support weekly(90min) for 6 week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scores following the intervention(Z= -2.388, p=0.017).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noted in the use of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nor in the changes of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Content analysis of interview data revealed six clusters; changes in perception, changes in problem solving approaches, changes in anger management, changes in life pattern, social support and reduction of perceived stress. Conclusions: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 recommend the refinements of the intervention in the following areas for future studies: 1) duration, activities, and progression of psychosocial intervention; 2) research design and sample size; and 3) measurements.

환경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ode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최운식;윤성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2권1호
    • /
    • pp.378-39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are objec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teaching mode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major obj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how to teach students who not only take knowledge/skill, but also change their behavior with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 In order to change students' behaviors for environment, Hungerford recommended that teachers have teaching strategies with recognition, evaluation, and adaptation. Also, McCarthy developed teaching model to engage immediate personal meaning, to raise intellectual awareness of a concept, to enhance skills that students can use in their lives, and to foster personal adaptations. Based on the Hungerford's teaching strategies, and Mccarthy's 4MAT system, a teaching model is developed to encourage thinking skill, problem-solving ability, interesting,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The basic steps of the teaching model in this study are experience/recognition, knowledge/skill, evaluation, and adaptation/new experience and 8 sub-steps for instructional methodologies are developed to match of all students' learning style types in a classroom. This model will make it possible to raise the efficiency of instruction, and contribute to changing students who have responsibilities for their environmental behaviors. This model will be supplemented in schools, and applied to developing other instructional issues.

  • PDF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요소 (Influential Error Factors of Robot Programming Learning on the Problem Solving Skill)

  • 문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2
    • /
    • 2008
  •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은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기존 교육환경에서 벗어나 미래사회의 창의적 학습을 미리 경험할 수 있으며 수학 및 과학의 가장 기초가 되는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향상시키는데 가장 적절한 학습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로봇프로그래밍 시 나타날 수 있는 오류의 유형들을 제안하였으며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한 후 초등학생 5, 6학생들을 대상으로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을 시켰다. 학습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들을 수집하고 분류하였으며 또한, 기존 연구된 컴퓨터기반 프로그래밍언어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로봇프로그래밍 실행경험을 통해 컴퓨터기반 프로그래밍에서 창의성학습에 큰 장애요소로 평가된 오류요소들 즉, 프로그램사용 미숙으로 인한 오류, 단순한 오타, 문법오류 그리고 코딩실수 등을 전체 오류의 약 21%로 나타나 기존 컴퓨터기반 프로그래밍언어 학습에서 조사된 오류비율(약 53%)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오류의 감소는 초등학생들의 흥미도와 성취도 향상을 위한 주요요소로 판단된다. 따라서, 학습과정에서 보다 많은 논리 및 문제해결을 위한 요소들에 노출되어 있어 창의성 알고리즘 학습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ROBOTC기반 LEGO MINDSTORMS NXT 로봇을 이용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효과 분석 (Development of Curriculum Using ROBOTC-based LEGO MINDSTORMS NXT and Analysis of Its Educational Effects)

  • 이경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8A권5호
    • /
    • pp.165-1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 대상의 ROBOTC 기반 레고 마인드스톰 NXT 로봇을 이용한 교육과정 개발 내용을 보이고, 이 과정에 대한 교육효과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은 로봇의 기본 이해와 실습, 응용로봇 실습, 창의로봇 설계 및 구현으로 구성하였다. 2009년부터 3년간 교육을 진행하는 동안, 6개 분반 총 94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레고 마인드스톰 NXT 로봇을 이용한 교육과정이 학습동기와 학습의욕을 불러 일으켰고, 학생들의 교과목 교육목표 및 학습성과 달성도가 우수하였음을 보인다. 또한 학생들의 수업 및 과제물 수행에 대한 참여도가 매우 높았으며, 문제해결능력과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조별 프로젝트 수행으로 협동심도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ROBOTC기반 프로그래밍에 의한 로봇 제어 실습으로 C언어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과학과 ICT 활용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업 모듈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Instruction Module Using IC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

  • 이상균;이용섭;김상달;최성봉;김순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89-20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learning that has applied instruction module utilizing ICT in project-based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on improve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the problem-solving skills. For this purpose, the project based learning instruction module utilizing ICT based was developed and conducted to 2 class consisting of 66 elementary students in the 6th grade to clarify the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instruction module utilizing ICT in project-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students. As the subordinat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t showed improved effects in diagnosing desire to learn, setting goals, basic self-managing ability, selecting learning strategy, durability of practicing learning, making effort for result, and self-examination but it did not show improved effects in figuring out recognition of resources for Learning. Second, i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skills of students. As the subordinate effects of problem-solving skills it showed improved effects in problem recognition, information gathering, analysis, thinking prior to dissemination, planning skill, and evaluation but it did not show effect on decision making, implementation & risk-taking and feedback.

  • PDF

특성화고등학교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 기업근로자를 중심으로 (Training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job skill curriculum in specialized high school)

  • 배광민;윤관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4-71
    • /
    • 2015
  •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으로 기업체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을 파악하고, 기업분야 중 기계계열, 전기 전자 반도체계열, 건축 토목 건설계열 영역의 직업기초능력 교육우선순위를 결정,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에 대한 기업근로자들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 차이를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요구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업규모와 분야를 중심으로 특성화고등학교의 기계계열학과, 전기 전자 반도체계열학과, 건축 토목 건설계열학과에 적용 가능한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계계열학과의 경우 언어구사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협상능력, 기술이해능력이 최우선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전기 전자 반도체계열학과는 시간관리능력, 건축 토목 건설계열학과는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갈등관리능력의 교육과정이 기업규모와 상관없이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내용으로 도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