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Skill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6초

네일미용·메이크업 산업체의 인력 요구분석과 NCS 교육, 국가기술자격과의 관계 (Analysis of Manpower Demand in the Nail Art/Makeup Industry and Its Relationship with NCS Education an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 부애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5호
    • /
    • pp.188-198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qualifications necessary and manpower required in the Jeju nail art and make-up industr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CS education and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this study, 164 participa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atching job seekers with available positions was more difficult in nail art businesses than in makeup businesses. The main routes by which practitioners found jobs were Internet job sites and acquaintances. In addition, experience was the first consideration in hiring employees. 2. Those in high positions had less intention of employing students who had received NCS education, than those in lower positions. Intention to employ NCS graduates was high in businesses that found their employees through Internet job sites,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cquaintances, or colleagues. Nail art workers prioritized NCS educational units in the following order: nail care, nail shop hygiene, gel nails, cosmetic nail removal, and tips/wraps. Makeup workers had the following priorities: basic makeup, wedding makeup, makeup shop safety, and hygiene management. They also mentioned basic occupational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Moreover, the new national licensing system was found to reflect competency in the most important skill sets.

창의성 이론으로 분석한 창의적 환경과 과정 연구 - 백남준과 루이스 칸의 사례 - (The Creative Context and the Process Analyzed by Creativity Theory - The case study of Nam June Paik and Louis I. Kahn -)

  • 이민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7호
    • /
    • pp.39-4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and to compare the creativity of Nam-June Paik and Louis 1. Kahn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ople. Both of them got strong supports from their family and close people. As they were not originally from the U.S., political and city environments where they settled in the U.S. for the first time strongly influenced their creative activity. The difference in the creative contexts of Paik and Kahn is that Paik had more visual cues in his childhood due to the rich environments. The various visual cues influenced his wide interests in video arts. In creative process, even though both of them more focused on the beginning stage of creative process, there were difference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styles. Kahn considered the imaging and perception as the most Important working process. For him, intuition(gestalt view) and ideation(generator) are more important than intellectual skill. On the other hand, Paik thought the symbolization(conceptualizer) based on his own experience and philosophy(associationism) was the most important.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이 지식, 수행,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based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Program on Knowledge, Nursing Practice,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이경미;정미란;임소연;유영미;민신홍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97-10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HMD 기반의 가상현실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이 간호 학생의 지식, 수행도,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A지역 소재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학생 45명이며, 가상현실 활용 핵심간호술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21명, 마네킨 모형 사용의 고전적 방법을 활용한 대조군 24명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핵심간호술 훈련을 마친 후, 술기가 포함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0월 3일부터 10월 28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검정(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이후 간호학생의 지식은 실험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고(t=-2.13, p=.039), 수행자신감은 대조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t=2.63, p=.012). 수행도,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은 간호학생들이 실제 수행을 하기 전 지식과 수행 절차를 익히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마네킨 모형을 사용하는 고전적 핵심간호술 훈련은 간호 학생들의 술기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병의원에서 요구하는 치위생과 졸업생들의 직업능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occupational ability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required of the dental clinics)

  • 김정;엄준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33-643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is aimed to help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to improve their adaptive ability to the field work by letting them know the performing levels required of the job world, by renovating the knowledge-centered curriculum, and by finding out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successfully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asks in the work field. Methods : The survey tool was recompos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receeding studies on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skills, and the survey has been done to 200 dentists in Seoul and Gyunggi provice. Results : 1. As for the job-getting routs, 35.1% of them finds their jobs through the job portal sites, and 21.3% through the recommendation by professors. So we can see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ways. 2. Dental hygiene clinics think that the purpose of their cooperation with the colleges is mainly to secure human resources by requiring the colleges to give field-centered education the colleges through. 3. The clinics for dental hygienic students' field learning have a great power for hiring the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set up a good management system of the clinics for dental hygienic students' field learning in order to reinforce the students' competitive power in getting jobs. 4. The priorities in basic working abilities needed for the task performance are in the order of vocational responsibility, self-managing & developing ability, interpersonal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5.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of those who graduate from dental hygiene school show the following scores by Likert measurement; good personality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2.16(${\pm}.677$), understanding power of major-related knowledge 2.19(${\pm}.723$), field adapting ability 2.31(${\pm}.748$), get-along-with ability 2.32(${\pm}.799$), interpersonal skill 2.42(${\pm}.768$), and self-development ability such as getting certificates 2.43(${\pm}.729$).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e only meaningful factor which influences on their satisfaction measurement has been identified as the professional ability related to the major.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knowledge and skill related to the major are core competencies of able human resources and closely related with the professionality of the job, and so they are very important. However, job basic abilities are also proved to be important, which reinforce the students' activeness, self-regulation, and creativeness, and help them to pursue their lasting growth in their abilities.

  • PDF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선발에 적용한 화학실험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no the Assessment Using Chemical Experiments for the Indentifi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in Science)

  • 박종석;박원선;박종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57-165
    • /
    • 2000
  • 청주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에서는 과학영재를 선발하는데 화학실험평가를 실시하였다.지필평가와 더불어 실시된 화학실험 평가에서는 '각설탕의 용해 관찰하기(실험1)'와 '용액의 진하기 순서 알아 맞추기(실험2),로 명명된 두가지 실험이 이용되었다. '각설탕의 용해 관찰 실험'으로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관찰 능력과 그에 따른 문제인식과 모형 사용 능력을 알아보았고, '용액의 진하기 알아 맞추기 실험 '으로는 실제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 과정 중 교사의 관찰에 의해 학생들의 흥미, 과제 집착력 둥 과학적 태도도 평가하였다. 현실적으로 여려 가지 문제로 인해 실시에 어려움이 있는 실험 평가는 과학영재들이 나타내는 독특한 특성, 즉 창의성이나 유통성, 독창성을 알아보는데 도움이 되었다.

  • PDF

과학과 평가 영역간의 중요도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of Assessment Domains in Science Education Focused on the Teacher's View Points)

  • 김경미;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40-549
    • /
    • 2002
  •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의 육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요구되는 창의력이나 문제 해결력과 같은 고등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종래의 평가방법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이를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방법을 개선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의 문헌조사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과학과의 평가영역을 선정하고, 계층화분석법(AHP)을 이용하여 과학과 평가영역의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과학과 평가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제사하였다. 평가영역간의 중요도는 탐구능력, 인지적 영역, 창의력, 정의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체 세부항목간의 중요도는 문제인식 및 가설 설정, 탐구의 설계, 이해 순으로, 평가의 가장 중요 영역으로 탐구능력, 그 중에서도 문제인식 및 가설 설정과 탐구의 설계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고려 할 때 인지적 영역 중심의 학교 현장의 평가 실태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과학 탐구력 검사와 창의성 검사와의 관계를 통한 과학영재 선발문항 유형 분석 (Investigating Science-contents Problems through Correlation with Tests of Creative Thinking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 박민정;전미란;전동렬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565-58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내용을 묻는 문제가 어떤 형태로 제시되면 자학영재 선발을 위해 대상자의 수학능력 외에도 창의성까지 볼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1단계에서는 과학적 재능 검사에 자주 사용되는 토랜스 도형 창의력, 과학적 태도, 과학 탐구력, 논리적 사고력,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7, 8학년 38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2단계에서는 학력이 상위 5% 안에 드는 6학년 학생 583명을 대상으로, 과학 내용을 소재로 한 5가지 다른 유형의 문제를 풀게 하는 동시에 트랜스 도형 창의력과 과학 탐구력 검사를 실시하여 어떤 형태의 내용 문제가 창의력, 탐구력 검사 점수와 상관관계가 높은지 알아보았다. 과학자 이름 나열하기, 과학자 업적에 대한 글쓰기, 상상력, 이론의 이해와 적용, 법칙의 이해와 응용으로 나눌 수 있는 5가지 유형의 문제는 모두 탐구력 검사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트랜스 도형 창의력 검사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글쓰기로 나타내는 문제와 상관 관계가 높았다.

선박기관사 해기실습교육에 PBL(문제중심학습)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about maritime training for marine engineer using PBL(Problem Based Learning))

  • 이상일;정우리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476-485
    • /
    • 2014
  • PBL은 문제를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는 학습방식이다. 선박기관사는 선박이라는 고립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상황을 해결하여 선박의 안전운항을 지원하는 전문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박기관사 해기실습교육에 PBL을 활용한 선박기관사 해기실습교육에 대한 기초연구를 시행하였다. 실제 H대학교 해기실습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 56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총5회의 PBL을 시행한 후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종합적 사고력, 자원정보활용능력 측면에서 PBL 방식이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PBL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주입식 교육방식에 익숙한 학생들은 일부 거부감을 표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BL을 활용한 해기실습교육에 대한 기초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개선되어야 할 사항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역사적 고찰을 통한 이차곡선의 지도방안 (How To Teach The Quadratic Curves Through Historical Overview)

  • 장미라;강순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731-744
    • /
    • 2010
  • 현행 교과서에서는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의 이차곡선이 원뿔을 잘랐을 때 나타나는 단면 곡선이라고 통합적으로 소개하면서도 실제로는 각각 2차식으로 표현된다는 점 외에 그 곡선들 사이의 어떤 연관성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차곡선'이라는 단원명에서 알 수 있듯이 기하학적 작도에 의해 도입된 원뿔곡선이 이차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이 방정식을 통해 초점, 꼭짓점, 준선 등을 찾는 기계적 활동만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뿔곡선의 발견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역사적 발달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논의를 통하여 이차곡선의 본질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차곡선의 교수 학습 방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의사코칭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hysician Coaching Model for Improvement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 나현숙;권영대;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31-340
    • /
    • 2013
  • 최근 의과대학과 의료서비스 산업에서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이란 '진료면담'에서 환자와 의사간의 쌍방향 의사소통으로써, 환자와 의사 양자에게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향상시켜 환자와 의사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코칭기법을 접목한 의사코칭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 개발 방법은 문헌검토를 통해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자문과 의사평가를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코칭 모델을 총 5단계로 구성하였다. 첫째, '관계 형성'으로 의사가 코칭에 대한 기대나 관심을 가지도록 한다. 둘째, '변화 주제 인식'으로 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의사의 문제점과 장점을 파악하여 코칭의 방향을 설정한다. 셋째, '관점의 획득'으로 의사가 환자의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넷째, '문제 해결 및 의사소통 역량 강화'로서 의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킬 개선사항을 세부항목으로 제시한다. 다섯째, '목표 설정 및 지원'으로 개선 사항 목표를 설정하고 장점을 유지 강화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합의한다. 개발된 의사코칭 모델은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해 의사들을 대상으로 코칭기법을 처음으로 적용했다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향후 의료서비스 현장에서 활용될 경우, 의사들의 커뮤니케이션 스킬 향상과 환자 공감적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진료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