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Education

검색결과 1,443건 처리시간 0.03초

Long-Term Historical Significance of Private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Seong-Gon KIM
    • 한류연구
    • /
    • 제2권2호
    • /
    • pp.1-8
    • /
    • 2023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onnections and effects of these historical events on South Korea's education system. The research seeks to illuminate private education's complex history and the complex factors that have shaped it by examining these historical trajectories. After the Korean War in the mid-20th century, South Korea went from agrarian to industrial, which shaped private education. Unparalleled economic growth in the 1960s and 1980s altered schooling. South Korea quickly became an industrial powerhouse, and education became crucial for families seeking socioeconomic advancement. The growing middle class, believing education was the key to prosperity, demanded more extra education. South Korean private education's fourth major event occurred during the socioeconomic upheavals of the 1960s-1980s. Prior studies explain how the fast transition from agrarian to industrial society made schooling essential for families seeking upward mobility. Due to the demand for extra education, private tutoring and specialist hagwons flourished. In summary, this study insists that the effects of historical events on South Korean private education demonstrate the interconnection of cultural, economic, and sociological aspects. Educational practitioners must comprehend the historical backdrop, recognize the lasting impact of past events, and use literature-based tools to navigate this complex landscape.

사교육서비스 분야에서의 BSC 모델 개발 및 전략실행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SC development and Strategy execution plan for Private education service field)

  • 정민의;유성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25-44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problem of private education market environment which is polarized into commercialized larg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and small and medium size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in a poor business environment, and develop systematic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applicable for small and medium sized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To develop the BSC which measures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dicator in a balanced manner and introduce the BSC into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ontain conflicting goals "EDUCATION" and "PROFIT". In particular, Utilizing the methodology of AHP, the priority of strategies and execution assignments are derived. Results: BSC model was developed and introduced by cooperating with executives of th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Moreover, the study permits to achieve the strategy, enterprise-wide vision and mission by deriving strategy map and applying it to th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BSC model instruction, KPI corresponding to the strategic objectives of each perspective was derived. Conclusion: BSC model generally introduces to large-sized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In this study, BSC model is developed by focusing on small and medium sized private institu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more than simple model development, it makes a connection with achievement of strategic objectives, enterprise-wide vision and mission through strategy map and strategy execution method. Through the developed BSC model and strategy execution method, utilization plan in practice and customized model for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coexisting profit and non-profit objectives were developed, and academic implications were presented.

초,중,고 사교육비 영향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Cost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이혜정;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7호
    • /
    • pp.1125-113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교육비가 논란이 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각 가정에서 소비되는 전체 교육비 가운데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면 경제적으로 교육에 대한 기회균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과도한 사교육으로 인해 기본적인 학교 교육보다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할애한다면, 계층 간, 지역 간의 양극화와 더불어 학교의 기능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양한 회귀분석 방법론과 분류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또 각각의 변수들이 어떻게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도시가 중소도시 보다 사교육비 지출이 높았고, 일반 고등학교, 중학교, 전문 고등학교, 초등학교 순으로 사교육비 지출이 높았다.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도 높았다.

시스템사고를 통한 사교육비경감정책 평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Policy for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based on Systems Thinking: Focusing on Roh and Lee Governments)

  • 백우정;최종덕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5-3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olicies for reducing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Roh Mu Hyun and Lee Myeong Bak Government using Causal Loop analysis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educational achievers receive more private tutoring than lowers and children who have rich parents have better chance to take private tutoring than the others. It reflects the social characteristics which emphasize the academic abili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wo governments implemented educational policies to control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s balancing loops ;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providing after school programs and EBS KSAT teaching and improving the entrance exam of university. Third, they overlooked the unintended feedback loops coming from 1) incongruity between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shadow education 2) wrong perception of sub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education and shadow education 3) side effect of the policy increasing the weight of student record 4) problems of diversifying high schools 5) dilemma of easing the burden of testing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conclusion is that policies of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ve failed because two governments don't consider unintended Feedback Loops in the process of making education policies. So we have to make policies based on Systems Thinking and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should not be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public education.

  • PDF

아동기 자녀를 둔 가정의 사교육비 및 위탁양육비 분석 (The Analysis of Expenditure for Private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 of Preschool and Elementary Children)

  • 김순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4호
    • /
    • pp.237-25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income allocation structure of private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to analyze contributing factors income allocation structure of private education and child care for two children among Korean married couples. For these purposes total sample of 760 married couples those having two children of both pre-school aged and elementary school aged wee selected and total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by first child's school aged; those were pre-school aged(375) and elementary school aged (385) Statistics were frequencies means percentile and Tobit and OLS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268 households among the households those having the first child of pre-school aged spent 11% of income for private education while 29 households spent 7% of income for child care. 348 households among the households having the first child of elementary school aged spent 11% of income for private education. Second pre=-school aged' contri uting factors to income allocation struture of private education and child care were household family type family size home ownership and financial asset amount and elementary school-aged factors wer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and financial asset.

  • PDF

영재들은 왜 사교육을 받을까?: 초등 영재의 사교육 실태 및 참여 결정요인 분석 (Why Gifted Students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Key Factors of the Attendance in Private Education)

  • 한기순;박유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505-52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의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사교육 실태를 비교하고, 이들 및 이들의 부모가 인식하는 사교육 참여결정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영재학생의 95.9%, 일반학생의 94.6%가 현재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어 영재여부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교육 형태는 '학원 수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받고 있는 사교육 과목은 영어와 수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사교육을 위해 보내는 시간은 2~3시간이 가장 많았다. 자녀의 월 평균 사교육비 지출비용은 영재와 일반 모두에서 한 자녀 당 '40~60만원 미만'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사교육실태와 관련된 항목 대부분에서 영재와 일반 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교육참여결정 요인과 관련해서는 영재학생의 경우 '학습관련능력 배양' 요인, '학교 성적 관리' 요인, '주변의 영향' 요인 순으로, 일반학생과 일반학부모의 경우에는 '학습관련능력 배양' 요인, '학교 성적 관리' 요인 순으로 사교육 참여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소 상이하게 영재 학생 학부모는 '학습관련능력 배양'과 '진학'을 위해 사교육에 자녀를 참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가 실천적 맥락에서 논의되었다.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성의 분석 (The Effects of School Characteristics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 김희삼
    • 노동경제논집
    • /
    • 제32권3호
    • /
    • pp.27-59
    • /
    • 2009
  • 본고는 한국교육종단연구의 중학생 표본 및 교육행정 데이터의 학교 자료를 이용하여 사교육 수요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학교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에 대한 개별 학생의 평가지수가 높고 교원의 평균 학력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액이 적었고, 수준별로 운영되는 교과교실도 해당 과목의 사교육비 지출액을 줄이는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정규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교원양성 방식의 개선과 학생 중심의 교원평가제 도입, 그리고 평준화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준별 수업의 운영 등이 사교육 경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사교육비 지출이 청소년 자녀의 우울과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 이성림;김진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289-302
    • /
    • 202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The sample comprised 2,589 first-grade middle-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the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the generalized linear model), multiple regression, and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he principa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15.15% of adolescents reported depression symptoms, and 15.57% reported somatic symptoms. Second, levels of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lasses with a different level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hird, de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in that the higher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Fourth,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adolescent depression was significant at the 70~90th quantile regression, suggesting that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symptoms. The results indicate that private education was viewed as a consumption commodity rather than a complementary educational practice or investment in human capital. Private education as a commodity might induce the highly developed and costly private education market. In turn, there is an increased financial burden for education at one end of the social-economic continuum and depression caused by relative deprivation at the other end.

초등학생 학부모의 소프트웨어 사교육 참여동기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Private Software Education)

  • 이재호;김갑수;김종우;김종훈;김홍래;마대성;박선주;손원성;안성훈;허경;심재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39-247
    • /
    • 2021
  •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화되고 인공지능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사교육 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공교육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이외에 추가적으로 소프트웨어 사교육을 학부모가 참여하는 동기와 인식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자녀를 두고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게 된 동기와 필요성,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는 가장 큰 동기는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제공하는 시간과 환경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나타났고, 소프트웨어 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별도의 정식과목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등학생의 수학 교과 사교육비에 대한 추이적 분석 (Progressive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Mathematics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소민;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43-259
    • /
    • 2021
  • 본 논문은 사교육 현상이 열풍을 넘어 교육 체계의 한 유형으로 인식되는 사교육 고착화시기에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초등학교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교 급별, 지역별, 교과별, 유형별의 각 요인에 대한 사교육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수학 교과 사교육의 요인 간 추세를 살펴보고, 나아가 학교 수학교육이 교육 수요자의 기대치를 충족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 교과의 사교육비는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정도 일관되게 선형의 완만한 증가 형태의 추세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사교육비는 다른 여타 교과와 비교해서 외부 변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공고한 추세를 보였고, 학교 급별, 지역별, 유형별 추세에서도 일관된 변화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