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Based Learning (PBL)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6초

중학교 가정과 문제 중심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BL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Housing Culture and Practical Space Use' for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 조지원;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9-76
    • /
    • 2020
  •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가정②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 수업을 위해 다양한 주거가치를 반영한 셰어하우스 공간 활용 설계실습을 통해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생활자립능력과 실천적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실행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DDIE 교수 설계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발 결과는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과 12종의 교과서② 주생활 단원을 분석하여 총괄 학습목표와 세부목표, 차시별 목표를 선정하고,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4차시분의 학습주제의 차시별 PBL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시나리오 4개, 학습 활동지 6개와 읽기 자료 10개, 모둠활동자료 5개, PPT자료 4세트, 동영상 4개, 교사용 자료 1개) 및 설문지이다. 차시별 수업은 도입에서 시나리오를 통해 문제만나기와 문제해결계획을 세우고, 전개에서는 다양한 모둠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책을 탐색 및 재탐색을 한 후, 전체학급에서 해결책을 발표 및 평가나 토의로 마무리하였다. 특히 4차시 수업은 컴퓨터실에서 '5D planner' 웹 프로그램 활용하여 3차시 문제해결 계획안을 입체적 설계로 구현하는 실습을 하였다. 실험수업은 2019년 4월 1~12일 경남 하동군 소재 H중학교 2학년 1학급 2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참여 학생 전원이 수업평가에 참여하였다. 평가 결과, 수업전반에 걸친 수업내용과, 학습자료, 학습활동에 대해 거의 모든 학생들이 매우 높게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어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총 4차시 수업 전반의 주제와 학습자료, 수업활동 등이 학생들에게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세부목표를 구성하는 차시별 수업목표와 총괄목표의 달성 정도로 알아본 수업효과 평가도 수업전반에 대한 평가결과처럼 문항별로 비슷하게 매우 높게 나타나 4차시분의 수업을 통해 차시별 수업목표는 물론 총괄목표를 달성할 수 있어 보인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차시별 교수·학습 과정안의 특징인 PBL 수업방법에 관해서도 각 차시 PBL 수업의 중심을 이루는 시나리오, 협동학습, 웹프로그램 실습에 매우 높게 만족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서술한 개방형질문에서도 실습 관련 수업활동이 좋았다는 언급이 가장 많았는데 특히 웹 프로그램 활용 실습은 흥미롭고 신선한 경험이었으나 웹 프로그램을 원활한 작동할 수 있는 컴퓨터 환경개선요구도 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은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실천태도를 함양하고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의 총괄목표를 달성하는데 적절하다고 하겠다.

일 대학 간호학생의 문제중심 학습전략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a College's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PBL Strategies)

  • 고금자;김수진;강희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3-4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degree of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Problem-based learning strategy. Method: The subjects were 277 nursing students in C College. A questionnaire modified by researchers was used and analyzed by the SPSS WIN 12.0 program.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re'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ir 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collaborative, self-directed, self-expression and time management strategies. Those who were in the second year and those who have considered temporary absence from school and/or change of academic courses used the least learning strategies and showed the lowest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top three learning strategies influencing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time management, collaborative strategies and self-directed strategies respectively. Self-expression strateg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n influencing factor on educational satisfaction. Conclusion: The more learning strategies that are use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s a whole. Further studies on how to increas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a way to advance in learning strategies are recommended.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Pedagogy of E-Learning in Engineering Classes Using Multimedia Contents: Case of K University)

  • 황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4-23
    • /
    • 2010
  • 이러닝뿐만 아니라 모든 테크놀로지 활용은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때에 중요한 것은 기술적 접근보다 교수학습적 접근이다. 공과대학에서 이러닝이 더욱 확대, 보급되는 현 시점에서 공대 이러닝의 활용 유형을 파악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연관된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공대 이러닝 콘텐츠와 운영의 유형을 조사하고 이를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과 연계하여 이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공대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네 과목을 대상으로 활용 유형과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콘텐츠는 학습전에 개발되는 정형적 콘텐츠이며 운영은 학생 개인의 자율학습에 사용하는 콘텐츠 활용형으로 나타났다. 강의와 실습 외에 프로젝트가 학습활동의 하나로 사용되었지만 LMS와 웹 환경 등은 단순 기능의 활용에 국한되었다. 결론에서는 면대면 수업을 보강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통합 활용형의 사용을 제안하면서 문제해결 유형 위주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조건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영재 학생의 정보접근성 인식 향상을 위한 PBL 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to Improve Awarenes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Gifted Students in Computer Science)

  • 김한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09-120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 학생들의 정보접근성 인식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실험수업에 적용된 모형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정보영재 42명(초등학생 22명,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모형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 행동의지에 대한 인식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알아보고, 수업 후 실험수업에 대한 재미, 만족도, 몰입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차이 분석 결과 수업 후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 및 행동의지가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중,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들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인식과 남학생의 행동의지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과 중학생의 행동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실험수업 후 학습자들의 재미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몰입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향후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구성주의 학습 방법을 통한 BIM/IPD협업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aboration Learning Effect of BIM/IPD Through Constructivism Learning Method)

  • 진주완;최중식;김인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1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교육이론 기반의 BIM/IPD(통합프로젝트수행)교육에 적합한 BIM협업 교육모델제안과 그 교육모델의 효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BIM/IPD기반 협업능력은 건설 전 분야 걸쳐 필요한 역량으로 보고 있다. '구성주의 협업 프로세스' 교육 방식을 실험군(구성주의 협업프로세스)과 대조군(빌딩스마트 협회 BIM 코디네이터 과정)에 적용하여 학습 전후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습효과의 개선을 인지측정(협업의 만족도, 협업의 수준)하고 실무능력(협업고도화지수측정)측정을 통한 '구성주의 협업프로세스'의 학습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BL 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 이혜숙;김유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33-50
    • /
    • 2009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된 실제적이고 맥락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적성, 흥미, 성격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 다양한 직업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PBL(문제중심학습)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PBL 기반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은 먼저 아동들의 발달 특성 및 요구분석을 거쳐 과제 분석을 실시하고 수행목표를 진술한 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핵심 구성요소인 PBL 문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각 영역별 문제해결과정 및 결과발표에 대한 평가계획 및 평가도구를 제작하고 온라인 학습공간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은 매 회기 40분 단위의 총 21개 회기로 구성되어 초등학교 5학년에 8주 동안 실시되었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 있어서 진로태도와 진로태도의 하위요인(계획성, 성향, 타협성), 진로능력과 진로능력의 하위요인(직업의 이해능력, 자신의 이해능력, 의사결정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각 영역별로 제시되는 PBL 문제를 팀을 이루어 해결하고 발표하는 과정을 통하여 객관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일과 직업세계에 관한 다양하고 질이 있는 지식을 쌓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의사결정능력의 향상,모둠원간의 활발한 상고작용과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초등학생의 진로태도와 진로능력 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초등학생의 진로교육에 있어 자율적인 학습태도와 주체의식이 자신의 미래를 탐색하고 개발하고 개척할 수 있는 기회와 경험을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웹을 활용한 PBL에서 집단지성의 스캐폴더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s Scaffold in Web-based PBL)

  • 서순식;허동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5-363
    • /
    • 2008
  •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학습지원 전략으로서 스캐폴더의 역할이 요청된다.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은 사용자들의 지식, 정보, 경험, 가치 등을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하며 문제 해결방법을 제공받는다는 측면에서 스캐폴딩을 제공한다.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주도적, 자발적, 적극적 참여를 강조하고 있는데, 과연 집단지성이 효과적이고 매력적인 학습전략의 대안이 되는지 판단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웹에서 집단지성이 스캐폴더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또한 학습자에게 어떤 유형의 스캐폴딩을 제공하는지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집단지성은 정의적 측면에서는 학습자에게 학습태도, 자신감, 흥미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인지적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학년, 학습수준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지성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인지적 측면에서 설명, 방향제시, 예시, 피드백 등과 같은 스캐폴딩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 반응, 격려 등과 같은 스캐폴딩 유형이 나타났다.

  • PDF

보건대학원 사이버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Web-based PBL (Problem Based Learning) i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ourses)

  • 윤수진;호까마;호승희;김민경;채영문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9-142
    • /
    • 2007
  • Objectives: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the satisfaction level and course effects of web-based PBL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Methods: Web-based PBL was implemented from March 1 to June 22 on 19 students and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essons was taken and analyzed. For the analysis, SAS 9.1 was carried out. Results: The rel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each evaluation items, shows a significance according to satisfaction of professors, whether or no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in evaluating themselves (correlation, p<0.05).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valuation on teachers and whether or no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in evaluating themselves show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simple regression, p<0.05), more specifically in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by the students themselve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0.05).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attitud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toward the lessons are major influenc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essons. Specifically,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by the students themselves ar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s.

몽골공과대학에서 인터넷 마케팅 과목의 BPBL 적용을 위한 문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 Design for BPBL of Internet marketing subject in Mongolian Engineering College)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30-536
    • /
    • 2017
  • BPBL은 종전의 강의법을 지양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BPBL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인 문제개발의 절차를 구체화하고, 인터넷 마케팅 교과목 교육내용을 토대로 BPBL 학습에 필요한 문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는 학생들이 충분한 도메인 지식을 얻고, 적절한 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적절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좋은 문제를 개발하기 위한 BPBL 문제 개발 절차는 핵심적인 학습목표 및 내용 선택하기, 학습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 설계하기, 문제의 초안 작성, 학습자 특성 파악하기, 문제 발견하기, 역할과 상황 설정하기, 문제 작성하기로 요약 할 수 있다. 문제 개발 절차에 따라서 인터넷 마케팅 교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토대로 BPBL이 적합한 5개의 통합 문제를 개발하였다. 현재의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일제학습이 아닌 BPBL을 통해서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창의적 인터넷 마케팅 수업을 위한 BPBL 문제개발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문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임상실습교육의 만족도, 자율성, 성취동기와의 관계 - 모아임상실습을 증심으로 - (Relationship among Satisfaction Level with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the Maternal-Child Clinical Practice -)

  • 백경선;송애리;김영희;김태경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3권2호
    • /
    • pp.92-10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level with PBL-based clinical practice, their autonomy, achievement motivation and what affected them in those regards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subjects III this study were 138 nursing sophomores at J college who participated in PBL-based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y got a mean of 3.34, 3.83 and 3.83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respectively.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the satisfaction level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otivation of choosing the major and time for undergoing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decided to major in nursing at their own option(3.61) were most contented with practice teaching(F=6.356, p<.01), and those who underwent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3.82) were most pleased with the content of the clinical practice (t=2.129, p<.05).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autonom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volving ag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time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ho were at the age of 22(3.92) valued themselves the most(F=3.003, P<.05). And those who found their major satisfactory (4.28) and undergo the clinical practice after taking lessons(4.37) respected others the most(F=3.133, p<.01). As to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udents who were contented with their major(4.00) excelled the others who weren't in that aspect(F=6.038, p<.01).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inical practi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utonomy (r=.328, p<.01) and achievement motivation(r=.476, p<.01). Conclusions: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express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older students who were 22 years old were more autonomous, and those who took part in the clinical practice after receiving theoretical instruction were more autonomous and more pleased with the practice. The students who found their major more satisfactory surpassed the others in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clinical-practice satisfaction level, autonom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 are some suggestions: Intensiv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getting a profound grasp of PBL-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geared toward nursing students. The development of modules for PBL-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was required. How to provide PBL-based theoretical education to nursing students should be stud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