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psychiatric disorder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치료 1례(例) (A Case Report of ADHD Child treated with Neurofeedback)

  • 강준원;박정경;전용우;한국;박현철;유경;정은희;김락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3-249
    • /
    • 2005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진단한 7세 남아에게 주 2회 3개월간의 뉴로피드백 치료를 통하여 일상생활의 산만한 행동의 개선과 단축형 Conner 평가척도, 한국아동인성검사 BASA읽기검사 등에서 개선된 결과 및 주의집중 뇌파 지표가 향상되는 경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후 확대된 임상적용과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ADHD로 인한 학습부진아동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on School Underachievement Child caused by ADHD)

  • 위영만;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97-209
    • /
    • 2009
  • Objective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a psychiatric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imary symptoms of inattention and/or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iency of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combinated with Learning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HD. Methods : This study is a clinical report of 1 ADHD child treated with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Herb-med, acupunture, etc.)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CAR(Conner's abbreviated Rating Scale), K-CBCL, ADS(ADHD Diagnostic System) were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 The results show the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is efficient in the treatment of ADHD. Conclusions : Various Oriental Medical therapy including herb-med, pharmacopuncture, electroacupuncture is efficient in improvement of ADHD child. also In case of combination with Learning therapy, it is more effective in child's school life and school work. therefore, it is practical useful in the treatment of ADHD.

  • PDF

ADHD 환자에게 미술치료와 한방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한 치험 3예 (3 Case Reports of Patients with ADHD Treated with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and Art Therapy)

  • 성원영;유종호;황민영;김남열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3-262
    • /
    • 2014
  • Objective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a psychiatric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imary symptoms of inattention and/or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iency of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combined with art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HD. Methods: This study is clinical reports of 3 patients with ADHD who are being treated with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Herb-med, acupuncture) and art therapy. K-ARS (Korean ADHD Rating Scale)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1 month of treatment. Results: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including herb-med and acupuncture is effective in improving ADHD patients. Also, art therapy is effective in decreasing patients' anxiety and tension and helpful for patients themselves to make an objective observation. Therefore, it is practically useful in the treatment of ADHD.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e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art therapy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DHD.

뉴로피드백과 한방치료를 병행한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치료 1례 (A Case Report of Typical Oriental Medical Therapy in Combination with Neurofeedback on ADHD Child)

  • 김진형;오용렬;이종화;김태헌;류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7-164
    • /
    • 2006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a psychiatric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imary symptoms of inattention and/or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This study is a clinical report of 1 ADHD child treated witb typical Oriental Medical Tberapy(Herb-med, acupunture, etc,) in Combination with Neurofeedback. Conner's parent rating scale, ADHD Diagnostic System were compared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show the typical Oriental Medical Tberapy in Combination with Neurofeedback is efficient in the treatment of ADHD.

  • PDF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치료 3례 (A Clinical Study on 3 Cases of ADHD Children Treated with Neurofeedback)

  • 황영준;김기봉;민상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5-95
    • /
    • 2007
  • Objective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a type of psychiatric disorder characterized with the primary symptoms of inattention and/or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DHD children who were treated with neurofeedback therapy. Methods We analyzed clinical report of 3 ADHD children who treated with neurofeedback therapy from January 2006 to June 2006. Results 1. All 3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predominantly inattention type of ADHD. 2. After treatment, cognitive strength, response, concentration, workload, left / right brain activity score were all different from each children. 3. After treatment, left and right brain activities were balanced. 4. After treatment, learning ability level was increased. 5. After treatment, the childrenwere in a better state referred to conner's scale and H.S.Q. score. Conclusion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get more clinical cases about the benefits of neurofeedback therapy with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treatment.

  • PDF

농촌지역 정신보건관리실태: 보건소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Present Conditions of Mental Health Care in Rural Areas: 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

  • 이원영;김동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1-14
    • /
    • 2003
  • 이 연구는 농촌지역 정신보건의료서비스의 필요도와 공급수준을 파악하고 일차정신보건시설로서 보건소가 운영하는 정신보건사업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필요도는 유병률과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로 한정하여 2001년도에 보건복지부가 주관하여 실시한 정신질환 실태 역학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도농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공급수준은 입원 및 요양 병상수와 일차정신보건의료시설의 기초자치 단체별 설치율로 한정하여 전자는 2002년도에 보건복지부 산하 지역사회 기술지원단이 작성한 보고서 결과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였고 후자는 보건복지부의 2003년도 정신보건사업 안내서와 정신보건의료기관 총람의 내용을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농촌지역의 보건소 정신보건사업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2년도에 각 기초자치단체가 중앙에 제출한 제3기 지역보건 의료계획서들 중 농촌형지역과 도농복합형지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중앙 및 광역자치단체 정부의 지원 여부에 따라 지원한 경우 1-2개, 지원하지 않는 경우 광역자치단체별로 각각 2개소를 무작위 추출하여 정신보건사업내용부문을 사업대상 및 등록, 구조, 과정으로 나누어 정신보건사업안내서에 제시한 기준을 가지고 평가하였고 담당자들이 작성한 정신보건사업의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2003년 4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이루어졌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니코틴 장애를 제외한 평생유병률과 일년유병률은 도시지역이 24.9%, 13.2%, 농촌지역이 28.2%, 17.7%이었으며 정신분열증, 주요우울증, 불안장애, 알코올 사용장애 등 주요 정신질환 역시 도시보다 농촌지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일년간 정신보건의료서비스 이용률은 전체적으로 8.9%에 불과하였다. 둘째, 입원 및 요양 병상수는 2001년 현재 인구 천명당 0.97병상이며 요양시설을 포함할 경우 1.27병상으로 세계 보건기구가 권장하는 인구 천명당 1.0병상, 그리고 병상 감소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유럽이 0.93병상임을 고려할 때 양적으로 부족하지는 않다. 그러나 광역자치단체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서울, 인천, 울산 등 대도시지역이 충북, 충남, 경남, 전남지역의 1/6내외수준이었다. 셋째, 일차정신보건의료시설의 기초자치단체 충원율을 살펴보면, 정신과 의원은 광역시 및 특별시형은 100%인 반면 농촌형지역 89곳 중 15곳(16.9%)만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사회복귀시설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농촌지역의 충원율이 7.9%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중앙 및 광역자치단체의 지원율이 광역시 및 특별시형이 42%인 반면 농촌형지역은 22.5%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촌형지역과 도농복합형지역 모두에서 지원을 받지 않은곳이 자체예산을 추가로 확충하지 않아 사업인력 및 예산이 매우 취약하고 중앙정부가 제시하는 기본사업에 대한 충실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농촌지역이 도시지역에 못지 않게 정신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도가 높으나 서비스 이용률은 매우 낮았으며 도시지역에 비해 농촌지역의 일차정신보건의료시설들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차정신보건의료시설로서 보건소가 도시지역 보다 농촌지역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나 중앙의 지원율은 오히려 농촌지역 보다 도시지역이 더 높았고 지원을 받지 않는 보건소의 정신보건사업프로그램은 매우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앞으로 중앙정부는 일반의료서비스에 있어서 농어촌의료서비스 개선정책을 추진하듯이 정신보건정책에 있어서도 이러한 고려가 필요하다.

  • PDF

좌반구 뇌졸중후 우울증 환자에서 우반구 뇌경색이 수반된 급속 순환형 이차성 양극성장애 1례 (A Case of Rapid Cycling Secondary Bipolar Disorder Following Rt. Hemisphere Cerebral Infarction in a Patient with Preceeded Left Hemisphere Poststroke Depression)

  • 장호균;이호택;백주희;이상연
    • 정신신체의학
    • /
    • 제6권1호
    • /
    • pp.79-84
    • /
    • 1998
  • 저자들은 뇌졸중후 우울증보다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뇌졸중후 양극성장애 증례를 경험하여 보고하였다. 좌반구 기저핵 뇌경색이후 뇌졸중후 우울증을 앓아오던 환자에서 조증 에피소드가 발병하여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결과, 이차성 양극 성장애와 연관되는 것으로 보고되어온 우반구 기저핵의 새로운 뇌경색이 밝혀졌다. 한 환자에서 좌반구 뇌졸중이후 우울증, 우반구 뇌졸중이후 양극성장애의 발생이 시간적 연관성을 보였으며, 한편 뇌졸중후 우울증과 이차성 양극성장애 각각이 병변 위치와 특이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문헌 고찰에 의하면, 이차성 조증이 주로 피질의 병변과 연관성을 보이는 반면, 양극성 장애는 피질하 병변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왔으며, 이차성 조종의 위험인자로는 정신장애의 가족력과 경한 피질하 위축이 제시되었다. 이 증례에서도 우반구 피질하 병변과 경한 피질하 위축이 관찰되었다. 뇌졸중 병변위치와 기분장애의 상관성 및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는, 일차성 기분장애의 신경생물학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임상에서도 뇌졸중 환자의 정신증상 치료에서 조중 유발의 위험성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을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ractice in Adults According to a Training Background in Child Psychiatry

  • Hong, Minha;Lee, Seung-Yup;Lee, Young Sik;Kim, Bongseog;Joung, Yoo Sook;Yoo, Hanik K;Kim, Eui-Jung;Lee, Soyoung Irene;Park, Su-Bin;Bhang, Soo-Young;Han, Doughyun;Bahn, Geon 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3호
    • /
    • pp.121-126
    • /
    • 2019
  • Objectives: Awarenes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adult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clinical data specific to the Korean population are insufficient. Clinical experience of ADHD may differ based on whether psychiatrists have received pediatric psychiatry-specific training. In order to prepare a practice parameter for adult ADHD patients in Korea, we examined questionnaire data to observe how pediatric psychiatry training could affect clinical practice for adults with ADHD. Methods: A questionnaire abo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was distributed to both general psychiatrists (GPsy)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s (CAP) at the summer and winter workshop meetings of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Results: In total, 142 psychiatr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86 GPsy, 56 CAP). GPsy and CAP preferred pharmacotherapy (GPsy 82.40%, CAP 64.30%) as the primary treatment option and answered that the clinical psychiatric interview is the most necessary step in diagnostic assessment (GPsy 22.16%, CAP 19.00%). The GPsy responded with an optimal and average treatment duration that was shorter than that reported by CAP. Conclusion: Identification of the initial presenting symptom as the correct diagnosis and the optimal duration of pharmacotherapy differed between GPsy and CAP in practice, whereas concept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HD in adults were similar for both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e urgent need for the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program for psychiatrists treating adults with ADHD.

A Pharmacogenomic-based Antidepressant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s from an 8-week, Randomized, Single-blinded Clinical Trial

  • Han, Changsu;Wang, Sheng-Min;Bahk, Won-Myong;Lee, Soo-Jung;Patkar, Ashwin A.;Masand, Prakash S.;Mandelli, Laura;Pae, Chi-Un;Serretti, Alessandro
    •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 /
    • 제16권4호
    • /
    • pp.469-480
    • /
    • 2018
  • Objective: Pharmacogenomic-based antidepressant treatment (PGATx) may result in more precise pharmacotherapy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with better drug therapy guidance. Methods: An 8-week, randomized, single-blin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of PGATx in 100 patients with MDD. All recruited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either to PGATx (n=52) or treatment as usual (TAU, n=48) groups. The primary endpoint was a change of total score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17 (HAMD-17) from baseline to end of treatment. Response rate (at least 50% reduction in HAMD-17 score from baseline), remission rate (HAMD-17 score ${\leq}7$ at the end of treatment) as well as the change of total score of Frequency, Intensity, and Burden of Side Effects Ratings (FIBSER) from baseline to end of treatment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mean change of HAMD-17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favoring PGATx by -4.1 point of difference (p=0.010) at the end of treatment. The mean change in the FIBSER score from baselin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treatment groups favoring PGATx by -2.5 point of difference (p=0.028). The response rate (71.7 % vs. 43.6%, p=0.014)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PGATx than in TAU at the end of treatment, while the remission rate was numerically higher in PGATx than in TAU groups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45.5% vs. 25.6%, p=0.071). The reason for early drop-out associated with adverse events was also numerically higher in TAU (n=9, 50.0%) than in PGATx (n=4, 30.8%).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clearly demonstrate that PGATx may be a better treatment option in the treatment of MDD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however, study shortcomings may limit a generalization. Adequately-powered, well-designed,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mandatory to prove its practicability and clinical utility for routine practice.

신체질환 환자들에서 우울증의 평가 및 치료 (Assessment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the Medically III)

  • 고경봉
    • 정신신체의학
    • /
    • 제9권2호
    • /
    • pp.111-132
    • /
    • 2001
  • 신체질환 환자들에서의 우울증은 일차진료의나 정신과자문의가 흔히 부딪치는 임상적 문제들이다. 본 저자는 이런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치료하기 위한 방법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환자의 의학적 및 정신과적 상태를 동시에 평가해야 한다. 둘째, 신체질환 환자에서 우울의 평가는 다면적인 접근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로는 심리적 도구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평가 방법이다. 치료는 첫째, 기질적 원인을 찾아서 제거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정신사회적 치료로는 정신과적 치료에 대한 저항을 다루어야 하고 심한 신체적 질환에 따른 낙담 반응을 처리해 주는 일이다. 셋째, 생물학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적절한 항우울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체질환 환자들에서 항우울제의 선택은 환자의 일차적인 우울증상, 약물역학 및 약물역동, 항우울제의 부작용을 평가한 후 고려한다. 이 외에도 약물-질병 및 약물-약물 상호작용의 가능성에 관해 각별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SSRI약물, bupropion, venlafaxine과 같은 새로운 항우울제들이 신체질환 환자들의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이나 삼환계 항우울제는 통증장애 환자들에서는 아직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약물이다. 신체질환 환자들에서 항우울제로 우울증이 잘 치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기충격요법의 사용을 고려해 본다.

  • PDF