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gressive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Mathematics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수학 교과 사교육비에 대한 추이적 분석

  • Received : 2021.06.02
  • Accepted : 2021.08.13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rends by school level, region, subject, and type centered on elementary schools when private education is perceived as a social problem due to the overheating of private education and its over-dependen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irection to ease th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meet the expectations of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mathematics subjects, the graph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mathematics subjects was not affected by the period and showed a somewhat consistent linear trend. In other words, we found that the private education cost of the mathematics subject was solid compared to other factors, and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xternal variables, and was consisten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trends of private education costs in mathematics subjects with a comparis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and to grasp what factors and how they have changed and developed.

본 논문은 사교육 현상이 열풍을 넘어 교육 체계의 한 유형으로 인식되는 사교육 고착화시기에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초등학교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교 급별, 지역별, 교과별, 유형별의 각 요인에 대한 사교육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수학 교과 사교육의 요인 간 추세를 살펴보고, 나아가 학교 수학교육이 교육 수요자의 기대치를 충족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 교과의 사교육비는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정도 일관되게 선형의 완만한 증가 형태의 추세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사교육비는 다른 여타 교과와 비교해서 외부 변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공고한 추세를 보였고, 학교 급별, 지역별, 유형별 추세에서도 일관된 변화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돌(2016). 사교육의 정치경제학 비판. 인물과 사상, 223, 87-112.
  2. 김동석(2015). 사교육 수요유발 요인과 대책의 논리. 교육혁신연구, 25(3), 151-179.
  3. 김미숙(2015). 2008 대입정책과 논술 사교육.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43-64.
  4. 김성식, 송혜정(2013). 학교특성에 따른 사교육 참여와 효과 차이 분석. 교육평가연구, 26(5), 1187-1215.
  5. 김순남, 신재한, 기기운, 안선희, 박선형(2011). 사교육비 경감 정책의 진단과 대책.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1-29.
  6. 김영철, 양숭실, 김영화, 이주호(2001). 사교육비 해소 방안 -과열 과외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19(3), 149-180.
  7. 김용석(2020). 사교육 참여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초등수학교육, 23(4), 207-227.
  8. 김지하, 김정은(2009). Propensity Score Matching방법을 사용한 사교육 유형별 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8(3), 63-87.
  9. 김진영(2008). 우리나라 가구 사교육비 지출의 특징과 사교육 정책에 대한 함의. 교육재정경제연구, 17(3), 1-28.
  10. 김혜미, 김용석, 한선영(2018). 수학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요인과 사교육 참여 간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분석. 학교수학, 20(2), 287-306.
  11. 노현경(2006). 학부모 및 학생 관련 요인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경미, 최수일, 김성여, 강은주, 김동원, 이동환(2012). 우리나라 수학 학원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371-393.
  13. 박소현, 이금숙(2011). 사교육 시설의 수요와 공급에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 수도권 지역 사설학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1), 33-51.
  14. 박현정(2010).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교육평가연구, 23(4), 887-907.
  15. 박현정, 신택수, 하여진, 이준호(2011). 사교육비 지출의 변화 패턴과 관련 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4(2), 291-316.
  16. 백일우, 박명희(2016). 한국 사교육시장 전개의 역사와 그 의미. 미래교육학연구, 29(2), 23-50.
  17. 백일우, 정한나(2013). 국내 사교육 문헌 분석. 교육과학연구, 44(4). 1-39.
  18. 양정호(2013). 우리나라 역대 정부의 사교육비 추이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1(4), 421-448.
  19. 윤은경(2003). 수학 선행학습의 실태 분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원호(2016). 공간계량분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주택가격모형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4, 46-56.
  21. 이정인, 유재봉(2018). 사교육의 개념 및 전제에 대한 철학적 검토. 교육철학연구, 40(2), 101-120.
  22. 임성택, 어성민(2013).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와 부담감의 관계: 사교육 투자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51(2), 63-87.
  23. 임천순, 박소영, 이광호(2004).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13(1), 331-356.
  24. 장옥선(2014). 인문계 고교생의 수학 선행학습 사교육 효과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정한나, 백일우(2018). 사교육 수요자의 특성에 따른 사교육 시장의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27(3), 57-97.
  26. 최유리, 백일우(2017). 초등학생의 사교육 참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26(3), 25-53.
  27. 통계청(2017). 2016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보도 자료.
  28. 통계청(2018). 지난 10년 동안 사교육비의 변화 추이(2007~2016년). KOSTAT 통계플러스.
  29. 통계청(2020). 2019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보도 자료.
  30. 한국교육개발원(2003). 사교육 경감대책을 위한 교육정책토론회 자료집. RM 2003-31.
  31. 홍순상, 홍윤표(2016). 사교육 경험과 EBS 방송 시청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2), 123-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